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RM·뷔, 오늘부로 '군인' 벗고 '이것' 된다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리더 RM과 멤버 뷔가 오늘(10일) 군 복무를 마치고 팬들의 뜨거운 환영 속에 사회로 복귀했다. 지난해 12월 입대해 각자 육군 군악대와 군사경찰단에서 성실히 복무한 두 사람은 이제 군인이 아닌 아티스트로서 팬들 곁으로 돌아왔다.

 

이번 RM과 뷔의 전역은 방탄소년단의 '군백기(군 복무로 인한 공백기)'가 막바지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중요한 신호탄이다. 앞서 맏형 진과 제이홉이 이미 군 복무를 마친 가운데, RM과 뷔까지 전역하며 방탄소년단은 총 네 명의 군필 멤버를 갖게 됐다.

 

전역을 하루 앞둔 9일, 두 멤버는 각자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팬들에게 직접 복귀 소식을 전하며 설렘을 드러냈다. RM은 군복을 입고 찍은 유쾌한 '인생네컷' 사진과 함께 "전역합니다. 끝!"이라는 짧지만 강렬한 메시지를 남겨 군 생활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음을 알렸다.

 

뷔는 박찬욱 감독, 배우 송강 등과의 사진을 공개하며 제대 후 행보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냈다. 특히 박찬욱 감독과의 만남은 뷔의 연기 활동 가능성에 무게를 싣고 있으며, 군 복무 중인 송강에게 건넨 응원의 메시지는 훈훈함을 더했다. 이처럼 멤버들의 SNS 활동 재개는 팬들에게는 반가움을 넘어 앞으로 펼쳐질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한껏 끌어올리고 있다.

 


소속사 빅히트 뮤직은 팬들에게 안전을 위해 전역 당일 현장 방문을 자제해 줄 것을 거듭 당부했다. 전역 장소가 협소하여 혼잡이 예상되며, 아티스트와 팬 모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팬들 역시 성숙한 시민 의식을 보여주며 소속사의 요청에 따르는 분위기다.

 

이제 팬들의 시선은 남은 멤버들에게 쏠리고 있다. 내일(11일)은 지민과 정국이 전역하며, 마지막으로 사회복무요원으로 대체복무 중인 슈가가 오는 21일 소집해제된다. 슈가까지 돌아오면 방탄소년단은 약 2년여간의 군백기를 끝내고 7인 완전체로 다시 팬들 앞에 설 준비를 마치게 된다.

 

방탄소년단은 현재 데뷔 12주년을 기념하는 '2025 BTS 페스타'를 오는 14일까지 진행하며 팬들과 함께 축제 분위기를 만끽하고 있다. 특히 13일과 14일에는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오프라인 행사가 열려 멤버들의 음성 메시지, 트로피 전시, 아미밤 연동 라이트 쇼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RM과 뷔의 전역을 시작으로 방탄소년단의 완전체 복귀가 눈앞으로 다가오면서, K팝 역사를 새로 쓴 이들이 앞으로 어떤 새로운 기록과 감동을 선사할지 전 세계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못 사면 손해!" 고물가 지옥, 마트 '오픈런'은 필수가 됐다!

 고물가 시대의 씁쓸한 풍경, 대형마트 '오픈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지난 4일 오전, 서울 이마트 용산점은 개점 전부터 특가 상품을 구매하려는 인파로 북새통을 이뤘다. 30대 김모씨는 "식재료가 떨어지면 정가에 사던 시절은 지났다. 이제는 세일 기간이 아니면 장 보기가 부담스럽다"며 씁쓸한 현실을 토로했다.이날 대규모 할인 행사 '고래잇페스타'가 열린 용산점은 문이 열리기도 전에 100여 명의 고객이 줄을 서는 '오픈런'이 벌어졌다. 가장 먼저 동난 것은 평소보다 60% 저렴한 삼겹살 코너였다. 100g당 1190원에 판매된 국내산 삼겹살은 개점 5분 만에 품절됐고, 미처 구매하지 못한 고객들은 아쉬움에 탄식을 쏟아냈다. 60대 김모씨는 "평일 오전에 이렇게까지 사람이 몰릴 줄 몰랐다"며 "삼겹살은 놓쳤지만 애호박이라도 건져 다행"이라고 말했다.'어메이징 완벽치킨' 코너 역시 인산인해를 이뤘다. 3480원에 국산 닭 한 마리를 8조각으로 제공하는 이 치킨은 번호표를 받아야 할 정도로 인기가 폭발적이었다. 40대 박모씨는 "시켜 먹으면 2만원이 넘는데, 이 정도 불편은 감수할 수 있다"며 30분 넘게 줄을 서서 번호표를 기다렸다. 이마트 관계자는 삼겹살, 물회, 복숭아 등 여름 시즌 수요 품목 위주로 행사를 진행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하며, 행사 기간 매출이 평상시 대비 최대 80%까지 증가했다고 밝혔다. 반면, 할인율이 낮은 주류, 화장품 등은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같은 날 롯데마트 서울역점도 초복을 앞두고 통닭 수요가 몰렸다. 60대 김모씨는 "시장보다 마트 통닭이 포장이 깔끔해 자주 찾는다"고 전했다. 롯데마트는 '통큰세일' 기간 동안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약 15% 증가했으며, 특히 15년 전 가격 그대로 판매한 '통큰치킨' 등 초저가 상품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고 밝혔다.장기화된 고물가 상황은 소비자들의 소비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다. 대형마트의 할인 기간에 맞춰 대량 구매를 하는 '쟁여두기'가 일반화되었으며, 이는 개점 전부터 사람들이 몰려드는 '오픈런'이라는 현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현재 소비 심리가 얼마나 위축되어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2% 상승하여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하며 더욱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다.업계 전문가들은 고물가와 경기 둔화가 이어지는 한, 대형 할인 행사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존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에 따라 정부의 소비 진작책, 예를 들어 소비쿠폰 지급과 같은 민생 회복 정책이 침체된 내수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치솟는 물가로 서민들의 장바구니는 더욱 무거워지고 있으며, 이제 대형마트의 할인 행사는 단순한 소비 활동을 넘어 가계 경제를 지탱하는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