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우린 라면 안 팔아요" 101년 역사 삼양그룹의 절박한 외침

 "너 삼양 들어간 뒤로, 뭐 라면 판다고 내가 바쁜 건 알겠는데…." "몇 번 말해! 라면 만드는 그 회사 아니라고." 이 대화는 최근 삼양그룹이 제작한 45초짜리 광고 영상의 한 장면이다. 배우 박정민을 모델로 기용한 이 광고는 삼양그룹과 삼양식품 간의 혼동을 해소하기 위한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최근 '불닭볶음면'의 글로벌 인기와 함께 삼양식품의 주가가 급등하면서, 전혀 다른 기업인 삼양그룹이 의도치 않게 오해를 받는 상황이 빈번해졌다. 이에 삼양그룹은 "동명이사(同名異社)와의 오인지를 해소하기 위해 드라마 형식으로 광고를 제작했다"고 밝혔다.

 

삼양그룹은 '큐원' 브랜드로 설탕, 밀가루, 알룰로스, 상쾌환 등의 식품 사업을 일부 운영하고 있지만, 주력 사업은 화학, 의약바이오, 패키징 등 B2B(기업간거래) 분야다. 지난달에는 지주사인 삼양홀딩스가 의약바이오 부문을 인적분할해 '삼양바이오팜'을 설립하는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작년 창립 100주년을 맞아 '생활의 잠재력을 깨웁니다, 인류의 미래를 바꿉니다'라는 슬로건도 발표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삼양그룹 직원들은 자신이 어디에 다니는지 소개할 때마다 "저 불닭볶음면 좋아해요", "주가 많이 올라서 좋겠어요"라는 반응을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오해가 지속되자 결국 회사는 적극적인 브랜드 정체성 알리기에 나섰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인재 채용 과정에서도 발생했다. 지원자들이 자기소개서에 "저는 어렸을 때부터 불닭볶음면을 즐겨 먹고 자랐고..."와 같은 내용을 작성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회사의 고민이 깊어졌다. 이에 삼양그룹은 채용 시즌에 홈페이지에 '우리 회사는 삼양식품과는 다른 회사이니 신중하게 검토 후 지원해달라'는 팝업창을 띄우기도 했다. 심지어 인스타그램 그룹 계정 프로필에는 '우리 라면 안 팔아요'라는 문구를 가장 앞에 배치했다.

 

두 회사는 한자(三養)까지 동일하지만, 역사는 크게 다르다. 삼양그룹의 역사는 101년으로 삼양식품(64년)보다 훨씬 오래되었다. 삼양그룹 관계자는 "원래 B2B가 주력이라 기업 브랜드에 많은 관심을 쏟는 회사가 아니었는데, 상황이 이렇게 되면서 적극적으로 기업을 알려야겠다는 판단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광고는 소셜미디어와 OTT 등 젊은 층이 주로 이용하는 매체를 통해 방영된다. 특히 타깃을 20~30대로 설정해 40대 이상보다는 젊은 층에게 더 많이 노출되도록 전략을 세웠다. 삼양그룹은 이러한 노력을 통해 기업 정체성에 대한 오해를 해소하고, 올바른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고자 한다.

 

악성 유튜버 덕분에 뭉쳤다? 더본코리아, 점주들과 초강력 연대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 더본코리아(475560)가 일부 유튜버의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 강력한 대응에 나선다. 더본코리아는 이달 내로 본사와 가맹점 간 실질적인 상생 구조를 제도화하는 공식 협의체인 ‘상생위원회’의 긴급 개최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이번 조치는 더본코리아 가맹점 점주들의 모임인 점주협의회가 최근 일부 유튜버의 ‘백종원 시리즈’ 영상에 대한 본사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며 공식 요청서를 제출한 데 따른 것이다. 요청서에는 빽다방, 홍콩반점, 역전우동, 새마을식당, 한신포차 등 주요 브랜드 점주협의회가 공동으로 의견을 모았다.점주협의회는 “일부 유튜버가 더본코리아와 그 관계자에 대해 오로지 비방과 혐오를 목적으로 과잉 감시와 추적을 일삼고 있다”며 “무차별적인 의혹 제기와 악의적 유포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굿바이 백종원’ 등 표적 방송 제목까지 등장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해당 유튜버의 영상에서는 “새마을식당 고기, 홍콩반점 식재료는 저질재료만 사용한다더라”, “빽다방은 장사가 안돼서 원두 유통기한 때문에 500원 행사를 했다더라”, “홍콩반점 짜장면 3900원 행사는 유통기한 지난 소스를 쓰는 거다” 등 근거 없는 허위 주장과 혐오성 유언비어가 무차별적으로 퍼지고 있다.점주들은 “이 같은 허위 정보와 악성 댓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매장 운영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며 “생존의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가짜뉴스를 뿌리는 유튜버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 등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도 점주들의 현실적 피해와 맞닿아 있다는 입장이다.더본코리아 관계자는 “그동안 조회수 증가를 노린 검증되지 않은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 대응을 자제해왔지만, 점주님들의 심각한 피해 호소에 따라 철저하고 강력한 대응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라며 “악의적인 특정 유튜버에 대해 더는 묵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더본코리아는 이번 상생위원회에서 본사와 가맹점 간 신뢰 회복 및 실질적인 상생 방안 마련에 집중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에 미칠 영향에도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