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모아

한국 사회의 민낯..국민 절반 ‘울분 상태’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민의 절반 이상이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시달리고 있으며, 특히 30대와 저소득층에서 울분을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재난 통합대응을 위한 교육연구단은 지난달 15일부터 21일까지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한 정신건강 조사 결과를 7일 공개했다. 이 조사에서 응답자 48.1%는 자신의 정신건강 수준이 "좋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40.5%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11.4%에 불과했다.

 

정신건강이 좋지 않다고 느낀 이유로는 '경쟁과 성과를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가 37.0%로 가장 많이 지적됐으며, 그 외에도 '타인이나 집단의 시선과 판단이 기준과 규범이 되는 사회 분위기' (22.3%), '물질적 안락함이나 부가 성공과 행복의 기준으로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16.6%)가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이 외에도 불안과 우울 등의 주요 감정과 정서 상태를 측정한 결과, 26.3%가 '중간 정도 이상의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33.1%는 '중간 정도 이상의 우울'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43.3%는 '외롭다'고, 33.7%는 '소외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12.8%는 '높은 수준의 심각한 울분'에 해당하며, 54.9%는 '장기적인 울분 상태'에 있었다. 특히, 심각한 울분을 느낀 비율은 30대가 17.4%로 가장 높았으며, 60대 이상은 9.5%로 그 비율이 낮았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에서는 21.1%가 심각한 울분을 겪고 있었고, 월 소득 1000만원 이상 집단에서는 5.4%로 큰 차이를 보였다. 조사에 따르면 올해 심각한 울분 비율은 2018년(14.7%), 2021년(13.9%)보다는 낮고, 2020년(11.9%)과 지난해(9.3%)보다는 높았다.

 

연구진은 공정에 대한 신념이 낮을수록 울분의 정도가 심해진다고 분석했다. 정치 및 사회 문제에 대한 울분을 측정한 결과, ‘정부의 비리나 잘못된 은폐’에 대해 85.5%가 울분을 느꼈다고 응답했으며, ‘정치·정당의 부도덕과 부패’(85.2%), ‘안전관리 부실로 인한 참사’(85.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세상은 기본적으로 공정하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69.5%가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7.1%는 지난 1년 동안 건강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심각한 스트레스를 경험했다고 밝혔다. 특히 40대(55.4%)와 30대(51.7%)에서, 그리고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집단(58.8%)에서 높은 비율이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일으킨 주요 원인으로는 '건강 변화'(42.5%), '경제 수준 변화'(39.5%), '정치환경 변화'(36.3%) 등이 지목됐다.

 

또한, 27.3%의 응답자는 지난 1년 동안 정신건강 위기를 겪었고, 이들 중 51.3%는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었다. 20.5%는 실제로 자살 계획을 세운 적이 있었고, 13.0%는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정신건강 위기를 겪은 사람들 중 60.6%는 도움을 구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로는 '우려와 두려움' (41.9%)과 '어떻게 도움을 요청해야 할지 몰라서' (22.6%) 등이 있었다.

 

조사를 총괄한 유명순 교수는 "사회 안전과 안정성을 높게 유지하고, 특히 기본적인 신뢰를 굳건히 하는 노력이 사회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다"며, "정신과 관련된 질환의 치료나 의료적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골 결정력 '치명적 약점'...토트넘이 손흥민 후계자로 '3골 윙어'를 노리는 이유

 토트넘이 손흥민의 공백을 메울 초대형 영입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 이적시장의 권위자 파브리시오 로마노 기자는 11일 자신의 SNS를 통해 "토트넘이 사비뉴 영입을 위해 맨체스터 시티와 협상을 시작했다"는 독점 정보를 공개했다. 로마노에 따르면 양 구단 간 이적료 협상이 진행 중이며, 합의가 이루어질 경우 사비뉴 본인도 이적에 긍정적인 입장이라고 한다.토마스 프랭크 토트넘 감독은 최근 손흥민의 대체자 영입 필요성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바이에른 뮌헨과의 경기에서 0-4 대패를 당한 후 그는 "손흥민은 10시즌 동안 클럽의 핵심 선수였다"며 "마티스 텔과 윌슨 오도베르 같은 유망한 젊은 선수들이 있지만, 이적시장에서 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합한 선수를 찾는다면 영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랭크 감독은 사비뉴가 바로 그 적임자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2004년생 브라질 출신의 사비뉴는 폭발적인 스피드와 뛰어난 1대1 돌파 능력이 강점인 오른쪽 윙어다.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유스팀 출신으로 2020년 16세의 나이에 1군 데뷔를 했으며, 곧바로 맨시티의 눈에 들어 영입됐다. 그러나 1군 경쟁력이 부족해 트루아, PSV 에인트호번, 지로나 등에 임대되며 성장 기회를 얻었다.특히 2023-24시즌 지로나에서 라리가 정상급 윙어로 거듭나며 맨시티 복귀 자격을 증명했다. 사비뉴는 주로 오른쪽 윙어로 활약하지만, 지로나 시절에는 왼쪽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줬다. 이는 손흥민의 주 포지션이었던 왼쪽 공격수 자리를 메울 수 있다는 점에서 토트넘에게 매력적인 요소다.다만 지난 시즌 맨시티에서의 활약은 다소 아쉬웠다. 펩 과르디올라 감독 아래에서 공식전 48경기에 출전해 3골 13도움을 기록했는데, 도움 수는 준수했지만 골 생산성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스피드와 돌파력은 뛰어나지만 골 결정력과 슈팅 능력에서는 여전히 발전이 필요한 상황이다.토트넘이 사비뉴를 영입하려면 구단 역대 최고 수준의 이적료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사비뉴의 시장 가치는 약 5000만 유로(810억원)로 평가되며, 2004년생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하면 토트넘의 역대 최고 이적료인 도미닉 솔란케 영입 때 지불한 6430만 유로(약 1042억원)에 근접한 금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토트넘은 손흥민의 이적으로 생긴 공백을 메우기 위해 사비뉴라는 젊고 유망한 선수에게 큰 투자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사비뉴가 토트넘에 합류한다면 프랭크 감독의 전술 체계에서 어떤 역할을 맡게 될지, 그리고 손흥민이 남긴 큰 족적을 이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