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숲 속의 파티' 속으로… 2025 수원연극축제 17일 개막

 수원시가 오는 5월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간 경기상상캠퍼스에서 '2025 수원연극축제'를 개최한다. '숲 속의 파티'를 테마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누구나 무료로 참여 가능하며, 시민들에게 새로운 예술 경험과 일상 공간에 대한 색다른 시각을 선사할 예정이다.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마지막 날 사색의 동산에서 펼쳐지는 창작 불꽃극 '불의 정원'이다. 예술불꽃화랑이 수원연극축제를 위해 특별 제작한 이 작품은 불과 불꽃을 활용한 환상적인 '불꽃극'(pyrotheatre)으로, 오후 9시 10분부터 20분간 어둠 속에서 피어오르는 불씨가 모여 불의 정원을 이루는 과정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원초적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올해 축제는 관객 참여 기회를 대폭 확대했다. 프랑스 초청작 '너를 안고'는 사전 공모로 선발된 8팀의 부모와 아이가 직접 공연자로 참여해 육아의 기쁨과 고단함을 이야기하며, '비버마을'에서는 나무와 천 등 자연 재료를 활용해 누구나 마을 만들기에 동참할 수 있다.

 


해외 초청작으로는 벨기에 ADM vzw의 서커스 '2미터 안에서'와 이탈리아-과테말라 아티스트 듀오의 서커스 '우리가 하나 되는 시간'이 하루 2회씩 선보이며 독창적인 몸짓으로 관객들의 감성을 자극할 예정이다.

 

축제 기간 동안 경기상상캠퍼스 곳곳은 다채로운 야외극 무대로 변신한다. 국내 초청작 및 공모작 총 17개 작품이 릴레이로 공연되며, 거리극, 서커스, 거리무용, 음악극, 전통연희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관객들을 맞이한다.

 

공연 외에도 슬랙라인과 컬러캐쳐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숲 속 예술 놀이터'와 다양한 먹거리 부스도 운영되어 축제의 즐거움을 더한다. 45명의 시민 자원활동가들도 축제 운영에 참여하며 지역 축제의 의미를 더하고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올해 축제는 시민 참여를 강화하여 함께 만들어가는 행사로 준비했다"며, "축제를 통해 시민들이 일상을 새롭게 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스승의 날의 슬픈 얼굴..'기운합' 논란부터 교실 속 고통까지

 5월 15일은 스승의 날이다.  하지만 교단에는 스승의 그림자는커녕 교권 추락의 어두운 그림자가 짙게 드리워져 있다.최근 조사에서는 응답 교원의 절반 가까이가 교권 침해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심지어 교사의 사진 한 장으로 '관상'이나 '기운합'을 봐주는 황당한 온라인 커뮤니티까지 등장해 충격을 주고 있다.인터넷 상의 한 커뮤니티는 5천 명이 넘는 회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2만 원에서 5만 원의 비용을 받고 학교 선생님과 자녀의 '기운합'을 봐준다고 홍보한다. 필요한 것은 선생님과 자녀의 사진 각 1장뿐이다.자칭 '학운 전문가'라는 커뮤니티 운영자는 학부모가 보낸 교사의 사진을 보고 관상만으로 평가를 내린다. "자기 고집, 아집이 강하다", "선생님이 학생을 수용하는 자세가 크지 않고 잣대가 강하다"는 식의 근거 없는 분석이 오간다. 이는 교사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명백한 행위이자, 우리 사회에서 교권이 얼마나 무참히 짓밟히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이러한 현실은 최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강원지부가 강원 지역 교원 1,35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권 실태 조사 결과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최근 3년 내 교권 침해 경험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3.6%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교권 침해 주체로는 학부모 등 보호자가 69.0%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교권 침해를 경험한 교원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안타깝게도 공식적인 시스템보다는 개인적인 고통 감내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다. 응답자의 69.3%가 '혼자서 감내한다'고 답했고, 59.8%는 '지인과 상담'을 선택했다. 교권보호위원회 등 학교나 교육청의 공식적인 대응 시스템을 활용하겠다는 응답은 11.1%에 불과했다. 이는 교권 보호 시스템이 여전히 현장에서 체감되지 않거나, 활용하기 어렵다는 방증으로 해석될 수 있다.강원자치도교육청은 이와 관련해 교권 전담 변호사를 통한 법률 상담 지원과 체계적인 민원 대응 시스템 강화 등 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교육 공동체가 서로 존중하는 건강한 학교 문화가 조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하지만 스승의 날에도 교권 침해 사례가 끊이지 않고, 심지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격 모독적인 행위까지 벌어지는 현실 속에서, 교육 당국의 더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과 함께 교육 공동체 구성원 모두의 인식 개선 노력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