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허니문은 없었다'... 트럼프 지지율 39%로 곤두박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집권 2기 취임 100일(29일)을 앞두고 그의 지지율이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주요 언론사들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역대 미국 대통령들의 취임 초기 지지율과 비교해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와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지난 18~22일 미국 성인 2,4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평가한 응답자는 39%에 그쳤다. 반면 '부정적'이라는 평가는 55%로 부정 평가가 긍정 평가를 16%포인트나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WP의 지난 2월 조사 때 기록한 45%보다 6%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트럼프의 지지율이 취임 초기부터 30%대로 떨어진 것이다.

 

WP는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과거 어느 대통령보다 낮다"며 "집권 1기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시점에서 42%를,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은 52%를 기록했다"고 비교 설명했다. 또한 "대부분 대통령은 취임 초기 몇 달 동안 '허니문' 기간을 즐기지만 첫 해 후반 지지율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며 "트럼프는 예외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는 트럼프가 취임 초기부터 이미 낮은 지지율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도 지지율 반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번 조사에서는 미국 사회의 정치적 분열 양상도 여실히 드러났다. 민주당 당원의 90% 이상이 트럼프 대통령의 직무 수행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공화당원의 80% 이상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는 미국 사회가 정치적으로 얼마나 양극화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구체적인 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고전을 면치 못했다. '최근의 주식시장 혼란'과 관련해서는 부정 평가가 67%로 긍정 평가(31%)를 두 배 이상 앞섰다.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정책인 '관세 정책'에 대해서도 64%가 부정적이라고 응답해 긍정적 평가(34%)를 크게 앞질렀다.

 

경제 전망에서도 비관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응답자의 72%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이 단기간 경기 침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주목할 점은 이 중 51%가 공화당원이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트럼프의 경제 정책에 대해 그의 지지 기반 내에서도 우려가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CNN 방송이 조사업체 SSRS와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41%로, 3월 조사보다 4%포인트, 2월 조사보다 7%포인트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율은 최소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전 대통령(1953~1961년 재임) 이후 100일 차 신임 대통령 중 가장 낮은 수치"라고 지적했다.

 

이러한 지지율 하락 추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2기를 시작하면서 직면한 여러 도전 과제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식시장 불안, 관세 정책에 대한 비판, 경제 침체 우려 등이 그의 지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취임 100일을 앞둔 시점에서 이러한 지지율 하락은 트럼프 행정부에게 정책 방향을 재고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SK그룹의 '자식 구하기' 혈투... 이번엔 SK에코플랜트에 4,800억 '수혈'

 SK그룹이 또 한 번의 대규모 사업 재편을 단행했다. 이번에는 SK에코플랜트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수혈 작전'이 핵심이다. SK㈜는 13일, 전날 이사회에서 SK머티리얼즈 산하 반도체 소재 자회사 4곳을 SK에코플랜트로 편입하는 사업구조개편안을 의결했다고 발표했다.이번 결정으로 SK트리켐(지분 65%), SK레조낙(51%),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51%)는 SK㈜의 현물 출자 방식으로,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100%)는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SK에코플랜트 산하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약 4,800억 원 규모의 자본이 SK에코플랜트에 투입되는 효과가 발생한다.편입되는 4개 회사는 모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과 밀접한 소재 기업들이다. SK트리켐은 반도체 제조용 전구체, SK레조낙은 식각 가스,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는 OLED 소재,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는 반도체 포토 소재를 생산하는 전문 기업들이다. SK㈜ 측은 "SK에코플랜트가 기존 반도체 EPC 사업과 리사이클링 사업에 소재 분야까지 더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는 성장 스토리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재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SK에코플랜트의 IPO를 위한 '생존 전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프리 IPO로 1조 원의 자금을 유치하면서 2026년까지 상장을 약속했다. 만약 이 기한을 지키지 못할 경우, 수천억 원의 위약금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SK에코플랜트의 독자 상장이 어렵다고 판단한 SK그룹이 '고육지책'으로 우량 자회사들을 떼어내 SK에코플랜트에 붙이는 형태의 구조조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사실 이는 처음이 아니다. SK㈜는 지난해에도 반도체 가공·유통사 에센코어와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를 SK에코플랜트에 편입시켜 재무 건전성을 보강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이번에는 SK C&C가 보유한 30MW 규모의 판교 데이터센터를 SK브로드밴드에 약 5,000억 원에 매각하는 결정도 내렸다.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도로 진행되는 이러한 일련의 리밸런싱은 지난해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에 이은 두 번째 대규모 사업재편이다. 당시 합병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 부진으로 고전하는 SK온을 살리기 위한 조치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SK온은 지난해 3분기에 11분기 만에 흑자를 기록했으나 곧바로 4분기와 올해 1분기에 다시 각각 3,594억 원, 2,99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SK그룹은 이처럼 그룹 내 주요 자회사들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과감한 구조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SK㈜ 관계자는 "중복 사업은 과감하게 통합하고 시너지를 도출해 자회사 지분 가치를 끌어올림으로써 지주사의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자회사 성장을 주도하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 지주사 본연의 역할을 적극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