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공연, 너도 나도 썸 타는 계절! "아르코 썸 페스타" 개막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 정병국, 이하 아르코)가 올여름, 공연예술계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을 '아르코 썸 페스타(ARKO SUM FESTA)'를 야심 차게 선보인다. 7월부터 8월까지 두 달간 펼쳐지는 이 축제는 연극, 무용, 음악, 전통예술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예술 축제들을 하나의 브랜드로 통합하여, 공동 홍보 및 협업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관객 저변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상의 모든 공연축제'라는 슬로건 아래, 전국 각지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공연들은 관객들에게 풍성한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르코 썸 페스타는 기존 아르코의 공연예술축제 지원사업인 '대한민국공연예술제'에 선정된 축제들을 하나의 우산 아래 모아 통합 브랜드로 구축한 것이다. 이전까지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축제들을 하나의 브랜드로 묶음으로써, 분산된 홍보 역량을 집중시켜 더욱 효과적인 마케팅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축제 간의 협력과 교류를 통해 새로운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노하우 공유 등 상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이번 아르코 썸 페스타에는 연극·뮤지컬, 무용, 음악, 전통예술 등 4개 분야에서 총 17개의 축제가 참여한다. 서울, 경기, 인천, 부산, 강원 등 전국 각지에서 개최되는 이 축제들은 지역적 경계를 넘어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선사할 예정이다. 특히, 각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다채로운 프로그램 구성은 지역 문화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극 부문에서는 대한민국연극제 인천, 늘푸른연극제, 청소년 대상 축제 등 다양한 연령층을 아우르는 작품들이 무대에 오른다. 젊은 연극인들의 실험적인 작품부터 중견 연극인들의 연륜이 묻어나는 깊이 있는 작품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연극을 만나볼 수 있다. 무용 부문에서는 한국을 빛내는 해외 무용스타 초청 공연을 비롯하여,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춤의 향연이 펼쳐진다. 특히, 춤&판 고무신 춤 축제는 전통 춤사위에 현대적인 감각을 더하여 관객들에게 신선한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음악 부문에서는 대구국제현대음악제, 줄라이 페스티벌, 힉엣눙크! 뮤직 페스티벌 등 실험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다. 클래식, 재즈, 국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통해 관객들의 귀를 즐겁게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음악적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통예술 부문에서는 국악과 마당극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통해 전통예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한다. 전통의 멋과 현대적인 감각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무대는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을 선사할 것이다.

 

아르코 썸 페스타의 시작을 알리는 '프리뷰 위크'는 7월 5일과 6일 양일간 서울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과 마로니에 공원 일대에서 개최된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를 미리 엿볼 수 있는 쇼케이스 공연을 비롯하여, 다양한 워크숍과 현장 이벤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프리뷰 위크를 통해 관객들은 축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을 미리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정병국 아르코 위원장은 "아르코 썸 페스타는 각 축제가 함께 모여 새로운 흐름을 만드는 첫걸음"이라며, "더 많은 관객과 만나고, 공연예술축제의 성장을 도모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르코 썸 페스타는 단순한 축제의 통합을 넘어, 한국 공연예술계의 발전과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르코 썸 페스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누리집과 인스타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안전장치 없이 몸으로 기계 관리'... SPC삼립의 충격적 '인체 윤활유' 작업 관행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노동자 양 모 씨가 스파이럴 냉각 컨베이어 기계에 끼여 사망한 사고와 관련해 충격적인 작업 환경이 드러나고 있다. 경찰과 고용노동부는 현재 사고 원인과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감정 결과에 따르면, 사고 당시 윤활유 자동분사 장치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은 이로 인해 양 씨가 직접 기계 아래쪽 공간에 몸을 숙이고 들어가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다가 돌아가는 기계에 상반신이 끼여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러한 위험한 작업 방식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같은 공장에서 근무했던 전직 직원들의 증언에 따르면, 평소 기계에서 삐걱거리는 소리가 자주 났고, 그럴 때마다 작업자들이 직접 몸을 기계 안으로 넣어 윤활유를 칠해야 했다고 한다.한 전직 직원은 "밑에 들어가서 쪼그려서 컨베이어를 닦다가 걸레가 빨려 들어가는 것을 보고 상당히 위험하다는 것을 느꼈다"며 "옷 일부가 끼었다면 아무래도 끌려 들어갈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증언했다. 또 다른 전직 직원도 "항상 밑으로 기어들어가서 작업했다"며 "잘못 움직이면 끌려 들어갈 수도 있어 매우 조심스러웠다"고 말했다.경찰 조사 결과, 해당 기계에는 끼임 사고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는 안전장치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공장 내 소음이 심해 동료들이 양 씨의 사고를 알아채기까지 2분 이상 소요된 것으로 드러났다. 한 전직 직원은 "작업장이 굉장히 시끄럽고 작업자들이 다 떨어져 있어서 도움을 요청해도 소음 때문에 듣기 어렵다"고 설명했다.경찰과 고용노동부는 사고 원인 규명과 함께 업체 측이 노동자들의 위험한 작업 환경을 인지하고도 방치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이에 대해 SPC 측은 윤활유 자동분사장치는 제대로 작동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하며, 수사기관의 현장 감식 당시에는 사고로 설비가 파손돼 정상적인 상태가 아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하지만 작업자들이 직접 윤활유를 뿌리기 위해 기계 안으로 들어가야 했다는 증언에 대해서는 "수사 중인 사안"이라며 명확한 답변을 회피했다.이번 사고를 계기로 제조업 현장의 안전 관리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노동자의 안전보다 생산성을 우선시하는 작업 환경과 부실한 안전장치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