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서울대공원 경사 폭발!..멸종위기 아기동물들 대공개

 서울대공원이 올 봄 토종 여우를 비롯해 쿠바 홍학, 호주 에뮤 등 15마리의 아기 동물을 새 가족으로 맞이하며 멸종위기 야생동물 보전과 번식에 큰 성과를 내고 있다. 16일 서울대공원에 따르면, 2023년부터 종보전센터를 새롭게 운영하며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번식과 보호에 집중해온 결과, 올해도 다수의 희귀 동물 번식에 성공하며 생물다양성 보존에 앞장서고 있다.

 

서울대공원은 2023년부터 종보전센터 운영을 본격화하며 토종 여우, 저어새, 낭비둘기 등 멸종위기 야생동물 3종을 포함해 총 5종 23수의 번식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여우 5마리를 포함해 총 11마리의 멸종위기 동물 번식에 성공했다. 서울대공원은 2022년 국립공원관리공단 산하 국립공원연구원과 공동 연구협약을 맺고 산양과 여우 개체 반입 및 교류를 통해 번식사업을 추진해 왔으며, 지난해 산양 3마리, 여우 5마리를 번식한 데 이어 올해도 여우 5마리를 새 식구로 맞았다.

 

서울대공원 관계자는 “번식에 성공한 개체들은 국립공원연구원과의 지속적인 개체 교류를 통해 야생으로 방사될 가능성도 있다”며 “이는 멸종위기 동물 보전에 큰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특히 낭비둘기는 국내 야생에 200마리밖에 남지 않은 멸종위기종으로, 서울대공원은 작년 11마리에 이어 올해 상반기에 5마리를 추가로 증식하는 등 꾸준한 번식에 성공하고 있다. 서울대공원은 2026년까지 낭비둘기 30마리를 야생에 방사하는 목표를 세우고, 사육 밀도를 적절히 조절하며 개체 건강을 최우선으로 관리하고 있다. 관계자는 “방사 개체수가 많을수록 방사 성공 확률이 높아 낭비둘기 보전사업에 큰 기여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더불어, 서울대공원은 ‘쿠바 홍학’의 번식에도 성공해 관람객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쿠바 홍학은 2019년 서울대공원에서 첫 번식에 성공한 이래, 2020년과 올해까지 총 세 차례 번식에 성공했다. 지난해 11월부터 동절기 번식을 대비해 둥지 재료인 황토 흙을 내실에 깔아주며 사육사가 공들인 결과, 작년 12월 말부터 산란된 수십 개의 알 중 두 마리 개체가 올해 4월 4일 무사히 부화했다.

 

쿠바 홍학은 부모가 함께 약 한 달간 알을 품으며, 새끼는 회백색 깃털로 태어나 2\~3년 뒤에 부모처럼 선명한 붉은빛을 띠는 깃털을 갖는다. 부화 후 새끼는 부모의 소낭에서 분비되는 ‘플라밍고 밀크’를 입에서 입으로 받아 먹으며 성장한다. 암수 모두 포란과 수유, 육아에 적극 참여하고, 새끼는 부화 7일 후 둥지를 떠나지만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자란다.

 

 

 

아울러, 호주 대표 종인 ‘에뮤’ 2마리가 17년 만에 새끼를 태워 서울대공원에 또 다른 기쁨을 선사했다. 동물원 내 ‘호주관’에 서식하는 4마리 에뮤(수컷 1마리, 암컷 3마리)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 초까지 14개의 알을 산란했으며, 수컷이 그중 8개의 알을 품어 3월 중순 두 마리의 새끼가 탄생했다. 특히 1983년생 수컷 에뮤는 포란에 전념하며 새끼 출산에 큰 역할을 했다.

 

서울대공원은 새끼 에뮤에게 유산균과 영양제를 혼합한 특별식을 제공하고 주기적으로 체중을 재며 성장일지를 작성하는 등 세심한 관리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무더운 여름을 대비해 물을 좋아하는 에뮤를 위한 수영장도 마련할 예정이다.

