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뇌세포 죽이는 ‘이 음식’..파킨슨병 위험 2.5배 높여

 과자, 가공육, 조미료 등 이른바 ‘초가공식품’을 자주 섭취할수록 파킨슨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킨슨병은 도파민을 생성하는 뇌의 신경세포가 점점 파괴되면서 떨림, 근육의 강직, 느린 움직임 등의 운동장애 증상을 유발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최근 영국과 중국 연구진이 각각 발표한 연구는 초가공식품과 이 질환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등 주요 외신은 킹스칼리지 런던 연구진이 발표한 새로운 연구 내용을 소개했다. 연구진은 파킨슨병 환자 88명과 건강한 대조군을 비교 분석한 결과, 파킨슨병 환자들의 장내 미생물 군집이 현저히 달라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구체적으로는 장내 유익균의 수가 눈에 띄게 적고, 반대로 유해균은 더 많이 분포해 있었던 것이다.

 

해당 연구의 공동 저자인 프레더릭 클라센 박사는 “유해 세균이 파킨슨병 증상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들이 질병의 악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초가공식품에 들어 있는 인공 첨가물들이 장내 세균 환경을 교란시키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 반응이 결국 뇌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이 화학물질들이 신경세포를 직접 손상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비슷한 시기, 중국에서도 유사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중국 연구진은 초가공식품 섭취와 파킨슨병 초기 증상 발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는데, 그 결과 하루 11회 이상 초가공식품을 섭취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파킨슨병 초기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무려 2.5배나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식습관 문제가 아닌, 뇌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초가공식품에 흔히 포함된 유화제, 감미료, 방부제 등의 화학 첨가물이 장내 미생물 균형을 무너뜨린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첨가물은 유익균을 파괴하고 유해균의 비율을 높이며, 그 결과 장 점막에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이 염증이 뇌로 전달되면 뇌세포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손상되기 쉬운 구조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파킨슨병은 아직 완치 방법이 없고, 조기 진단과 증상 완화를 위한 관리가 중요한 질환이다. 때문에 질병의 위험 요인을 사전에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초가공식품 섭취를 줄이는 것이 파킨슨병 발병 위험을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특히 고령자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라면 더 신중한 식습관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영양학자들은 “균형 잡힌 식단, 특히 신선한 채소와 과일, 통곡물, 발효식품 등은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과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이러한 식단은 파킨슨병뿐 아니라 알츠하이머병, 우울증 등 다양한 뇌질환의 예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장내 미생물 생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장 건강과 뇌 건강의 상관관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장-뇌 축(Gut-Brain Axis)’이라는 개념이 대두되며, 장내 환경이 뇌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 역시 그 연장선에서, 단순한 식습관이 뇌신경계 질환 발병과 연관될 수 있다는 경고를 던진다.

 

전문가들은 파킨슨병뿐만 아니라 다른 만성 질환 예방을 위해서도 초가공식품의 섭취를 최소화하고, 가능한 한 자연식품 위주의 식사를 할 것을 권장한다. 무엇보다도 과자를 비롯한 각종 스낵류, 인스턴트 식품, 냉동 가공육 등은 장기적으로 뇌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위험 요소’로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악성 유튜버 덕분에 뭉쳤다? 더본코리아, 점주들과 초강력 연대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 더본코리아(475560)가 일부 유튜버의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 강력한 대응에 나선다. 더본코리아는 이달 내로 본사와 가맹점 간 실질적인 상생 구조를 제도화하는 공식 협의체인 ‘상생위원회’의 긴급 개최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이번 조치는 더본코리아 가맹점 점주들의 모임인 점주협의회가 최근 일부 유튜버의 ‘백종원 시리즈’ 영상에 대한 본사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며 공식 요청서를 제출한 데 따른 것이다. 요청서에는 빽다방, 홍콩반점, 역전우동, 새마을식당, 한신포차 등 주요 브랜드 점주협의회가 공동으로 의견을 모았다.점주협의회는 “일부 유튜버가 더본코리아와 그 관계자에 대해 오로지 비방과 혐오를 목적으로 과잉 감시와 추적을 일삼고 있다”며 “무차별적인 의혹 제기와 악의적 유포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굿바이 백종원’ 등 표적 방송 제목까지 등장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해당 유튜버의 영상에서는 “새마을식당 고기, 홍콩반점 식재료는 저질재료만 사용한다더라”, “빽다방은 장사가 안돼서 원두 유통기한 때문에 500원 행사를 했다더라”, “홍콩반점 짜장면 3900원 행사는 유통기한 지난 소스를 쓰는 거다” 등 근거 없는 허위 주장과 혐오성 유언비어가 무차별적으로 퍼지고 있다.점주들은 “이 같은 허위 정보와 악성 댓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매장 운영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며 “생존의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가짜뉴스를 뿌리는 유튜버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 등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도 점주들의 현실적 피해와 맞닿아 있다는 입장이다.더본코리아 관계자는 “그동안 조회수 증가를 노린 검증되지 않은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 대응을 자제해왔지만, 점주님들의 심각한 피해 호소에 따라 철저하고 강력한 대응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라며 “악의적인 특정 유튜버에 대해 더는 묵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더본코리아는 이번 상생위원회에서 본사와 가맹점 간 신뢰 회복 및 실질적인 상생 방안 마련에 집중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에 미칠 영향에도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