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현대캐피탈의 심장' 문성민, 코트로 돌아오다

 프로배구 V리그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가 팀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상징과도 같았던 프랜차이즈 스타 문성민(38)을 코치로 전격 영입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한다. 지난 시즌을 끝으로 정든 코트를 떠난 그가 은퇴 후 곧바로 지도자의 길을 걷게 되면서 배구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캐피탈 구단은 최근 문성민의 코치 선임을 공식 발표하고, 필립 블랑 감독을 보좌하며 선수단을 지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선수 시절 유럽 무대와 V리그를 평정했던 그가 지도자로서 어떤 역량을 보여줄지 기대를 모은다.

 

문성민 코치는 선수 경력의 시작을 유럽에서 쌓았다. 독일 분데스리가의 명문 팀인 프리드리히스하펜과 튀르키예 리그의 강호 할크방크에서 활약하며 선진 배구를 경험했다. 이후 2010-11시즌 V리그에 데뷔한 그는 2023-24시즌까지 무려 14시즌 동안 현대캐피탈의 간판 공격수로 활약하며 팀의 역사를 함께 썼다.

 

그는 강력한 스파이크와 뛰어난 리더십으로 수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으며 '현대캐피탈의 아이콘'으로 불렸다. 특히 2015-16시즌과 2016-17시즌에는 두 시즌 연속 정규리그 MVP를 수상하며 V리그 최고의 선수임을 입증했고, 2016-17시즌에는 팀을 챔피언 결정전 우승으로 이끌며 챔프전 MVP까지 거머쥐는 등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문성민 코치는 지난 3월 13일 수원 한국전력과의 정규리그 최종전 직후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은퇴식을 통해 14년간의 찬란했던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은퇴 발표 후 불과 한 달여 만에 친정팀의 코치로 돌아오게 되면서, 선수 시절 보여준 팀에 대한 헌신과 애정이 지도자로서도 이어질 것임을 예감하게 한다.

 

현대캐피탈 구단 관계자는 문성민 코치 영입 배경에 대해 "문성민 선수가 선수 시절 보여준 성실함과 헌신, 그리고 선수단 내에서 쌓아온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은 팀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필립 블랑 감독의 지도 아래 훌륭한 지도자로 성장해 가길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임 문성민 코치는 지도자로서 첫발을 내딛는 소감을 전하며 다부진 각오를 밝혔다. 그는 "필립 블랑 감독님께 많이 배우고 선수 시절 쌓아온 경험을 후배들에게 잘 전하며, 선수들과 팀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코치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선수 문성민에서 지도자 문성민으로 변신한 그가 친정팀 현대캐피탈에 어떤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젊은 선수들의 성장을 이끌어낼지 배구계와 팬들의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축의금 인플레이션' 시대... 직장인 70%가 '경제적 압박' 호소

 올해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직장 동료 결혼식의 적정 축의금이 1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대비 5만원 상승한 금액으로, 물가 상승이 축의금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인크루트가 26일 발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844명을 대상으로 올해 기준 직장 동료 결혼식에 내야 할 적정 축의금을 물은 결과, 1인 기준으로 결혼식에 참석해 식사할 경우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61.8%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5만원'이 32.8%, '5만원 미만'이 3.2%, '15만원'이 1.4% 순으로 집계됐다.특히 주목할 점은 작년과 비교했을 때 축의금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이다. 2023년 같은 조사에서는 '같은 팀이지만 덜 친하고 협업할 때만 마주하는 직장 동료'의 적정 축의금으로 65.1%가 '5만원'을 꼽았다. 그러나 올해는 가장 많은 응답이 '10만원'으로 나타나 작년보다 5만원이 상승했다. 인크루트는 이러한 변화가 전반적인 물가 상승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관계 유형별로 살펴보면,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와 '협업·일로 엮인 동료' 모두에게 1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각각 59.7%와 60.1%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있었다.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의 경우 20만원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14.3%, 15만원이 12.7%, 5만원이 9.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협업·일로 엮여 있는 동료'에게는 5만원(30%), 5만원 미만(3.8%), 15만원(3.3%) 순으로 응답했다. 이는 친밀도에 따라 축의금 금액에 차등을 두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결혼식 참석 범위에 관한 질문에서는 '같이 협업하거나 일로 엮여 있는 동료'까지 참석한다는 응답이 44.4%로 가장 많았다. '청첩장을 받은 모든 직장 동료' 결혼식에 참석한다는 응답은 28.2%였으며, '사적으로 친한 직장 동료' 결혼식만 간다는 응답은 25.9%로 나타났다. 소수이지만 1.4%는 직장 동료 결혼식에 아예 참석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동료 결혼식에 참석하지 않는 이유(복수 응답)로는 '결혼식까지 참석할 만큼 친한 사이가 아니어서'(33.3%), '개인 일정이 우선이어서'(25%), '축의금의 경제적 부담이 커서'(16.7%)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이번 조사 결과는 직장 내 인간관계와 경제적 상황이 결혼식 참석 여부와 축의금 액수 결정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물가 상승으로 인한 전반적인 생활비 부담 증가가 직장 문화의 일부인 축의금 관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직장인들 사이에서는 "부담스럽지만 관계 유지를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의견과 "합리적인 수준에서 축의금 문화가 정착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 특히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축의금 부담은 직장인들에게 적지 않은 경제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