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한국 왜 오려는지? LA 교포가 전하는 유승준 미국 생활 "나나나 부른다"

 가수 출신 스티브 승준 유(한국명 유승준)의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의 근황이 한 교포의 증언을 통해 공개되며 그의 한국 입국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자신을 LA에 거주하는 교포라고 밝힌 A씨는 최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유승준의 현재 생활에 대한 장문의 글을 게시했다. A씨는 글에서 유승준이 LA 세리토스 지역의 동네 행사나 밤무대에 출연하고 있으며, 이때마다 자신을 여전히 '한국의 슈퍼스타'라고 소개한다고 전했다. 또한 과거 히트곡인 '열정', '가위', '나나나' 등을 부르며 무대에 선다고 덧붙였다. 

 

A씨에 따르면 유승준은 행사 일정이 없을 때는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거나 자녀들과 함께 페어팩스, 헌팅턴 비치, 말리부 등지에서 서핑이나 스케이트보드를 타며 일상을 보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유승준의 미국 생활이 여유로워 보인다며 "미국에서 잘 먹고 잘 사는데 한국에 왜 이렇게 들어오려는지 모르겠다"고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유승준의 아버지가 웨스트 포인트(미국 사관학교)에 보내려 했으나 그마저도 가지 않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유승준의 한국 입국 문제는 2002년 발생한 병역 기피 논란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군 입대를 앞두고 있던 유승준은 해외 공연을 이유로 출국한 뒤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며 한국 국적을 포기했다. 이에 대한민국 법무부는 병역 의무 회피를 목적으로 국적을 변경한 것으로 보고 유승준에 대해 입국 금지 처분을 내렸다.

 


이후 유승준은 한국 입국을 시도하며 기나긴 법정 다툼을 벌여왔다. 2015년 LA 총영사관에 재외동포 비자(F-4) 발급을 신청했으나 거부당하자, 사증발급 거부처분 취소 소송을 제기했다. 1심과 2심에서는 유승준이 패소했으나, 대법원에서 파기환송 결정이 내려지며 최종적으로 유승준이 승소 판결을 받았다. 

 

그러나 대법원 승소에도 불구하고 LA 총영사관은 다시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유승준은 또다시 비자 발급 거부 취소 소송을 냈고, 두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지만 비자는 여전히 발급되지 않았다. 결국 유승준은 지난해 9월 LA 총영사관과 법무부 장관 등을 상대로 자신에 대한 입국금지 결정이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해달라는 취지의 세 번째 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법무부 측은 유승준이 입국할 경우 국익과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입국 금지 조치가 정당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유승준은 지난 4월 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데뷔 28주년을 자축하는 글을 올리며 "언젠가 꼭 다시 만날 그날을 기대하겠다"고 언급, 여전히 한국 입국에 대한 미련과 의지를 내비쳤다.

 

LA 교포의 증언을 통해 공개된 유승준의 미국 생활과 더불어 계속되는 그의 한국 입국을 위한 법적 시도가 알려지면서, 병역 기피 논란과 맞물린 그의 한국 입국 가능성 및 사회적 파장에 대한 관심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파리바게뜨 모기업 SPC, 또 노동자 죽었다... 3년간 3명 사망한 '죽음의 공장'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또 한 명의 노동자가 작업 중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19일 경기 시흥경찰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경 50대 여성 노동자 A씨가 기계 작업 도중 컨베이어 벨트에 상반신이 끼이는 사고를 당해 현장에서 사망했다.사고 당시 A씨는 기계에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주변에 있던 동료 작업자들이 긴급하게 대응했으나, 사고 직후 A씨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현장에 출동한 경찰은 사고 경위를 파악하기 위해 공장 내 폐쇄회로(CC)TV 영상을 확보하고 목격자들의 진술을 수집 중이다.경찰은 안전수칙 위반 여부를 중점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위반 사항이 확인될 경우 사고 책임자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입건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SPC 그룹 계열사에서 발생한 일련의 산업재해 중 최근 사례로, 기업의 안전관리 체계에 대한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SPC 그룹 계열사의 산재 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2년 10월에는 평택에 위치한 SPL 제빵공장에서 20대 여성 근로자가 소스 교반기에 끼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같은 공장에서는 50대 여성 근로자가 작업 중 손가락이 기계에 끼여 골절상을 입었으며, 20대 외주업체 직원은 컨베이어벨트가 내려앉는 사고로 머리를 다치는 사례도 있었다.더욱 충격적인 것은 평택 SPL 사망사고 발생 후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2023년 8월, 성남에 위치한 샤니 제빵공장에서도 여성 근로자가 반죽 기계에 끼여 목숨을 잃는 사고가 발생했다는 점이다. 이처럼 짧은 기간 내에 유사한 사고가 반복되면서 SPC 그룹의 안전관리 시스템과 근로환경에 대한 사회적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노동계에서는 이러한 사고가 단순한 우발적 사고가 아닌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기업의 안전 투자 부족과 노동자 안전교육 미비를 지적하고 있다. 특히 심야시간대 작업 중 발생한 이번 사고는 야간 근무 시 안전관리 체계의 취약점을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고용노동부는 SPC 계열사의 반복되는 산재 사고에 대해 특별 점검을 실시할 가능성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민사회단체와 노동단체들은 기업의 책임 있는 자세와 함께 실질적인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식품제조업계 전반의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