경제

"우린 라면 안 팔아요" 101년 역사 삼양그룹의 절박한 외침

 "너 삼양 들어간 뒤로, 뭐 라면 판다고 내가 바쁜 건 알겠는데…." "몇 번 말해! 라면 만드는 그 회사 아니라고." 이 대화는 최근 삼양그룹이 제작한 45초짜리 광고 영상의 한 장면이다. 배우 박정민을 모델로 기용한 이 광고는 삼양그룹과 삼양식품 간의 혼동을 해소하기 위한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최근 '불닭볶음면'의 글로벌 인기와 함께 삼양식품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전혀 다른 기업인 삼양그룹이 의도치 않게 오해를 받는 상황이 빈번해졌다. 이에 삼양그룹은 "동명이사(同名異社)와의 오인지를 해소하기 위해 드라마 형식으로 광고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삼양그룹은 '큐원' 브랜드로 설탕, 밀가루, 알룰로스, 상쾌환 등의 식품 사업을 일부 운영하고 있지만, 주력 사업은 화학, 의약바이오, 패키징 등 B2B(기업간거래) 분야다. 지난달에는 지주사인 삼양홀딩스가 의약바이오 부문을 인적분할해 '삼양바이오팜'을 설립하는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작년 창립 100주년을 맞아 '생활의 잠재력을 깨웁니다, 인류의 미래를 바꿉니다'라는 슬로건도 발표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삼양그룹 직원들은 자신이 어디에 다니는지 소개할 때마다 "저 불닭볶음면 좋아해요", "주가 많이 올라서 좋겠어요"라는 반응을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오해가 지속되자 결국 회사는 적극적인 브랜드 정체성 알리기에 나섰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인재 채용 과정에서도 발생했다. 지원자들이 자기소개서에 "저는 어렸을 때부터 불닭볶음면을 즐겨 먹고 자랐고..."와 같은 내용을 작성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회사의 고민이 깊어졌다. 이에 삼양그룹은 채용 시즌에 홈페이지에 '우리 회사는 삼양식품과는 다른 회사이니 신중하게 검토 후 지원해달라'는 팝업창을 띄우기도 했다. 심지어 인스타그램 그룹 계정 프로필에는 '우리 라면 안 팔아요'라는 문구를 가장 앞에 배치했다.

 

두 회사는 한자(三養)까지 동일하지만, 역사는 크게 다르다. 삼양그룹의 역사는 101년으로 삼양식품(64년)보다 훨씬 오래되었다. 삼양그룹 관계자는 "원래 B2B가 주력이라 기업 브랜드에 많은 관심을 쏟는 회사가 아니었는데,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적극적으로 기업을 알려야겠다는 판단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광고는 소셜미디어와 OTT 등 젊은 층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통해 방영된다. 특히 타깃을 20~30대로 설정해 40대 이상보다는 젊은 층에게 더 많이 노출되도록 전략을 세웠다. 삼양그룹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기업 정체성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올바른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한다.

 

조국, 광복절 특사 코앞…찬반 여론 ‘팽팽’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법무부 사면심사위원회 심사를 통과해 오는 8·15 광복절 특별사면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면심사위는 심사 대상 범위 설정 단계에서부터 대통령 의중을 상당 부분 반영하기 때문에, 이번 결정이 사실상 사면·복권 절차의 시작이라는 관측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법무부는 7일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사면심사위원회를 열어 광복절 특별사면 및 복권 대상자를 심사했다. 그 결과 정치인 중에서는 조국 전 대표를 비롯해 조희연 전 서울시교육감, 정찬민 전 국민의힘 의원, 홍문종 전 자유한국당 의원, 심학봉 전 새누리당 의원의 사면 건의가 결정됐다. 이 중 정찬민·홍문종·심학봉 전 의원은 지난 4일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가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에게 텔레그램을 통해 사면을 요청했던 인물들이지만, 송 위원장은 논란이 불거지자 이를 철회한 바 있다.이번 사면 심사 명단에는 조 전 대표의 배우자 정경심 전 동양대 교수, 최강욱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신원 전 SK네트웍스 회장도 포함됐다. 최 전 의원은 조 전 대표의 아들에게 허위 인턴확인서를 발급한 혐의로 2023년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확정받았으며, 최 전 회장은 2000억 원대 횡령·배임 혐의로 징역 2년 6개월이 확정돼 복역 중이다.반면 정치권 일각에서 사면 가능성이 거론됐던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와 송영길 소나무당 대표는 심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사면·복권 대상자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이 이날 심사 결과를 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국무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대통령이 휴가에서 복귀하는 12일 국무회의에서 명단이 최종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사면 규모와 대상은 대통령 고유 권한으로, 법무부 심사도 대통령실과의 사전 조율을 거쳐 진행된다. 이번 사면 대상 중에서도 핵심은 조국 전 대표다. 그는 지난해 12월 대법원에서 자녀 입시 비리와 청와대 감찰 무마 혐의로 징역 2년형을 확정받고 복역 중이며, 만기 출소일은 내년 12월 15일이었다. 만약 이번에 사면·복권이 이뤄진다면 형 집행 8개월 만에 출소하게 되며, 정치 활동 제한도 해제된다. 광복절 특사를 앞두고 진보 진영은 조 전 대표를 ‘윤석열 정권 검찰권 남용의 피해자’로 규정하며 사면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시민사회와 종교계 일부도 ‘검찰권 남용 피해 회복’과 ‘사회 통합’을 이유로 사면 촉구 서한을 대통령실에 제출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 역시 지난 5일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과의 면담에서 조 전 대표 사면의 필요성을 직접 전달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최근 조 전 대표를 서울남부교도소에서 면회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정치권에서 ‘특사 군불 때기’라는 해석도 나왔다.그러나 반대 여론도 적지 않다. 조 전 대표가 형기의 절반도 채우지 않은 상태에서, 취임 두 달여 만에 정치인에 대한 사면권을 행사하는 것은 국정 운영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광복절 특사가 민생 중심의 의미를 담아야 한다는 점에서, 정치인 사면이 특사의 본 취지를 희석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그럼에도 대통령은 조 전 대표를 ‘과잉수사의 희생자’로 보는 인식에 공감하며, 사면·복권 방향으로 결심을 굳힌 것으로 해석된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도 인사청문회에서 조 전 대표 특별사면과 관련해 “죄와 형벌 사이의 비례성과 균형성이 결여돼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사면 필요성에 동의하는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사면 대상은 국무회의 의결 이후 공식 발표될 것이며, 그 과정에서 대통령의 최종 결심이 반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광복절 특사가 정치 지형과 향후 국정 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