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이대로는 미래 없다!" 부산 해양영화제, 숨 막히는 해양 재앙 경고

 해양 도시 부산에서 바다와 인간의 관계를 깊이 탐구하는 '2025 국제해양영화제'가 오는 19일, 그 여덟 번째 막을 올린다. 4일간의 일정으로 부산 해운대 영화의전당에서 펼쳐지는 이번 영화제는 바다를 향한 인류의 오랜 관심과 미래 세대가 함께 보존해야 할 해양 환경의 중요성을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생생하게 전달할 예정이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해양'이라는 특정 주제에 집중하는 국제해양영화제는 해양 환경 보호, 생태계 보전, 해양 문화와 산업, 그리고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등 해양과 관련된 다채로운 주제를 폭넓게 다루며 해양 문화 확산에 기여해 왔다. 2018년 첫 회를 시작으로 매년 성장을 거듭하며 이제는 명실상부한 국내 대표 해양 특화 영화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부산시와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공동 주최하고 국제해양영화제 조직위원회가 주관하는 이번 영화제는 '바다가 닿는 곳'이라는 주제 아래, 전 세계 10개국에서 초청된 총 34편의 엄선된 장·단편 해양 영화를 관객들에게 선보인다. 이 주제는 단순히 지리적인 경계를 넘어, 바다가 인류의 삶, 문화, 생태계와 어떻게 연결되고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담고 있다. 육지와 바다의 상호작용, 해양 오염의 전 지구적 영향, 바다를 터전으로 살아가는 공동체의 이야기 등 다양한 관점에서 '바다가 닿는 곳'의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작품들이 상영 목록에 포함되었다.

 

올해 영화제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작으로는 칠레 출신의 이그나치오 워커(Ignacio Walker)와 데니스 아르케로스(Denis Arqueros) 감독이 공동 연출한 다큐멘터리 '소피아의 상어 이야기(Her Shark Story)'가 선정되어 주목받고 있다. 이 작품은 특정 해양 생물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함께 해양 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영화제의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화제의 대미를 장식할 폐막작은 정윤철 감독의 '바다 호랑이'로, 한국 해양 영화의 현재를 보여주는 동시에 깊은 울림을 선사할 예정이다.

 


주요 상영작 라인업 또한 풍성하다. 알래스카의 광활한 자연 속 캐트마이 산을 향한 여정 중 마주한 쓰레기 문제와 그에 대한 성찰을 담은 다큐멘터리 '발자국을 따라가면'은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운다. 심해 생태계의 신비로움과 그곳을 위협하는 인간 활동에 대한 경고, 그리고 해양 보호의 시급성을 역설하는 '오션 와치: 더 깊은 곳으로'는 과학적 탐사와 환경 메시지를 결합한 작품이다. 또한, 바다를 배경으로 상처 입은 인간 내면이 치유되고 회복되는 과정을 섬세하게 그린 극영화 '써니데이'는 바다가 단순한 자연 배경을 넘어 인간 삶의 중요한 일부이자 위안의 공간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시선과 형식으로 바다를 담아낸 작품들이 관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영화 상영과 더불어 관객들이 영화와 해양 이슈에 대해 더 깊이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마련된다. 영화 상영 후 감독이나 전문가와 직접 대화하는 '관객과의 대화(GV)', 해양 환경이나 생태계에 대한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강연', 그리고 특정 해양 이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토크쇼'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부대행사는 영화 관람을 넘어 해양의 가치에 대한 공론의 장을 마련하고, 관객들이 해양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 국제해양영화제는 단순한 영화 상영을 넘어, 바다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이 모여 해양의 아름다움을 찬양하고, 동시에 우리가 직면한 해양 환경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며 해결책을 모색하는 중요한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이번 영화제가 해양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실천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150년 만에 깨진 '남성 전용 구역'... MLB 첫 여성 심판 젠 파월, 주심으로 나선다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가 창설 150여 년 만에 첫 여성 심판을 맞이한다. 디애슬레틱과 AP통신 등 주요 외신은 7일(현지시간) 젠 파월(48)이 이번 주말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열리는 브레이브스와 마이애미 말린스의 경기에 심판으로 투입된다고 보도했다.파월은 오는 9일(현지시간) 더블헤더 경기에서 누심으로, 10일(현지시간) 경기에서는 주심으로 나선다. 여성이 MLB 정규시즌 경기에서 심판을 맡는 것은 메이저리그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로버트 맨프레드 MLB 커미셔너는 "파월이 노력과 헌신, 경기에 대한 애정으로 야구계에서 역사적인 성과를 일궈냈다"며 "그가 모든 여성과 소녀들에게 훌륭한 본보기가 돼 자랑스럽다"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이어 "메이저리그를 대표해 뜻깊은 이정표를 세운 파월과 그의 가족에 진심으로 축하의 말을 전한다"고 덧붙였다.메이저리그심판협회(MLBUA)도 성명을 통해 "파월의 역사적인 메이저리그 데뷔를 축하한다"며 "이는 단순한 파월 개인의 성취를 넘어 심판계와 스포츠 분야에서 여성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끄는 획기적인 발걸음"이라고 평가했다.데이브 로버츠 LA다저스 감독 역시 "야구계가 포용성 측면에서 훌륭한 모습을 보여줬다"며 "경기를 지켜볼 예정이다. 야구계 전체에도 좋은 일"이라고 환영의 뜻을 밝혔다.뉴저지주 출신인 파월은 학창 시절 소프트볼과 축구 선수로 활약했다. 소프트볼 장학생으로 호프스트라 대학에 입학했으며, 2001년에는 미국 여자야구 국가대표로 발탁되기도 했다. 이후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대학스포츠협회(NCAA) 소프트볼 심판을 지냈고, 2015년 MLB 심판 트라이아웃 캠프를 수료했다.파월은 2016년부터 마이너리그에서 심판으로 활동하며 경력을 쌓았다. 지난해 2월부터는 MLB 스프링캠프 시범경기에서 심판을 봤는데, 여성이 MLB 시범경기 심판으로 나선 것은 2007년 리아 코르테시오 이후 14년 만의 일이었다.메이저리그는 다른 주요 프로 스포츠 리그에 비해 여성 심판 기용이 다소 늦은 편이다. 미국프로농구(NBA)는 이미 1997년에 첫 여성 심판을 배출했고, 미국프로풋볼(NFL)은 2015년, 국제축구연맹(FIFA)은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여성 심판을 투입했다. 다만 북미아이스하키리그(NHL)에서는 아직까지 여성 심판이 배출되지 않았다.파월의 메이저리그 심판 데뷔는 스포츠계에서 성별 장벽을 허무는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로 기록될 전망이다. 그녀의 첫 경기는 야구 팬들뿐만 아니라 스포츠계 전체의 관심을 모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