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이준환, 동메달 따는 것도 '간지나게' 한판승! 3년 연속 시상대 도장깨기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뜨거운 유도 매트 위, 남자 81kg급 세계랭킹 1위 이준환(23·포항시청)에게 전 세계의 시선이 쏠렸다. 명실상부한 최강자로서 나선 2025 국제유도연맹(IJF) 세계선수권대회. 모두가 그의 금빛 메치기를 기대했지만, 세계선수권의 길은 언제나 험난했다. 치열한 승부 끝에 이준환은 다시 한번 동메달 결정전이라는 중압감 넘치는 무대에 서게 되었다. 하지만 그가 이곳에서 따낸 동메달은 단순한 메달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

 

동메달을 놓고 맞붙은 상대는 세계랭킹 31위의 아르슬론베크 토이예프(우즈베키스탄). 랭킹만 놓고 보면 이준환의 우세가 점쳐졌지만, 동메달의 간절함과 세계 1위를 꺾겠다는 투지 앞에 랭킹은 무의미했다. 경기는 예상과 달리 팽팽하게 흘러갔고, 이준환은 초반 토이예프의 거센 압박에 잠시 주춤하며 유효 포인트를 내주는 듯 위기를 맞기도 했다. 세계 1위라는 타이틀이 주는 압박감과 상대의 예상치 못한 전략 앞에 흔들리는 듯 보였다.

 

그러나 이준환은 역시 세계 최정상급 선수였다. 위기 속에서도 빠르게 평정심을 되찾은 그는 자신의 페이스를 찾아나갔다. 경기 시작 1분 30초경, 그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상대를 완벽하게 제압하며 귀중한 절반(Waza-ari)을 따냈다. 단숨에 경기를 뒤집는 중요한 포인트였다. 역전의 발판을 마련한 이준환은 더욱 날카롭게 파고들었고, 승기를 잡기 위한 맹공을 퍼부었다.

 

그리고 마침내 드라마가 완성되는 순간이 찾아왔다. 경기 종료를 약 1분 20초 남긴 시점, 이준환의 전매특허인 왼쪽 외깃업어치기가 작렬했다. 세계 1위의 파워와 기술이 응축된 완벽한 기술이었다. 토이예프는 속수무책으로 당하며 그대로 매트에 꽂혔고, 심판은 망설임 없이 '한판(Ippon)'을 선언했다. 절반 두 개로 경기를 마무리 짓는 짜릿한 한판승이었다.

 


이로써 이준환은 2023년, 2024년에 이어 2025년까지, 3년 연속 세계선수권대회 시상대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매년 새로운 강자들이 등장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는 세계 유도 무대에서 3년 연속 메달을 획득하는 것은 극히 드문 위업이다. 이는 이준환이 단순한 반짝 스타가 아닌, 꾸준함과 변함없는 기량으로 세계 최정상급 자리를 지키고 있음을 명확히 증명하는 결과다. 세계 1위라는 타이틀의 무게를 견디고, 어떤 상대에게도 흔들리지 않는 강철 멘탈을 지녔음을 보여준 값진 동메달이었다.

 

비록 이번 대회 금메달은 랭킹 5위 아르부조프(러시아), 은메달은 8위 그리가라시빌리(조지아)에게 돌아갔지만, 이준환은 세계 최정상급 선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자신의 존재감을 다시 한번 각인시켰다. 부다페스트에서 3년 연속 메달이라는 값진 성과를 거둔 이준환의 시선은 이제 다가올 파리 올림픽 금메달을 향하고 있다. 세계 1위로서의 압박감을 이겨내고, 좌절 속에서도 다시 일어서는 그의 유도는 한국 유도의 희망이자 자부심으로 빛나고 있다.

 

'안전장치 없이 몸으로 기계 관리'... SPC삼립의 충격적 '인체 윤활유' 작업 관행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노동자 양 모 씨가 스파이럴 냉각 컨베이어 기계에 끼여 사망한 사고와 관련해 충격적인 작업 환경이 드러나고 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현재 사고 원인과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감정 결과에 따르면, 사고 당시 윤활유 자동분사 장치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이로 인해 양 씨가 직접 기계 아래쪽 공간에 몸을 숙이고 들어가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다가 돌아가는 기계에 상반신이 끼여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러한 위험한 작업 방식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같은 공장에서 근무했던 전직 직원들의 증언에 따르면, 평소 기계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자주 났고, 그럴 때마다 작업자들이 직접 몸을 기계 안으로 넣어 윤활유를 칠해야 했다고 한다.한 전직 직원은 "밑에 들어가서 쪼그려서 컨베이어를 닦다가 걸레가 빨려 들어가는 것을 보고 상당히 위험하다는 것을 느꼈다"며 "옷 일부가 끼었다면 아무래도 끌려 들어갈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증언했다. 또 다른 전직 직원도 "항상 밑으로 기어들어가서 작업했다"며 "잘못 움직이면 끌려 들어갈 수도 있어 매우 조심스러웠다"고 말했다.경찰 조사 결과, 해당 기계에는 끼임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는 안전장치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공장 내 소음이 심해 동료들이 양 씨의 사고를 알아채기까지 2분 이상 소요된 것으로 드러났다. 한 전직 직원은 "작업장이 굉장히 시끄럽고 작업자들이 다 떨어져 있어서 도움을 요청해도 소음 때문에 듣기 어렵다"고 설명했다.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사고 원인 규명과 함께 업체 측이 노동자들의 위험한 작업 환경을 인지하고도 방치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이에 대해 SPC 측은 윤활유 자동분사장치는 제대로 작동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하며, 수사기관의 현장 감식 당시에는 사고로 설비가 파손돼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하지만 작업자들이 직접 윤활유를 뿌리기 위해 기계 안으로 들어가야 했다는 증언에 대해서는 "수사 중인 사안"이라며 명확한 답변을 회피했다.이번 사고를 계기로 제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동자의 안전보다 생산성을 우선시하는 작업 환경과 부실한 안전장치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