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현대캐피탈의 심장' 문성민, 코트로 돌아오다

 프로배구 V리그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가 팀의 '살아있는 전설'이자 상징과도 같았던 프랜차이즈 스타 문성민(38)을 코치로 전격 영입하며 새로운 도약을 준비한다. 지난 시즌을 끝으로 정든 코트를 떠난 그가 은퇴 후 곧바로 지도자의 길을 걷게 되면서 배구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대캐피탈 구단은 최근 문성민의 코치 선임을 공식 발표하고, 필립 블랑 감독을 보좌하며 선수단을 지도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선수 시절 유럽 무대와 V리그를 평정했던 그가 지도자로서 어떤 역량을 보여줄지 기대를 모은다.

 

문성민 코치는 선수 경력의 시작을 유럽에서 쌓았다. 독일 분데스리가의 명문 팀인 프리드리히스하펜과 튀르키예 리그의 강호 할크방크에서 활약하며 선진 배구를 경험했다. 이후 2010-11시즌 V리그에 데뷔한 그는 2023-24시즌까지 무려 14시즌 동안 현대캐피탈의 간판 공격수로 활약하며 팀의 역사를 함께 썼다.

 

그는 강력한 스파이크와 뛰어난 리더십으로 수많은 팬들의 사랑을 받으며 '현대캐피탈의 아이콘'으로 불렸다. 특히 2015-16시즌과 2016-17시즌에는 두 시즌 연속 정규리그 MVP를 수상하며 V리그 최고의 선수임을 입증했고, 2016-17시즌에는 팀을 챔피언 결정전 우승으로 이끌며 챔프전 MVP까지 거머쥐는 등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문성민 코치는 지난 3월 13일 수원 한국전력과의 정규리그 최종전 직후 천안 유관순체육관에서 열린 은퇴식을 통해 14년간의 찬란했던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은퇴 발표 후 불과 한 달여 만에 친정팀의 코치로 돌아오게 되면서, 선수 시절 보여준 팀에 대한 헌신과 애정이 지도자로서도 이어질 것임을 예감하게 한다.

 

현대캐피탈 구단 관계자는 문성민 코치 영입 배경에 대해 "문성민 선수가 선수 시절 보여준 성실함과 헌신, 그리고 선수단 내에서 쌓아온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리더십은 팀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가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필립 블랑 감독의 지도 아래 훌륭한 지도자로 성장해 가길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임 문성민 코치는 지도자로서 첫발을 내딛는 소감을 전하며 다부진 각오를 밝혔다. 그는 "필립 블랑 감독님께 많이 배우고 선수 시절 쌓아온 경험을 후배들에게 잘 전하며, 선수들과 팀이 한 단계 더 발전할 수 있도록 코치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선수 문성민에서 지도자 문성민으로 변신한 그가 친정팀 현대캐피탈에 어떤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젊은 선수들의 성장을 이끌어낼지 배구계와 팬들의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2%대 뚫은 자퇴 곡선… 강남3구서 '정시 직항' 탑승 늘었다

 서울 강남구·서초구·송파구(이른바 '강남3구') 일반고에서 공교육을 중도 이탈하는 비율이 서울 자치구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올라서며, 상위권 일부 학생들의 ‘자퇴 → 검정고시 → 수능 정시’ 진입 경로가 구조화되는 것 아니냐는 교육계 우려가 커지고 있다.한국교육개발원 집계에 따르면 2024년(잠정) 강남구와 서초구 일반고 학업중단율은 각각 2.7%, 송파구는 2.1%로 집계됐다. 단순 수치로 보면 재학생 100명당 두세 명이 정규 고교 과정을 떠난 셈이다. 학업중단율은 자퇴·미인정 장기결석·퇴학 등을 포함하는 지표다.상승 곡선도 뚜렷하다. 강남구는 2021년 1.4%에서 2022년 1.9%, 2023년 2.2%, 2024년 2.7%로 3년 연속 상승했고, 서초구는 2021년 1.3% → 2022년 2.4%로 급등한 뒤 2023년 1.8%로 숨 고르기를 했지만 2024년 다시 2.7%로 뛰었다. 송파구 역시 2021년 1.0%, 2022년 1.6% 이후 2023·2024년 2.1%를 연속 기록하며 2%대에 안착했다. 한 교육전문가는 “상승 초입이 아니라 ‘수준 전환(level shift)’을 의심할 구간”이라고 평가했다.배경으로는 입시 구조 변화, 특히 수도권 주요 대학의 정시 비중 확대가 거론된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자녀 사례 등으로 수시 전형 공정성 논란이 커진 뒤 정시 선발 비율이 상향되는 정책 방향이 이어지면서, 서울 주요 대학 상당수가 실질적으로 합격자의 절반 안팎을 수능 중심 전형에서 채우는 구조가 정착했다는 것이 현장 진단이다. 이 과정에서 내신에서 이미 손실을 본 상위권 일부 학생이 ‘학교 수업 시간 유지’보다 ‘정시 집중 전환’이 효율적이라는 계산을 하게 되고, 그 극단적 선택이 조기 자퇴 후 검정고시 합격과 대형 입시 학원 커리큘럼 결합이라는 설명이다. 학원·컨설팅·스터디 공간이 밀집한 강남3구의 사교육 인프라가 이러한 전략 전환의 하방 위험(리스크)을 낮춰 ‘기회비용’ 재평가가 빠르게 진행된다는 분석도 있다. 현장에서는 이들을 속칭 ‘정시 파이터’라 부른다.이 같은 흐름을 시사하는 간접 지표로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신입생 중 검정고시 출신 증가가 지목된다. 올해 3개 대학 신입생 가운데 검정고시 경로로 입학한 인원은 259명으로 전년 대비 37% 늘어 최근 8년 사이 최다였다. 절대 규모가 전체 입학생 대비 아직 크지 않더라도 증가율·최고치 갱신 자체가 신호라는 것이다.제도적 요인으로는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과 함께 적용되는 5등급 내신 체계가 거론된다. 상위 10%를 확보하지 못하면 곧바로 11~34% 구간인 2등급으로 분류되는 구조에서 학생·가정이 체감하는 ‘위치 하락 폭’이 커져 조기 전략 수정(자퇴 포함) 압박이 커졌다는 진단이다. 기존 9등급 체계 대비 중상위권 세분화가 약화되면서 반등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줄어들고, 오히려 외부(사교육·독학) 전환 비용-편익 계산이 유리하게 나올 수 있다는 설명이다.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상위권이라도 전 과목 1등급을 확보하지 못하면 전략 수정 고민이 깊어질 것"이라며 "자퇴 증가는 고교 교육 공동체 약화를 불러올 수 있어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5등급 체계 하에서 '1등급 잔류 vs 2등급 전락' 경계의 심리적 부담을 완화할 보정 장치와, 학교 내 즉각적 심화·보충 트랙 가동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