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웹툰 원작 '존버닥터' 드라마화 소식! 신예은-이재욱 캐스팅에 팬들 환호

 배우 신예은이 인기 웹툰 원작 드라마 '존버닥터'의 여자 주인공으로 나선다. 앞서 남자 주인공으로 캐스팅된 이재욱과 처음으로 연기 호흡을 맞추며 기대를 모은다.

 

8일 신예은은 신작 '존버닥터'의 출연을 긍정적으로 검토한 끝에 합류를 결정했다.

 

'존버닥터'는 모두가 기피하는 외딴 섬 편동도 보건지소에 파견된 성형외과 전문의 도지의가 1년간 온갖 환자와 주민들을 만나며 처절하게 버티는 이야기를 그린다. 이재욱이 주인공 도지의 역을 맡아 데뷔 후 처음으로 의사 캐릭터에 도전한다. 하반기 군 입대를 앞두고 선택한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신예은은 극 중 도지의의 동료 간호사 육하리 역을 맡았다. 내로라하는 대학병원에서 일했지만, 어느 날 갑자기 편동보건지소의 1년제 계약직 간호사가 되면서 도지의와 얽히고 로맨스 라인을 형성할 예정이다. 신예은과 이재욱이 한 작품에서 만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8년 웹드라마 '에이틴'으로 데뷔한 신예은은 넷플릭스 '더 글로리'에서 학폭 가해자 박연진의 어린 시절을 연기하며 글로벌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지난해에는 tvN '정년이'에서 뛰어난 연기력을 선보이며 대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JTBC '경우의 수', SBS '꽃선비 열애사'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으며, 올해 1월 개봉한 영화 '말할 수 없는 비밀'로 성공적인 스크린 데뷔도 마쳤다.

 


'존버닥터'는 신예은의 차기작으로, 디즈니+ 시리즈 '탁류', JTBC '백번의 추억' 등 이미 출연을 확정한 작품들에 이어 활발한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신예은은 오는 10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첫 단독 팬미팅을 개최하며 글로벌 인기를 실감케 할 계획이다.

 

한편, '존버닥터'는 카카오웹툰에서 연재 중인 인기 웹툰을 원작으로 하며, 드라마 '열혈사제' 시즌1, 쿠팡플레이 시리즈 '소년시대' 등을 연출한 이명우 감독이 메가폰을 잡는다. 현재 글로벌 OTT 및 TV 채널 편성을 논의 중이다.

 

연기 변신을 예고한 이재욱과 대세 배우 신예은의 신선한 조합이 '존버닥터'를 통해 어떤 시너지를 낼지 귀추가 주목된다.

 

'축의금 인플레이션' 시대... 직장인 70%가 '경제적 압박' 호소

 올해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직장 동료 결혼식의 적정 축의금이 1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대비 5만원 상승한 금액으로, 물가 상승이 축의금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인크루트가 26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올해 기준 직장 동료 결혼식에 내야 할 적정 축의금을 물은 결과, 1인 기준으로 결혼식에 참석해 식사할 경우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61.8%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5만원'이 32.8%, '5만원 미만'이 3.2%, '15만원'이 1.4% 순으로 집계됐다.특히 주목할 점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축의금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2023년 같은 조사에서는 '같은 팀이지만 덜 친하고 협업할 때만 마주하는 직장 동료'의 적정 축의금으로 65.1%가 '5만원'을 꼽았다. 그러나 올해는 가장 많은 응답이 '10만원'으로 나타나 작년보다 5만원이 상승했다. 인크루트는 이러한 변화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관계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와 '협업·일로 엮인 동료' 모두에게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각각 59.7%와 60.1%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었다.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의 경우 2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14.3%, 15만원이 12.7%, 5만원이 9.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업·일로 엮여 있는 동료'에게는 5만원(30%), 5만원 미만(3.8%), 15만원(3.3%)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친밀도에 따라 축의금 금액에 차등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결혼식 참석 범위에 관한 질문에서는 '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 있는 동료'까지 참석한다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다.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 결혼식에 참석한다는 응답은 28.2%였으며,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 결혼식만 간다는 응답은 25.9%로 나타났다. 소수이지만 1.4%는 직장 동료 결혼식에 아예 참석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동료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 이유(복수 응답)로는 '결혼식까지 참석할 만큼 친한 사이가 아니어서'(33.3%),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25%), '축의금의 경제적 부담이 커서'(16.7%)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이번 조사 결과는 직장 내 인간관계와 경제적 상황이 결혼식 참석 여부와 축의금 액수 결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물가 상승으로 인한 전반적인 생활비 부담 증가가 직장 문화의 일부인 축의금 관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부담스럽지만 관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의견과 "합리적인 수준에서 축의금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축의금 부담은 직장인들에게 적지 않은 경제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