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5억 년 비밀 품은 영월, 한 걸음 내딛는 순간 감성 대폭발

 강원도 영월은 국가지질공원과 20여 개의 박물관·미술관·역사관이 어우러진 작은 도시로, 여행자가 단종에 대한 역사적 연민부터 탈속의 시인 김삿갓의 낭만, 그리고 국가지질공원의 고생대 지질 절경까지 다채로운 감성을 경험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사육신을 배향한 서원과 MZ세대의 감성을 반영한 현대적 아트센터, 그리고 서부·중앙시장 미식 체험 등 다양한 장르가 조화를 이루면서 방문객들의 감성을 끊임없이 움직이게 만든다.

 

영월은 인근 평창, 충북 단양·제천, 경북 영주·봉화와 함께 ‘중부내륙중심권 행정협력회’를 구성해 지역주의를 넘어 문화·관광·경제 분야의 상생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영월 서부지역의 대표 명소 중 하나인 ‘선돌’은 국가지질공원에 포함된 5억 년 된 거대한 바위로, 서강의 절벽 꼭대기에 우뚝 솟아 있다. ‘신선암’이라 불리는 이 바위는 높이가 약 70m에 달하며, 신선이 노닐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19세기 영월부사의 친구였던 오희상과 홍직필은 위험을 무릅쓰고 바위에 ‘운장벽’이라는 글씨를 새겨 후세에 남겼다. 선돌 인근에는 젊은 세대에게 인기 있는 ‘젊은달 와이파크’ 미술관과 ‘신선을 맞이한다’는 뜻의 요선암, 요선정이 자리해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진 풍경을 선사한다. 요선암의 자연석 웅덩이들은 마치 ‘쉼표’와 ‘느낌표’처럼 생겨 방문객들에게 휴식과 감각적 체험을 제공한다. 요선정은 일제강점기 순사가 훔쳐간 숙종의 어제시를 주민이 지켜낸 국가유산으로서 의미가 크다.

 

영월 읍내에 자리한 ‘창절사’는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 세조에 의해 희생된 사육신과 생육신의 위패를 모신 서원으로, 엄홍도라는 인물이 단종의 시신을 수습한 사실도 함께 기리고 있다. 숙종 11년(1685)에 건립된 이 서원은 강원도 내에서 대문이 문루(2층 누각)인 독특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원형을 잘 보존한 대표적 역사 유적지다. 창절사에서는 제향과 ‘선비의 하루’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매년 10월 9일에는 관련 의식 행사가 열린다.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세조에 의해 왜곡된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한 노력과 단종애사의 아픔을 되새길 수 있다. 근처 서부시장과 중앙시장에서는 메밀배추전, 수수부꾸미, 올챙이국수 등 지역 특산 음식도 즐길 수 있어 역사적 아픔을 달래는 미식 체험을 함께할 수 있다.

 

 

 

중앙시장 인근 옛 KBS 영월 방송국 자리에는 ‘라디오스타박물관’이 들어서 있다. 영화 ‘라디오스타’의 배경이 된 이곳은 라디오 역사와 지역 방송의 추억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방송 제작 체험과 인기 DJ들의 전시물이 마련돼 있다. 라디오 모양 카페와 동강 절경 산책길이 함께해 감성 휴게소 역할을 톡톡히 한다. 이어서 단종이 억류되었던 관풍헌과 청령포를 방문하면, 단종에 대한 애잔한 마음이 다시금 북받친다. 청령포는 동강에 둘러싸인 섬 같은 공간으로 나룻배를 타고 들어가야 하는 역사적 장소다. 단종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조 ‘왕방연’이 전해져 내려오며, 이는 교과서에 새로 반영되어야 할 역사적 사실로도 주목받는다. 청령포 인근 ‘영월관광센터’는 폐광지역 통합 관광과 로컬푸드, 카페, 영상 전시를 갖춘 복합문화센터로 여행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서울 방향으로 10분 가량 더 가면 단종의 무덤 ‘장릉’이 나온다. 17세 나이에 죽임을 당한 단종의 시신은 처음에 동강에 버려졌으나 지역 유지 엄흥도가 몰래 수습해 지금의 장릉 자리에 안장했다. 이후 200년 만에 복권되어 왕릉처럼 꾸며졌지만, 능의 배치는 기존 왕릉과 다르게 ‘ㄱ’자 형태로 특이하다. 장릉 옆에는 국가지질공원에 포함된 ‘물무리골 생태습지’가 자리한다. 이곳은 해발 400m 안팎의 산지가 퇴적 작용을 거쳐 형성된 습지로, 멸종위기 식물인 백부자산작약과 잠자리난초, 큰조롱, 삵, 황조롱이, 고라니, 반딧불이 등이 서식한다. 숲길을 따라 이어지는 전나무 숲 산책로는 누구나 걷기 편한 ‘S라인’ 곡선을 그리며 평상도 마련돼 있어 쉬어가기에 좋다.

