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40세 호날두 경기 후 대성통곡했다!


크리스티아누 호날두(40, 알 나스르)가 포르투갈 대표팀에서 세 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포르투갈은 9일(한국시간) 독일 뮌헨에서 열린 2024-25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네이션스리그 결승전에서 스페인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정상에 섰다. 이로써 포르투갈은 대회 통산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호날두는 감격의 눈물을 보였다.결승전에서 포르투갈은 스페인에 전반 두 차례 리드를 내주며 어려운 경기를 펼쳤다. 전반 21분 마르틴 수비멘디에게 선제골을 허용했으나, 누누 멘데스가 동점골을 터뜨리며 균형을 맞췄다. 하지만 전반 종료 직전 미켈 오야르사발에게 다시 실점하며 끌려갔다.

 

후반 들어 포르투갈의 반격이 시작됐다. 불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호날두가 해결사로 나섰다. 후반전, 멘데스의 크로스를 받아 감각적인 발리슛으로 연결하며 동점골을 기록했다. 이는 호날두의 A매치 통산 138번째 득점이었다.

 


양 팀은 정규 시간과 연장전까지 승부를 가리지 못했고, 결국 승부차기에 돌입했다. 포르투갈은 곤살루 하무스, 비티냐, 브루누 페르난데스, 누누 멘데스가 차례로 성공시켰다. 이어 골키퍼 디오구 코스타가 스페인의 알바로 모라타의 슈팅을 막아냈고, 마지막 키커 루벤 네베스가 성공시키며 포르투갈의 우승을 확정 지었다. 포르투갈은 네이션스리그 역사상 처음으로 두 차례 우승한 팀이 되었다.

 

호날두는 연장전 직전 교체되어 벤치에서 승부차기를 지켜봤다. 동료들의 성공과 코스타의 선방, 그리고 네베스의 마지막 골이 터지자 호날두는 그라운드에 주저앉아 뜨거운 눈물을 흘렸다. 경기가 끝난 후에는 동료들과 함께 우승의 기쁨을 만끽하며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이번 결승전은 5회 발롱도르 수상자인 호날두와 스페인의 신성 라민 야말의 맞대결로도 관심을 모았다. 비록 두 선수 모두 경기 초반에는 잠잠했지만, 호날두는 중요한 순간 동점골을 기록하며 자신의 존재감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4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의 우승에 크게 기여한 호날두는 축구 역사에 또 하나의 인상적인 순간을 남겼다.

 

남편은 정리해고, 아내는 육아 때문에 퇴사... 4050 부부의 '빈곤 사이클'

 한국경제인협회가 4050 중장년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취업 인식 설문조사 결과, 퇴직 이유와 재취업 조건에서 남녀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회는 6월 30일 이 같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조사에 따르면, 4050 중장년 남성이 직장을 그만둔 주된 이유는 '정리해고·권고사직'(22.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더 나은 근무조건을 찾아 이직'(16.4%), '건강 문제'(15.8%), '새로운 직무나 직업으로 전직'(14.2%)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이는 남성들이 주로 외부적 요인이나 경력 발전을 위해 직장을 떠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반면 여성의 경우, 압도적으로 '육아·돌봄·가사'(43.2%)가 퇴직의 주된 이유로 꼽혔다. 10명 중 4명이 넘는 중장년 여성이 가정 내 역할 때문에 직장을 그만둔 것이다. 그 뒤를 '사업체의 휴업·폐업'(11.2%), '건강 문제'(10.4%), '정리해고·권고사직'(8.1%) 등이 이었다.구직활동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도 성별 차이는 뚜렷했다. 남성은 '휴식'(24.4%)을 주요 이유로 꼽은 반면, 여성은 '육아·돌봄·가사'(38.7%)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는 직장 생활 여부와 상관없이 여성들이 가정 내 책임에 더 큰 부담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재취업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조건에서도 남녀 간 우선순위가 달랐다. 남성은 '임금 수준'(33.7%)을 가장 중시한 반면, 여성은 '근무시간'(49.6%)을 최우선 조건으로 꼽았다. 이는 여성들이 가정과 직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시간적 유연성을 더 중요시함을 보여준다.조사 대상자들이 재취업 시 희망하는 최소 연봉은 평균 4,149만원(세전 기준)으로, 이는 이전 직장에서 받던 연봉의 약 7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이 재취업 과정에서 임금 하락을 어느 정도 감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중장년 구직자들이 원하는 지원책으로는 '중장년 친화 유연근무제 및 시간제 일자리 확대'(22.2%)와 '중장년 특화 직무교육 및 경력 전환 지원 강화'(22%)가 비슷한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직무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 지원에 대한 수요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경기침체 장기화로 중장년층의 고용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며 "경제의 허리 역할을 담당하는 4050세대가 고용 정책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맞춤형 고용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장년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 유연화 노력도 요구된다"고 덧붙였다.이번 조사 결과는 중장년층의 고용 문제가 단순히 일자리 부족 문제를 넘어, 성별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육아와 돌봄 부담이 경제활동 참여의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