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드디어 베네치아 건축비엔날레 한국관, '집의 시간' 이야기 시작!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건축 축제, 제19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에서 한국관 전시가 현지시간으로 10일 드디어 베일을 벗고 관객들을 맞이한다.

 

올해 한국관 전시는 건축큐레이터 정다영, 김희정, 정성규로 구성된 씨에이씨(CAC)가 예술감독을 맡아 '두껍아 두껍아: 집의 시간'이라는 정겹고도 깊이 있는 주제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건축가 김현종(아뜰리에케이에이치제이), 박희찬(스튜디오히치), 양예나(플라스티크판타스티크), 이다미(플로라앤파우나)가 참여하여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관 건물의 건축적 조건과 공간적 특성을 탐구하고 조명하는 작업을 각자의 독창적인 시선으로 풀어냈다. 건물이 가진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되새기는 이번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한국관 자체를 새롭게 인식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는 베네치아 비엔날레 한국관 건립 30주년을 맞는 매우 의미 있는 해다. 이를 기념하고 한국관의 역사적 의의와 미래 비전을 깊이 있게 논의하는 건축 포럼도 베네치아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다. 한국관 공동설계자인 프랑코 만쿠조를 비롯해 2014년 베네치아 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커미셔너를 맡았던 조민석 건축가, 그리고 2002년 커미셔너였던 김종성 건축가 등 한국관의 역사와 함께 해온 주요 인물들이 발제자로 참여하여 한국관 공간의 의미와 앞으로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귀한 자리가 될 전망이다.

 


3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관의 역사를 총망라하는 아카이브 북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1996-2025'도 발간되어 그 의미를 더한다. 이 책에는 역대 건축전 커미셔너 및 예술감독의 전시 서문과 주요 전시 개요가 수록되어 있으며, 한국 건축계의 거장인 강석원, 김종성, 승효상 건축가 등과의 인터뷰도 담겨 있어 한국 건축이 베네치아 비엔날레를 통해 걸어온 길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9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 전체는 이탈리아 건축가 카를로 라티가 총감독을 맡아 '지성적·자연적·인공적·집단적'(Intelligent. Natural. Artificial. Collective.)이라는 시의성 있는 주제로 오는 11월 23일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된다. 이번 비엔날레 본전시에는 한국 출신으로 아이브이에이에이아이유(IVAAIU), 프라우드(PRAUD), 행림건축이 참여하여 국제 건축계에 한국 건축의 현재와 역량을 선보이며 위상을 높일 예정이다.

 

한국 건축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국제적인 위상을 확인하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이번 베네치아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에 국내외 건축계와 대중의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축의금 인플레이션' 시대... 직장인 70%가 '경제적 압박' 호소

 올해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직장 동료 결혼식의 적정 축의금이 1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대비 5만원 상승한 금액으로, 물가 상승이 축의금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인크루트가 26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올해 기준 직장 동료 결혼식에 내야 할 적정 축의금을 물은 결과, 1인 기준으로 결혼식에 참석해 식사할 경우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61.8%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5만원'이 32.8%, '5만원 미만'이 3.2%, '15만원'이 1.4% 순으로 집계됐다.특히 주목할 점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축의금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2023년 같은 조사에서는 '같은 팀이지만 덜 친하고 협업할 때만 마주하는 직장 동료'의 적정 축의금으로 65.1%가 '5만원'을 꼽았다. 그러나 올해는 가장 많은 응답이 '10만원'으로 나타나 작년보다 5만원이 상승했다. 인크루트는 이러한 변화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관계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와 '협업·일로 엮인 동료' 모두에게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각각 59.7%와 60.1%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었다.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의 경우 2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14.3%, 15만원이 12.7%, 5만원이 9.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업·일로 엮여 있는 동료'에게는 5만원(30%), 5만원 미만(3.8%), 15만원(3.3%)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친밀도에 따라 축의금 금액에 차등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결혼식 참석 범위에 관한 질문에서는 '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 있는 동료'까지 참석한다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다.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 결혼식에 참석한다는 응답은 28.2%였으며,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 결혼식만 간다는 응답은 25.9%로 나타났다. 소수이지만 1.4%는 직장 동료 결혼식에 아예 참석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동료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 이유(복수 응답)로는 '결혼식까지 참석할 만큼 친한 사이가 아니어서'(33.3%),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25%), '축의금의 경제적 부담이 커서'(16.7%)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이번 조사 결과는 직장 내 인간관계와 경제적 상황이 결혼식 참석 여부와 축의금 액수 결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물가 상승으로 인한 전반적인 생활비 부담 증가가 직장 문화의 일부인 축의금 관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부담스럽지만 관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의견과 "합리적인 수준에서 축의금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축의금 부담은 직장인들에게 적지 않은 경제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