 

영월 청년들은 장릉 앞 ‘능알못-와플카페-물무리습지’ 코스, ‘청록다방-관풍헌-영모전-서부시장-중부내륙카페’ 코스, ‘동강둔치-봉래산패러글라이딩-별마로전망대-다슬기탕거리’ 코스 등 MZ세대 감성에 맞춘 ‘뉴트로드’ 3개 코스를 조성해 지역의 매력을 적극 알리고 있다. 북동쪽에는 아름다운 어라연 절경이, 남동쪽에는 김삿갓 유적지와 주막이 있어 소도시임에도 쉴 틈 없이 풍성한 여행 경험을 선사한다.

 

이처럼 영월은 국가지질공원 절경, 역사 유적, 현대 예술 공간, 그리고 다채로운 미식과 지역 문화가 어우러져 방문객들의 감성과 마음을 계속해서 흔드는 매력적인 여행지로 자리 잡았다.

 

악성 유튜버 덕분에 뭉쳤다? 더본코리아, 점주들과 초강력 연대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 더본코리아(475560)가 일부 유튜버의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 강력한 대응에 나선다. 더본코리아는 이달 내로 본사와 가맹점 간 실질적인 상생 구조를 제도화하는 공식 협의체인 ‘상생위원회’의 긴급 개최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이번 조치는 더본코리아 가맹점 점주들의 모임인 점주협의회가 최근 일부 유튜버의 ‘백종원 시리즈’ 영상에 대한 본사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하며 공식 요청서를 제출한 데 따른 것이다. 요청서에는 빽다방, 홍콩반점, 역전우동, 새마을식당, 한신포차 등 주요 브랜드 점주협의회가 공동으로 의견을 모았다.점주협의회는 “일부 유튜버가 더본코리아와 그 관계자에 대해 오로지 비방과 혐오를 목적으로 과잉 감시와 추적을 일삼고 있다”며 “무차별적인 의혹 제기와 악의적 유포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굿바이 백종원’ 등 표적 방송 제목까지 등장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해당 유튜버의 영상에서는 “새마을식당 고기, 홍콩반점 식재료는 저질재료만 사용한다더라”, “빽다방은 장사가 안돼서 원두 유통기한 때문에 500원 행사를 했다더라”, “홍콩반점 짜장면 3900원 행사는 유통기한 지난 소스를 쓰는 거다” 등 근거 없는 허위 주장과 혐오성 유언비어가 무차별적으로 퍼지고 있다.점주들은 “이 같은 허위 정보와 악성 댓글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면서 매장 운영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다”며 “생존의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가짜뉴스를 뿌리는 유튜버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 등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언급한 것도 점주들의 현실적 피해와 맞닿아 있다는 입장이다.더본코리아 관계자는 “그동안 조회수 증가를 노린 검증되지 않은 허위 사실 유포에 대해 대응을 자제해왔지만, 점주님들의 심각한 피해 호소에 따라 철저하고 강력한 대응 조치를 강구할 계획”이라며 “악의적인 특정 유튜버에 대해 더는 묵과하지 않겠다”고 밝혔다.더본코리아는 이번 상생위원회에서 본사와 가맹점 간 신뢰 회복 및 실질적인 상생 방안 마련에 집중할 방침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에 미칠 영향에도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