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륙 50초 만에 “메이데이!”..비상구 근처 1명 극적 생존


2025년 6월 12일, 인도 서부 구자라트주 아마다바드의 사르다르 발라브바이 파텔 국제공항에서 에어인디아 AI171편 여객기가 이륙 직후 추락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보잉 787-8 드림라이너 기종인 이 여객기에는 승객 230명과 승무원 12명 등 총 242명이 탑승하고 있었으며, 탑승자 대부분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지 경찰은 사고 현장에서 시신 200구 이상을 수습하는 한편, 부상자 40여 명을 병원으로 이송했다고 밝혔다. 사고기는 영국 런던 개트윅 공항행으로 출발했으며, 탑승객 국적은 인도인 169명, 영국인 53명, 포르투갈인 7명, 캐나다인 1명으로 집계됐다. 한국인 탑승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사고 당시 공항의 폐쇄회로(CC)TV 영상에는 여객기가 이륙 후 바퀴를 들어 올리고 약 20초 만에 급격히 하강 곡선을 그리며 추락하는 모습이 담겼다. 여객기는 이륙 50초 만에 지상과 충돌해 대규모 화염과 검은 연기를 발생시켰다. 사고 당시 여객기의 고도는 190미터에 불과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여객기 추락 지점은 공항 인근의 주거지역과 인접해 있었으며, 여객기가 추락하면서 주변에 위치한 아마다바드 시민병원 의대생 기숙사, 교직원 숙소, 기타 거주 시설 등이 피해를 입어 약 50여 명의 주민들이 부상을 입었다. 특히 의대생 3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돼 인명 피해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아마다바드 경찰은 사고 현장에서 시신 204구를 수습했으며, 부상자 41명을 인근 병원으로 긴급 이송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부상자 수에는 추락 사고와 직접 관련 없는 주변 주민들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직후 경찰은 탑승객 전원 사망을 발표했으나, 후속 조사에서 11A 좌석에 탑승한 인도계 영국인 남성 1명이 극적으로 생존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생존자는 신속히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 민간항공국(DGCA)은 사고기 기장이 이륙 직후 긴급 상황을 알리는 메이데이(비상선언)를 관제탑에 보냈으며, 이후 곧바로 비행기와의 교신이 끊겼다고 밝혔다. 항로 추적 사이트인 플라이트레이더24의 기록에 따르면, 여객기는 이륙 후 1분도 되지 않아 비행 관제와의 교신이 완전히 중단됐다. 이처럼 급작스러운 상황 전개는 사고 발생 원인에 대한 의문을 더욱 키우고 있다.

 

보잉 787 드림라이너 기종은 2009년 첫 운항을 시작했으며, 이번 사고는 해당 기종의 최초 치명적 추락 사고로 기록될 전망이다. 사고기는 2013년 첫 비행을 한 후 2014년 1월 에어인디아에 인도된 상태로, 약 11년간 운항해 왔다. 보잉사는 사고 직후 “추가 정보를 수집 중”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번 여객기는 장거리 비행을 위해 연료를 가득 채운 상태였기 때문에 추락 시 발생한 대규모 화재는 연료 탱크 폭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사고 현장에선 목격자들이 큰 폭발음과 함께 거대한 불길이 치솟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전했다. 소셜미디어에는 사고 순간과 이후의 검은 연기와 화염 장면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추락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인도 정부는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NTSB) 조사단과 영국 정부 조사팀의 현지 파견을 승인했다. 이들 국제 조사팀은 사고기 블랙박스(비행기 기록장치) 회수 및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고 원인 규명에 착수할 예정이다. 사고기가 이륙 직후 갑작스럽게 추락한 점, 그리고 비행 기록이 갑자기 중단된 점으로 미뤄 볼 때 기체 결함, 조종사의 판단 미스, 혹은 기상 악화 등의 여러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이번 사고는 인도 항공 역사상 최악의 참사 중 하나로 기록될 가능성이 높다. 수백 명의 생명을 앗아간 이번 비극은 전 세계 항공안전 관련 기관의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관련 당국은 신속한 사고 조사와 함께 피해자 가족 지원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사고 여파가 인근 주거 지역에까지 미친 만큼, 지역 주민들의 피해 상황 조사와 지원에도 집중하고 있다.

