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어쩌면 해피엔딩' 뉴욕 비평가들 마음 훔쳤다!

 한국 창작 뮤지컬의 저력을 보여준 '어쩌면 해피엔딩'이 미국 브로드웨이의 심장부에서 또 하나의 낭보를 전했다. 이 작품이 현지 시각으로 8일 발표된 제89회 뉴욕 드라마비평가협회상(New York Drama Critics' Circle Awards)에서 최고 영예인 최우수 뮤지컬상(Best Musical)을 수상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특히 한국 극작가가 창작의 주축이 된 작품이 이 권위 있는 상을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K-뮤지컬의 위상을 브로드웨이 본토에 각인시켰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갖는다.

 

'뉴욕 드라마 비평가 협회상'은 1936년부터 매년 뉴욕의 주요 드라마 비평가들이 모여 그해 브로드웨이 및 오프브로드웨이 무대에 오른 작품 중 최고의 연극과 뮤지컬을 선정하는, 미국 공연계에서 오랜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는 시상식이다. 토니 어워즈와 함께 브로드웨이 시즌의 주요 성과를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어쩌면 해피엔딩'은 협회 소속 비평가들의 엄격한 심사와 투표 과정을 거쳐 올해의 최우수 뮤지컬로 최종 선정됐다. 시상식은 오는 15일(이하 현지시간) 비공개로 진행될 예정이다.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은 한국의 극작가 박천휴와 미국의 작곡가 윌 애러슨이 의기투합해 창작한 작품이다. 한국과 미국의 창작진이 협력하여 이뤄낸 성과라는 점에서도 주목받는다. 미래의 서울을 배경으로, 인간을 돕기 위해 만들어진 '헬퍼 로봇' 올리버와 클레어가 우연히 만나 서로에게 사랑이라는 낯선 감정을 느끼게 되면서 벌어지는 따뜻하고도 애틋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섬세한 감정선과 서정적인 음악으로 국내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이 작품은 브로드웨이 진출을 위해 극본의 영어화 작업과 함께 현지 관객의 정서에 맞춘 각색 과정을 거쳤다. 지난해 11월 브로드웨이의 대표적인 소극장 극장인 라마마(La MaMa)에서 개막한 이후, 평단과 관객의 뜨거운 호평 속에 90% 이상의 높은 객석 점유율을 꾸준히 기록하며 성공적인 순항을 이어가고 있다. 뉴욕타임즈 등 현지 주요 매체로부터 "마음을 사로잡는 작품", "놀랍도록 아름다운 뮤지컬"이라는 극찬을 받기도 했다.

 

이번 뉴욕 드라마비평가협회상 수상은 '어쩌면 해피엔딩'의 작품성을 브로드웨이 비평가들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여기에 더해, 이 작품은 미국 공연계 최고 권위의 시상식인 '토니 어워즈'에서도 총 10개 부문에 이름을 올리며 그 저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작품상, 연출상, 극본상, 음악상 등 주요 부문을 포함한 10개 부문 후보 지명은 한국 창작 뮤지컬로는 전례 없는 성과다. 제78회 토니 어워즈 시상식은 오는 6월 8일(현지시간)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며, '어쩌면 해피엔딩'이 토니상에서도 수상의 영예를 안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어쩌면 해피엔딩'의 뉴욕 드라마비평가협회상 수상과 토니 어워즈 대거 후보 지명은 K-뮤지컬이 브로드웨이 본토에서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인정받으며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춘 장르로 부상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번 성공이 향후 더 많은 한국 창작 뮤지컬의 해외 진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축의금 인플레이션' 시대... 직장인 70%가 '경제적 압박' 호소

 올해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직장 동료 결혼식의 적정 축의금이 1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대비 5만원 상승한 금액으로, 물가 상승이 축의금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인크루트가 26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올해 기준 직장 동료 결혼식에 내야 할 적정 축의금을 물은 결과, 1인 기준으로 결혼식에 참석해 식사할 경우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61.8%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5만원'이 32.8%, '5만원 미만'이 3.2%, '15만원'이 1.4% 순으로 집계됐다.특히 주목할 점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축의금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2023년 같은 조사에서는 '같은 팀이지만 덜 친하고 협업할 때만 마주하는 직장 동료'의 적정 축의금으로 65.1%가 '5만원'을 꼽았다. 그러나 올해는 가장 많은 응답이 '10만원'으로 나타나 작년보다 5만원이 상승했다. 인크루트는 이러한 변화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관계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와 '협업·일로 엮인 동료' 모두에게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각각 59.7%와 60.1%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었다.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의 경우 2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14.3%, 15만원이 12.7%, 5만원이 9.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업·일로 엮여 있는 동료'에게는 5만원(30%), 5만원 미만(3.8%), 15만원(3.3%)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친밀도에 따라 축의금 금액에 차등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결혼식 참석 범위에 관한 질문에서는 '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 있는 동료'까지 참석한다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다.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 결혼식에 참석한다는 응답은 28.2%였으며,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 결혼식만 간다는 응답은 25.9%로 나타났다. 소수이지만 1.4%는 직장 동료 결혼식에 아예 참석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동료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 이유(복수 응답)로는 '결혼식까지 참석할 만큼 친한 사이가 아니어서'(33.3%),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25%), '축의금의 경제적 부담이 커서'(16.7%)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이번 조사 결과는 직장 내 인간관계와 경제적 상황이 결혼식 참석 여부와 축의금 액수 결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물가 상승으로 인한 전반적인 생활비 부담 증가가 직장 문화의 일부인 축의금 관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부담스럽지만 관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의견과 "합리적인 수준에서 축의금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축의금 부담은 직장인들에게 적지 않은 경제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