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

보성다향대축제, 색다른 'K-티' 선보여

 제48회 보성다향대축제가 오는 5월 2일부터 6일까지 전라남도 보성군 한국차문화공원 일원에서 열린다. 올해 축제는 '보성에서 피어나는 천년 차(茶)의 약속'이라는 주제로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적이고 혁신적인 프로그램들을 선보이며, 전통 차 문화를 널리 알리고 젊은 세대와 세계 시장을 겨냥한 다채로운 행사를 펼칠 예정이다.

 

이번 축제의 하이라이트는 '오후의 차밭(그랜드 티파티)'이다. 이 프로그램은 보성다향제의 시그니처 행사로 자리잡고 있으며, 올해는 규모를 대폭 확대하여 500명이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참가자들은 푸른 차밭을 배경으로 여유로운 차를 마시며 보성 차의 매력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K-티 브랜드를 한곳에서 체험할 수 있는 'K-티 문화 체험관'도 마련된다. 이곳에서는 차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말차 칵테일 체험, 로스팅 차 체험 등 새로운 차 문화를 체험할 수 있으며, 전국의 바리스타와 음료 개발자들이 참여하는 '보성티마스터컵'도 열려 보성차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예정이다.

 

보성다향대축제는 세계 차 시장을 향한 도약도 준비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최대 축제인 카마탄 페스티벌과의 공식 교류 협약을 체결하여, 보성차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고 차 문화의 글로벌 확산을 도모한다. 또한 축제 기간 동안 지역 농가와 대기업 프랜차이즈 카페 간의 기업 간 거래(B2B) 매칭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보성차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확대를 위한 발판을 마련할 예정이다.

 

 

 

가족 단위 관광객을 위한 프로그램도 다채롭게 마련된다. 어린이들이 즐길 수 있는 에어바운스 놀이터, 비눗방울 놀이터, 차밭 보물찾기, 꼬마 기차 운행 등 다양한 체험 부스가 준비되어 있다. 또, 키링 만들기, 머그컵 만들기, 녹차 비누 만들기와 같은 창의적인 체험도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초록 차밭을 배경으로 한 감성적인 스냅사진 촬영과 카라반과 함께하는 감성 캠핑 프로그램도 신규로 도입되어, 가족 단위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선사할 예정이다.

 

개막식은 보성군민의 날인 5월 2일과 함께 진행되며, 블랙이글스 에어쇼와 대형 콘서트가 펼쳐져 축제 분위기를 한층 돋운다. 또한 보성녹차마라톤대회, 일림산철쭉문화행사, 서편제보성소리축제, 보성어린이날 행사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함께 열려, 축제 기간 동안 방문객들은 차와 관련된 다양한 문화행사를 체험할 수 있다.

 

보성군 관계자는 "황금연휴와 함께 다향제가 열리는 만큼, 더 많은 프로그램과 행사를 준비했다"며 "보성녹차의 새로운 면모를 확인하는 의미 있는 축제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보성다향대축제는 차 문화의 발전과 보성 차의 가치를 재조명하며, 한층 더 풍성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이다.

 

마트 진열대 점령한 '메이드 인 코리아' 아열대과일, 그 속사정은?

 이제 마트에서 ‘국산’ 바나나를 보고 놀라는 사람은 드물다. 한때 이국적인 이미지의 대명사였던 애플망고, 패션프루트(백향과) 같은 아열대과일들이 당당히 ‘국산’ 딱지를 달고 우리 식탁에 오르고 있다. 기후 변화가 가져온 농업 지형의 변화 속에서 국내 농가들이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며 일궈낸 값진 성과다.농촌진흥청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에서 아열대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는 5876곳이며, 총 재배 면적은 2907헥타르에 이른다. 이는 국내 농업이 미래를 대비하여 품목 다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낙관적인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전년 대비 재배 면적이 398헥타르 감소했는데, 이는 겨울철 난방비 상승과 안정적인 판로 확보의 어려움 등 농가들이 직면한 복합적인 문제들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재배 면적이 398㏊ 감소했는데, 이는 겨울철 난방비 부담과 안정적인 판로 확보의 어려움 등 농가들이 직면한 현실적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현재 가장 넓은 면적에서 재배되는 아열대 과수는 무화과(792.5㏊)이며, 망고(138.0㏊), 석류(98.6㏊), 비파(78.5㏊), 패션프루트(24.3㏊), 바나나(23.7㏊)가 그 뒤를 잇는다. 채소·특작 분야에서는 차(1566.6㏊)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며, 여주(68.5㏊), 강황(24.7㏊), 얌빈(10.5㏊), 공심채(9.8㏊), 커피(8.0㏊) 등 이색 작물들도 꾸준히 재배되고 있다.지역별 재배 현황을 살펴보면, 전남이 1833헥타르(3484농가)로 전체 재배 면적의 63%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1위 산지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무화과, 석류, 비파, 차나무와 같이 해당 지역에서 오랫동안 재배되어 온 작물들이 아열대작물 범주에 포함되어 집계된 결과가 크게 작용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최근 각광받는 망고, 파파야, 바나나 같은 신규 아열대작물들은 제주, 전북, 경남 등 주로 남부 지역에 걸쳐 비교적 균형 있게 분포되어 있어, 특정 지역에 집중되지 않고 확산되는 경향을 보인다.이번 조사는 총 23개 아열대작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전남 장성에서는 3.1㏊ 규모의 레몬 재배단지가 조성되어 지난해부터 출하되고 있다. 국내 아열대작물 재배는 기후 변화에 대한 농업의 유연한 대응이자, 소비자들에게는 신선하고 안전한 국산 농산물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시도다. 농가들의 노력이 결실을 맺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과 유통망 확충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