 

아마다바드 공항 측과 인도 민간항공국은 사고 여객기의 정비 및 운항 기록을 긴급히 검토 중이며, 사고와 관련한 추가 정보를 계속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사고가 발생한 보잉 787 드림라이너는 첨단 복합소재로 제작돼 연료 효율이 뛰어난 최신 기종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사고를 계기로 해당 기종에 대한 안전성 점검 요구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사고 현장 인근 주민과 목격자들은 대형 참사 현장을 목격한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현지 당국과 구조대는 잔해 수습과 인명 구조에 전력을 쏟고 있다. 앞으로도 추가 희생자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긴장감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 참사는 인도뿐 아니라 전 세계 항공 산업 전반에 큰 충격을 주며, 사고 원인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과 조사가 이어질 전망이다. 모든 시선이 신속하고 철저한 사고 규명과 안전 대책 마련에 집중되고 있다.

 

한국 상대로 10년간 단 한 번만 이겼다...중국 축구, '영원한 동생' 신세 자인하나?

 중국 축구대표팀이 한국에 3-0으로 패배하며 6경기 연속 패배라는 굴욕적인 기록을 세웠다. 중국 매체 '넷이즈'는 7일 "0-3으로 참패한 중국 남자축구대표팀은 대한민국에 6연패를 당하면서 47년 만에 치욕적인 패배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7일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중국과의 1차전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3-0 완승을 거뒀다. 이번 대회는 FIFA가 정한 A매치 기간이 아니라 손흥민(토트넘), 이강인(PSG) 등 유럽파 선수들이 참가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중국을 완벽하게 제압했다.경기는 전반 8분 이동경(김천상무)의 왼발 감아차기 선제골로 시작됐고, 전반 21분 주민규(대전하나시티즌)의 추가골로 리드를 확대했다. 후반 11분에는 코너킥 상황에서 김주성(FC서울)이 쐐기 골을 넣으며 3-0 완승을 확정지었다.대회를 앞두고 중국은 한국이 유럽파 핵심 선수들 없이 국내파 위주로 팀을 꾸렸기에 승리를 기대했다. 일부 중국 매체는 이번 한국 대표팀을 '2군팀'이라고 폄하했지만, 결과적으로 이 '2군'에게 완패하면서 큰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경기 후 중국 매체는 "홍명보 감독의 '대한민국 2군'이 중국 남자 축구대표팀을 단숨에 물리쳤다"며 "이번 비극적인 패배로 인해 중국 축구대표팀은 많은 부끄러운 기록을 세웠다"고 전했다.'넷이즈'에 따르면 이번 패배로 중국은 한국에 6경기 연속 패배라는 수모를 당했다. 중국의 마지막 한국전 승리는 2017년 3월 1-0 승리가 유일하며, 이후 7경기(1무6패) 동안 승리가 없었다. 특히 "한국에 6연패를 당한 것은 1978년 이후 중한 축구 대결 역사상 최초의 사례로, 47년 만의 부끄러운 기록"이라고 매체는 강조했다.더 충격적인 것은 중국이 이 6연패 기간 동안 단 한 골도 넣지 못했다는 점이다. 0골 13실점이라는 처참한 성적표는 한국을 상대로 한 중국의 가장 긴 무득점 기록이 되었다. 또한 "0-3 패배는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한국을 상대로 한 역대 최다 점수차 패배 기록과 타이를 이뤘다"며 "동아시안컵이 출범한 이래로 중국 축구대표팀은 대회 10회 연속으로 첫 경기에서 승리하지 못했다"고 매체는 덧붙였다.중국 해설가 위안지아도 한국전 이후 중국 대표팀의 경기력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우리 선수들의 기량이 부족하지만, 특히 한국 2군을 상대로 그렇게까지 형편없어서는 안 됐다"며 "중국 팀의 플레이는 무의미했다. 골을 넣는 것조차 정말 어려웠고, 수비진은 허점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더 나아가 "만약 한국이 좀 더 진지했다면, 전반전에 3-0으로 앞서 나갔을 것"이라며 "이 팀은 팀이라고 할 수 없다"고 중국 축구의 현주소를 냉정하게 평가했다.이번 패배로 중국 축구는 한국과의 경쟁에서 완전히 밀려난 모습을 보였으며, 동아시안컵 첫 경기부터 큰 타격을 입었다. 홍명보호는 이번 승리로 대회 첫 경기를 기분 좋게 시작하며 대회 우승을 향한 순조로운 첫걸음을 내디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