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월드컵 진출 축하! 우즈벡 대통령, 축구 영웅들에게 '억대 SUV' 안겼다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이 역사상 처음으로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는 쾌거를 달성하며 온 나라가 축제 분위기에 휩싸였다. 특히 정부가 선수단에게 수십 대의 최신형 SUV 차량을 포상으로 지급하는 등 전례 없는 '통 큰' 지원에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우즈데일리 등 현지 언론 보도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대표팀은 지난 10일(한국시간) 수도 타슈켄트의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카타르와의 최종전을 3-0 완승으로 장식했다. 이미 지난 7일 아랍에미리트와의 무승부로 A조 2위를 확정하며 조기에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 지은 상태였기에, 이날 승리는 자축의 의미를 더했다.

 

경기가 끝난 후, 부뇨드코르 스타디움은 월드컵 본선 진출을 축하하는 성대한 기념 행사의 장으로 변모했다. 샤브카트 마르지요예프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고위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선수단의 노고를 치하했다. 이 자리에서 대표팀 선수들과 티무르 카파제 감독을 포함한 코치진 전원은 훈장, 대통령 표창, 명예 칭호, 메달 등 다양한 형태의 국가적 포상을 받았다.

 


가장 큰 화제가 된 것은 경기장 한편에 위용을 드러낸 수십 대의 검은색 SUV 차량 행렬이었다. 이는 마르지요예프 대통령이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역사적인 성과를 달성한 선수단에게 직접 준비한 특별 선물이었다. 선수 한 명 한 명에게 차량 한 대씩이 지급되는 파격적인 포상 규모에 현지 팬들은 물론 외신들까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우즈베키스탄은 소련 해체 이후 독립 국가로서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예선부터 아시아 무대에 도전장을 내밀었지만, 앞선 7차례의 시도에서 번번이 최종 문턱을 넘지 못했다. 2006년 독일 월드컵 예선에서는 바레인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아쉽게 패했고,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예선에서도 요르단과의 플레이오프에서 승부차기 끝에 좌절하는 등 수차례 고배를 마셨다. 8번째 도전 만에 마침내 월드컵 본선 진출이라는 숙원을 이루며 온 국민에게 큰 기쁨과 자긍심을 안겨주었다.

 

마르지요예프 대통령은 이번 성과가 "온 국민을 단결시키고 젊은 세대에게 영감과 교훈의 모범이 될 것"이라며, "새로운 우즈베키스탄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즈데일리는 "월드컵 본선 진출은 우즈베키스탄 축구 팬들이 수년간 기다려온 순간"이라며, 이번 쾌거가 온 국민을 하나로 만들었다고 전했다.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무대에서 우즈베키스탄 축구가 어떤 저력을 보여줄지 전 세계 축구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해외 안 가고 국내에서 플렉스? K-직장인, 여름휴가 '맛캉스' 지갑 활짝

 올해 여름휴가 트렌드가 단순히 개인의 여가 활동을 넘어, 국내 경제의 활력과 직장인들의 변화된 소비 패턴을 읽을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임을 보여준다.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이 해외 대신 국내를 선택한 배경에는 고물가 시대의 합리적 소비 심리와 더불어, 짧은 일정 속에서도 효율적인 재충전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조사에 따르면, 여름휴가 계획이 있는 직장인의 83.5%가 국내 여행을 선호했으며, 이는 작년 대비 더욱 높아진 수치다. 팬데믹 이후 해외여행의 문이 다시 열렸음에도 불구하고, 직장인들이 국내로 눈을 돌리는 것은 비용 효율성과 이동의 편리성, 그리고 국내 관광 인프라의 발전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강원권(34.9%), 경상권(27.9%), 제주(22.4%), 전라권(20.0%) 등 전국 각지의 매력적인 여행지가 고루 선택된 점은 국내 여행지의 다양성과 접근성이 높아졌음을 방증한다. 해외여행을 선택한 이들 역시 일본, 동남아 등 근거리를 선호하며, 전반적으로 '가성비'와 '가심비'를 동시에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하다.휴가 일정은 '2박 3일'(38.9%)이 가장 많고, '1박 2일'(21.3%)도 상당수를 차지하는 등 짧은 기간 내 효율적인 휴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는 직장인들이 긴 휴가를 내기 어려운 현실과 더불어, 짧은 주기로 자주 떠나는 '소확행' 여행을 선호하는 최근 트렌드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휴가비 지출 계획은 1인당 평균 53만 5천 원으로 작년 대비 9.4% 증가했다. 이는 물가 상승분을 고려하더라도, 국내 여행에 대한 지출 의사가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특히 식비(74.8%) 지출 의사가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은, 여행지에서의 미식 경험이 휴가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별, 연령별 휴가비 격차도 흥미로운데, 서울 직장인의 지출 계획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고 30대의 지출이 가장 많다는 점은 소득 수준과 소비 여력, 그리고 여행에 대한 가치 부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직장인들이 정부에 바라는 지원책으로는 '숙박권 할인'(50.8%),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혜택 확대'(36.5%), '교통비 할인'(35.8%) 등 실질적인 할인 혜택이 상위를 차지했다. 이는 형식적인 캠페인이나 사용처가 제한적인 쿠폰보다는, 직접적으로 휴가 비용 부담을 줄여주는 체감형 지원책에 대한 수요가 높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대한상의 김민석 팀장의 언급처럼, 이번 여름휴가 시즌은 내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기회다. 직장인들의 국내 여행 선호와 소비 증가 의지를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실질적인 혜택을 느낄 수 있는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 단순한 캠페인을 넘어, 숙박, 교통, 지역 상품권 등 실생활에 밀접한 할인을 확대함으로써, 직장인들의 휴가 소비가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할 시점이다. 이는 고물가 시대에 지친 직장인들에게는 재충전의 기회를, 지역 경제에는 활력을 불어넣는 상생의 해법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