 

박진순 서울대공원장은 “그간의 멸종위기종 보전 노력과 생물다양성 보전의 결실로 서울대공원에서 다양한 종의 동물이 태어나 건강하게 지내고 있다”며 “앞으로도 새끼 동물들이 건강히 자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 성장 과정은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국민들에게 지속해서 보여드리겠다”고 말했다.

 

서울대공원의 이번 성과는 국내 야생동물 보전뿐 아니라 멸종위기종 복원과 자연생태계 복원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다. 앞으로도 서울대공원은 국내외 관련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종보전과 번식 사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시민들에게 동물 보호의 중요성과 자연 생태계의 가치를 알리는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에 태어난 아기 동물들은 시민들에게 희망과 생명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일깨우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인 돌풍! 이와이 지사토, LPGA 첫 우승으로 강렬한 신고식!

일본의 신예 이와이 지사토가 LPGA 투어 멕시코 리비에라 마야 오픈에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생애 첫 우승을 차지했다. 신인으로서 올 시즌 세 번째 우승자가 된 이와이는 10년 만에 재현된 신인들의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이와이는 26일(한국시간) 멕시코 플라야 델 카르멘의 엘 카말레온 골프클럽(파72)에서 열린 대회 최종 4라운드에서 버디 7개와 보기 1개를 묶어 6언더파 66타를 기록했다. 최종 합계 12언더파 276타로 2위 제니 배(미국)를 무려 6타 차로 따돌리며 우승을 확정했다. 우승 상금은 37만 5000달러(약 5억 1000만 원)이다.이번 우승으로 이와이는 올 시즌 LPGA 투어에서 신인 중 세 번째로 우승을 차지한 선수가 되었다. 앞서 3월 다케다 리오가 블루 베이 LPGA에서 첫 신인 우승을 기록했고, 지난달 JM 이글 LA 챔피언십에서는 잉리드 린드블라드(스웨덴)가 두 번째로 정상에 올랐다. 신인이 시즌 중 3승 이상을 합작한 것은 2015년 이후 처음이다.지난해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에서 통산 8승을 기록한 이와이는, 퀄리파잉(Q) 시리즈를 차석으로 통과하며 올해 LPGA 투어에 입성했다. 쌍둥이 언니 아키에와 함께 미국 무대에 도전장을 내민 이와이는 시즌 초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보였으나, 이번 대회에서 놀라운 기량을 발휘하며 깜짝 우승을 거두었다. 이를 계기로 신인상 경쟁에서도 본격적인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현재 신인상 랭킹 2위(304점)로 도약한 이와이는 1위 다케다 리오(472점)를 추격하고 있다. 신인상 랭킹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일본 선수들이 차지하며 일본 선수들의 강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반면, 한국 선수 윤이나는 이번 대회 컷 탈락으로 신인상 랭킹 10위(108점)로 내려앉으며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이번 대회는 시즌 두 번째 메이저 대회인 US 여자오픈을 앞두고 열렸으며 세계랭킹 상위 14명이 모두 불참한 가운데 진행됐다. 대회 3라운드까지 리더보드 상위 11명의 선수 모두가 LPGA 투어 첫 우승을 노리는 선수들로 구성되었고, 그중 이와이가 가장 빛나는 성과를 거두었다.이와이의 6타 차 우승은 올해 가장 큰 타수 차 우승 타이기록이다. 앞서 3월 블루 베이 LPGA에서 다케다 리오도 6타 차로 우승한 바 있다.한편, 한국 선수 중에서는 강혜지가 최종 합계 5언더파 283타로 단독 3위를 기록하며 가장 좋은 성적을 냈다. 역전을 노리던 최혜진과 이소미는 마지막 날 타수를 줄이지 못하고 신지은과 함께 공동 4위(4언더파 284타)에 머물렀다.이번 대회에서 신인들의 활약이 두드러진 가운데, 이와이 지사토의 깜짝 우승은 올 시즌 LPGA 투어의 또 다른 이야깃거리를 남겼다. 그녀의 첫 우승은 앞으로의 활약을 기대하게 만드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