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46명의 업계 거물들이 모인 이유... 컴업 2025가 노리는 '글로벌 넥서스' 전략의 실체

 코리아스타트업포럼(코스포)이 벤처기업협회, 한국벤처캐피탈협회와 함께 '컴업 2025'를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다고 13일 발표했다. 이에 앞서 코스포는 12일 서울 강남구 마루180에서 컴업 2025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리는 자문위원회 킥오프 미팅을 진행했다.

 

이번 킥오프 미팅에서는 지난해 컴업의 주요 성과를 되짚어보고, 올해 행사의 전반적인 운영 계획과 프로그램 구성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올해 컴업은 '글로벌 플랫폼'(Global Nexus)이라는 비전 아래, 단순한 전시회나 피칭 행사를 넘어 전 세계 창업 생태계의 다양한 주체들이 연결되는 글로벌 네트워킹 플랫폼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컴업 2025의 차별화된 전략으로는 국가 및 지역별 타깃 설정을 통한 글로벌 연계 강화가 꼽힌다. 아시아, 북미, 유럽 등 주요 권역은 물론, 아프리카, 인도, 남미 등 신흥시장까지 폭넓게 아우르며 각 지역의 스타트업 시장 특성과 투자 수요를 반영한 세분화된 접근법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들의 해외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글로벌 투자 유치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또한 초청 대상도 기존의 투자자와 스타트업에서 각국 정부, 유관 지원기관, 글로벌 기업 및 대·중견벤처기업 등으로 확대해 실질적인 국제 네트워킹과 비즈니스 협력의 장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러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혁신을 위한 협력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컴업 2025 자문위원회는 총 46명으로 구성되며, 위원장은 한상우 코스포 의장이 맡았다. 자문위원들은 스타트업 및 벤처업계 협·단체장, 글로벌 및 대기업 관계자, 스타트업 대표 등 각 전문 분야에 따라 △컨퍼런스 △스타트업 △투자 △오픈이노베이션(OI) △홍보 등 5개 분과로 나뉘어 활동하게 된다.

 

자문위원회에는 류중희 RLWRLD 대표, 손재권 더밀크 대표, 이한빈 서울로보틱스 대표, 조민식 한국엔젤투자협회 회장,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 정남이 아산나눔재단 상임이사, 정근호 스틱벤처스 대표, 이종훈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 대표, 정상민 쿠팡 상무, 전필규 삼성전자 창의개발센터장 등 스타트업 생태계의 핵심 인사들이 대거 참여한다.

 

한상우 코리아스타트업포럼 의장은 "창업과 혁신은 대한민국 산업 전반의 성장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답"이라며 "컴업은 단순한 스타트업 행사를 넘어, 창업 생태계 활성화의 중요성과 혁신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리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올해는 특히 혁신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고 투자·비즈니스 연계를 강화해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가 한 단계 더 도약하는 전환점을 만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컴업 2025는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내외 투자자와 기업 간의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 밤새 '이불 뻥뻥' 열대야! 낮엔 '땀샘 폭발' 무더위

 제주도가 연일 이어지는 무더위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밤사이 최저기온이 25도를 웃도는 열대야 현상이 제주도 북부와 남부,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나타나면서 도민과 관광객 모두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내고 있다. 낮에는 최고 체감온도가 33도를 넘어서는 폭염이 기승을 부리며, 온열질환 발생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7일 제주지방기상청 발표에 따르면, 전날 저녁부터 이날 아침까지 제주 주요 지점의 최저기온은 제주(북부) 26.2도, 서귀포(남부) 25.4도, 고산(서부) 25.8도를 기록하며 열대야 기준인 25도를 훌쩍 넘겼다. 이로 인해 밤에도 에어컨 없이는 잠들기 힘든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들어 현재까지 집계된 열대야 일수는 제주 8일, 서귀포 8일, 성산 2일, 고산 5일로, 예년보다 이른 시기에 열대야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기상청은 이 같은 열대야 현상의 원인으로 "고온다습한 남풍류가 제주도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밤사이 기온이 충분히 내려가지 못한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밤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을 기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밤에도 지표면의 열을 가두면서 기온 하강을 방해하고, 이는 곧 숨 막히는 열대야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밤뿐만 아니라 낮에도 맹렬한 더위가 제주도를 덮치고 있다. 현재 제주 동부 지역에는 '폭염경보'가 발효 중이며, 제주 북·서·남부 지역에는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산지와 추자도를 제외한 제주 전역에서는 최고체감온도가 33도 이상으로 치솟아 매우 무더울 것으로 예보됐다. 습도가 높아 체감 온도는 실제 기온보다 훨씬 높게 느껴지면서 불쾌지수 또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기상청 관계자는 "온열질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야외 활동과 외출을 가급적 자제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해야 한다"고 거듭 당부했다. 특히 노약자, 어린이, 만성질환자 등 폭염 취약계층은 한낮 외출을 삼가고, 실내에서도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식중독 예방을 위해 음식물 관리를 철저히 하고,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빨리 섭취하거나 냉장 보관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개인 위생 관리의 중요성도 덧붙였다. 제주도의 찜통 더위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돼, 도민과 방문객 모두 건강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