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드디어 베네치아 건축비엔날레 한국관, '집의 시간' 이야기 시작!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건축 축제, 제19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에서 한국관 전시가 현지시간으로 10일 드디어 베일을 벗고 관객들을 맞이한다.

 

올해 한국관 전시는 건축큐레이터 정다영, 김희정, 정성규로 구성된 씨에이씨(CAC)가 예술감독을 맡아 '두껍아 두껍아: 집의 시간'이라는 정겹고도 깊이 있는 주제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건축가 김현종(아뜰리에케이에이치제이), 박희찬(스튜디오히치), 양예나(플라스티크판타스티크), 이다미(플로라앤파우나)가 참여하여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한국관 건물의 건축적 조건과 공간적 특성을 탐구하고 조명하는 작업을 각자의 독창적인 시선으로 풀어냈다. 건물이 가진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되새기는 이번 전시는 관람객들에게 한국관 자체를 새롭게 인식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는 베네치아 비엔날레 한국관 건립 30주년을 맞는 매우 의미 있는 해다. 이를 기념하고 한국관의 역사적 의의와 미래 비전을 깊이 있게 논의하는 건축 포럼도 베네치아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다. 한국관 공동설계자인 프랑코 만쿠조를 비롯해 2014년 베네치아 비엔날레 건축전 한국관 커미셔너를 맡았던 조민석 건축가, 그리고 2002년 커미셔너였던 김종성 건축가 등 한국관의 역사와 함께 해온 주요 인물들이 발제자로 참여하여 한국관 공간의 의미와 앞으로의 가능성을 다각도로 모색하는 귀한 자리가 될 전망이다.

 


30주년 기념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관의 역사를 총망라하는 아카이브 북 '베니스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1996-2025'도 발간되어 그 의미를 더한다. 이 책에는 역대 건축전 커미셔너 및 예술감독의 전시 서문과 주요 전시 개요가 수록되어 있으며, 한국 건축계의 거장인 강석원, 김종성, 승효상 건축가 등과의 인터뷰도 담겨 있어 한국 건축이 베네치아 비엔날레를 통해 걸어온 길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한다.

 

한편, 제19회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 건축전 전체는 이탈리아 건축가 카를로 라티가 총감독을 맡아 '지성적·자연적·인공적·집단적'(Intelligent. Natural. Artificial. Collective.)이라는 시의성 있는 주제로 오는 11월 23일까지 약 6개월간 진행된다. 이번 비엔날레 본전시에는 한국 출신으로 아이브이에이에이아이유(IVAAIU), 프라우드(PRAUD), 행림건축이 참여하여 국제 건축계에 한국 건축의 현재와 역량을 선보이며 위상을 높일 예정이다.

 

한국 건축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고 국제적인 위상을 확인하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이번 베네치아 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에 국내외 건축계와 대중의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파리바게뜨 모기업 SPC, 또 노동자 죽었다... 3년간 3명 사망한 '죽음의 공장'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또 한 명의 노동자가 작업 중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19일 경기 시흥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경 50대 여성 노동자 A씨가 기계 작업 도중 컨베이어 벨트에 상반신이 끼이는 사고를 당해 현장에서 사망했다.사고 당시 A씨는 기계에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주변에 있던 동료 작업자들이 긴급하게 대응했으나, 사고 직후 A씨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은 사고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공장 내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하고 목격자들의 진술을 수집 중이다.경찰은 안전수칙 위반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위반 사항이 확인될 경우 사고 책임자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SPC 그룹 계열사에서 발생한 일련의 산업재해 중 최근 사례로, 기업의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SPC 그룹 계열사의 산재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2년 10월에는 평택에 위치한 SPL 제빵공장에서 20대 여성 근로자가 소스 교반기에 끼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공장에서는 50대 여성 근로자가 작업 중 손가락이 기계에 끼여 골절상을 입었으며, 20대 외주업체 직원은 컨베이어벨트가 내려앉는 사고로 머리를 다치는 사례도 있었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평택 SPL 사망사고 발생 후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2023년 8월, 성남에 위치한 샤니 제빵공장에서도 여성 근로자가 반죽 기계에 끼여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이처럼 짧은 기간 내에 유사한 사고가 반복되면서 SPC 그룹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근로환경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노동계에서는 이러한 사고가 단순한 우발적 사고가 아닌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기업의 안전 투자 부족과 노동자 안전교육 미비를 지적하고 있다. 특히 심야시간대 작업 중 발생한 이번 사고는 야간 근무 시 안전관리 체계의 취약점을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고용노동부는 SPC 계열사의 반복되는 산재 사고에 대해 특별 점검을 실시할 가능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사회단체와 노동단체들은 기업의 책임 있는 자세와 함께 실질적인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식품제조업계 전반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