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손흥민, 이번엔 웃는다! 유로파리그 결승, '무관' 딱지 떼기 도전

 토트넘 홋스퍼의 주장 손흥민이 마침내 오랜 숙원을 풀 기회를 잡았다. 오는 22일(한국시간) 스페인 빌바오에서 열리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2024-2025시즌 유로파리그(UEL) 결승전.  손흥민은 이 경기에서 생애 첫 메이저 클럽 대회 우승 트로피를 노린다.  단순한 우승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 이번 결승전은 손흥민 개인에게는 '무관의 한'을 풀 절호의 기회이며, 토트넘에는 다음 시즌 챔피언스리그 진출의 운명이 걸린 중요한 일전이다.

 

최근 부상에서 회복한 손흥민은 결승전 선발 출전이 유력시된다. 결승을 앞두고 열린 공식 기자회견에 팀 대표로 나선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손흥민은 기자회견에서 "팬들의 응원에 보답하고 싶다. 내 미소와 트로피, 역사적인 순간을 선물하고 싶다"며 우승에 대한 간절한 열망을 드러냈다.  특히 한국 팬들을 향한 감사 인사도 잊지 않으며 승리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다졌다.

 

손흥민은 아시아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선수로 평가받지만, 클럽 커리어에서는 유독 우승 트로피와 인연이 없었다. 2010년 함부르크에서 프로 데뷔 후 레버쿠젠, 토트넘을 거치는 동안 세 차례나 결승 문턱에서 좌절을 맛봤다. 2019년 토트넘의 사상 첫 유럽 챔피언스리그(UCL) 결승 진출 당시 리버풀에 패배하며 눈물을 삼켰고, 2021년 카라바오컵 결승에서도 맨체스터 시티에 막혀 고배를 마셨다.  그의 유일한 우승 경력은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금메달이다. 클럽 레벨에서의 우승 트로피는 그에게 오랜 숙원이자 간절한 목표였다.

 


이번 UEL 결승은 손흥민 개인뿐 아니라 토트넘 구단 전체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프리미어리그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둔 토트넘은 UEL 우승을 통해 다음 시즌 UCL 진출권을 확보해야 한다.  손흥민은 "트로피를 차지한다면 사고방식을 바꿔 더 많은 트로피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승을 향한 강한 동기부여를 드러냈다.  리그에서의 아쉬움을 씻어내고 팀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각오다.

 

엔제 포스테코글루 감독 역시 손흥민의 복귀를 반기며 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손흥민은 팀에 정말 중요한 선수이자 리더"라며 "그의 커리어에 걸맞은 트로피를 안겨주는 것이 우리 모두에게 큰 동기 부여"라고 말했다.  또한, UCL 결승 경험을 바탕으로 손흥민이 선수들을 이끌어줄 것이라며 그의 리더십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손흥민이 UEL 결승에 출전한다면 아시아 선수 최초로 UCL과 UEL 결승 무대를 모두 밟는 역사를 쓰게 된다.  여기서 더 나아가 우승컵까지 들어 올린다면 그의 커리어에 빛나는 방점을 찍는 동시에 토트넘에도 다음 시즌 UCL 진출권을 안겨주는 겹경사를 맞이하게 된다.  '무관의 한'을 풀고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을지, 손흥민의 도전에 전 세계 축구 팬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과연 손흥민은 빌바오에서 웃을 수 있을까. 그의 발끝에 토트넘의 운명과 아시아 축구의 역사가 달려있다.

 

대관령마저 무릎 끓어... 2025년 한반도는 거대한 '찜통'이었다

 2025년 여름은 대한민국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극단적인 형태로 기록될 전망이다. 역대 가장 짧았던 장마, 한 달이나 일찍 찾아온 살인적인 무더위, 그리고 예측 불가능하게 쏟아진 국지성 집중호우의 반복은 올여름 기후의 핵심적인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여름철(6~8월) 기후 특성 분석 결과'는 우리가 경험한 올여름이 단순한 변덕이 아닌, 심각한 기후 변화의 전조임을 명확히 보여준다.가장 두드러진 것은 단연 '역대 최악의 폭염'이다. 2025년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은 25.7℃로, 역대 최고 1위 기록을 갈아치웠다. 이는 평년보다 무려 2.0℃나 높은 수치로, 한반도가 얼마나 뜨겁게 달아올랐는지를 실감하게 한다. 통상 장마가 끝나는 7월 말부터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던 예년과 달리, 올해는 이례적으로 한 달이나 빠른 6월 말부터 폭염이 시작되었고, 더위가 물러간다는 절기인 처서(8월 23일)를 비웃기라도 하듯 늦더위가 맹위를 떨쳤다. 특히 8월 하순의 전국 평균기온은 27.8℃로 평년보다 3.9℃나 치솟으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강원도 강릉과 대관령 등 13개 관측 지점에서는 8월 하순의 일일 최고기온이 새롭게 기록되는 기염을 토했다.이러한 전례 없는 더위의 원인으로 기상청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6월 말부터 북태평양고기압이 이르게 확장했고,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 고기압이 장기간 정체했으며, 7월 하순부터는 티베트고기압까지 가세해 한반도를 거대한 '열돔'에 가두었다. 여기에 열대 서태평양의 대류 활동 강화와 북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상승이 고기압의 세력을 더욱 키우고 유지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결과적으로 전국 폭염일수는 28.1일로 평년(10.6일)보다 17.5일이나 많았고, 특히 대관령에서는 1971년 관측을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폭염이 발생하는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밤에도 더위가 식지 않는 열대야일수 역시 전국 평균 15.5일로 평년보다 9일이나 급증했다. 서울의 경우, 열대야가 무려 46일간 이어져 평년(12.5일)의 3.5배를 훌쩍 뛰어넘으며 1908년 관측 이래 최다 기록을 세우는 등, 시민들은 그야말로 최악의 여름밤을 보내야 했다.반면, 비는 매우 변칙적인 패턴을 보였다. 장마는 예년보다 일찍 시작해 역대급으로 짧게 끝났다. 제주도는 6월 26일에 장마가 종료되어 역대 가장 빨랐고, 남부지방 역시 7월 1일에 끝나 두 번째로 이른 종료 시점을 기록했다. 장마 기간 자체가 각각 15일과 13일에 불과해 역대 두 번째로 짧은 장마로 기록되었다. 이처럼 '마른 장마'가 스치듯 지나가면서 여름철 전국 강수일수는 평년보다 9.2일이나 적은 29.3일에 그쳤고, 총 강수량도 619.7mm로 평년의 85.1% 수준에 머물렀다.하지만 총 강수량 감소가 가뭄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비가 내리는 날은 적었지만, 한번 내릴 때는 하늘에 구멍이 뚫린 듯 국지적으로, 그리고 매우 집중적으로 쏟아졌다. 7월 중순과 8월 전반에는 일부 지역에서 기록적인 호우가 발생해 큰 피해를 남겼다. 특히 강원 영동 지역은 태백산맥의 지형 효과와 남서풍의 우세로 동풍이 거의 불지 않아, 여름철 강수량이 평년의 34.2% 수준인 232.5mm에 불과했고, 강수일수 역시 역대 최저를 기록하며 극심한 가뭄에 시달렸다. 한반도 내에서도 폭염, 폭우, 가뭄이 동시에 나타나는 극한 현상이 발생한 것이다.이미선 기상청장은 "올여름은 복합적인 기상재해의 특성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며, "기후변화로 달라지는 재해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고 신속한 정보 제공을 통해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