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김민재, 기성용 후배되나? 뉴캐슬 이적설 솔솔


김민재, 바이에른 뮌헨의 핵심 수비수가 프리미어리그로 이적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영국 매체 ‘커트오프사이드’는 25일(한국시간) 뉴캐슬 유나이티드가 김민재에게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뉴캐슬은 이번 여름 많은 돈을 투자할 계획이며, 특히 중앙 수비수 보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뉴캐슬은 2024년 여름 이적 시장에서 마크 게히(크리스탈 팰리스) 영입을 실패한 이후, 스쿼드 강화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뉴캐슬은 2024년 UEFA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이적 시장에서 더 많은 선수들을 영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뉴캐슬의 목표는 앞으로도 팀을 강화하며 더 나은 성적을 거두는 것이다. 또한 전 스카우트 믹 브라운은 “에디 하우 감독이 여전히 수비 라인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고 있으며, 김민재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라고 언급하며 김민재의 영입을 강력히 추천했다.

 

김민재의 이적설은 최근 더욱 뜨거워지고 있다. 독일의 스포츠 전문 매체 ‘플로리안 플라텐버그’ 기자는 김민재가 바이에른 뮌헨에서 절대적인 핵심 선수로 간주되지 않고 있으며, 여름 이적 시장에서 구단이 제안을 받으면 이를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바이에른 뮌헨은 김민재를 적극적으로 매각하려는 계획은 없지만, 이적 시장에서 들어오는 제안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풋 메르카토’와 ‘가제타 델로 스포르트’ 등 여러 매체들은 김민재의 여름 이적 가능성을 보도하며, 첼시와 뉴캐슬을 포함한 프리미어리그 팀들이 그의 에이전트와 잠재적 이적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김민재는 2028년까지 바이에른 뮌헨과 계약이 되어 있지만, 새로운 리그로 이적을 선호한다고 전해졌다. 이탈리아의 유벤투스도 김민재 영입에 관심을 표명했다고 전했다.

 

김민재는 바이에른 뮌헨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안정적인 수비력과 빌드업 능력으로 팀의 경기 운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부상이 악화되면서 경기에 출전하며 실수가 잦아졌고, 그로 인해 비판도 받았다. 막스 에베 바이에른 뮌헨 단장은 김민재의 실수에 대해 비판하며, 실점 상황에 대한 책임을 물었다. 김민재는 발목 통증과 아킬레스건 염증을 안고 경기를 소화해왔지만, 그는 “벤치에 앉아 있는 것보다 차라리 뛰는 게 낫다”라고 말하며 팀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임을 강조했다.

 

김민재는 전 세계에서 최고의 센터백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FIFA 산하 국제스포츠연구소(CIES)에서 100점 만점에 91.1점을 받았다. 이는 올해 최고의 경기력을 보인 센터백으로 선정된 것이며, 전 세계 센터백 중 최고 점수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부상으로 인해 실수가 잦아졌고, 그로 인해 김민재의 미래에 대한 논의는 더욱 뜨겁다.

 

바이에른 뮌헨은 김민재를 원하고 있지만, 그를 원하는 구단이 있다면 적절한 금액을 받고 그를 떠나보낼 가능성도 있다. 김민재의 이적료가 경쟁을 불러일으킬 경우, 바이에른 뮌헨은 매각을 통해 현금을 확보할 계획이지만, 김민재가 바이에른 뮌헨을 떠난다면 그를 대체할 새로운 수비수를 찾아야 할 것이다. 프리미어리그와 이탈리아 세리에 A 등 여러 팀들이 김민재의 영입을 원하고 있으며, 그의 미래는 이적 시장에서 중요한 화두가 될 것으로 보인다.

 

대선주조, 부산에서마저 왕좌 빼앗겨...하이트진로의 '소주 전국 석권' 완성

 지역 소주업계가 대기업의 강력한 마케팅 공세에 몰려 생존 위기에 직면했다. 올해 상반기, 지역 소주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졌던 부산마저 함락되면서 전국 어디에서도 지역 소주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곳이 없어졌다.주류업계에 따르면 부산 지역 소주인 대선주조의 올해 1~6월 부산 시장 점유율은 30%에 그쳤다. 반면 전국구 소주 하이트진로는 38%를 기록하며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지난해만 해도 대선주조가 40%, 하이트진로가 35%로 지역 소주가 우위를 점했던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대선주조가 부산에서 1위 자리를 내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2000년대 후반 푸르밀이 대선주조를 인수한 후 외국계 사모펀드에 매각한 사실이 알려지며 지역 민심을 잃었고, 경남 기반의 무학 '좋은데이'에 시장을 내준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17년 '대선' 소주를 재출시하며 돌풍을 일으킨 이후 줄곧 지역 1위를 지켜왔다.부산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국 각지의 지역 소주 중 유일하게 대기업에 점유율 1위를 내주지 않은 마지막 보루였다. 제주 한라산, 경남 좋은데이, 전남 보해양조, 대구·경북 금복주, 대전·충남 선양 등은 이미 하이트진로에 1위 자리를 내준 상태였다.현재 국내 소주시장은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 두 대기업이 시장 점유율 약 80%를 장악하고 있으며, 유흥 시장까지 포함하면 90%에 육박한다. 특히 하이트진로는 이제 전국 모든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이들 대기업이 저도주와 고급 증류식 소주 등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추세여서 '1강 1중 다약' 체제가 고착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지역 소주의 위기는 젊은 층들이 지역 소주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는 소비 트렌드 변화와 대기업들의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공격적 마케팅 때문이다. 지난해 하이트진로는 1840억 원, 롯데칠성음료는 1265억 원의 광고비를 집행했다. 이는 대선주조의 지난해 매출액 519억 원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마케팅과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주류 시장에서 지역 소주업체들은 재정적 한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무학소주는 2023년 64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496억 원으로 100억 원 이상 감소했다. 제주 한라산은 지난해 11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대부분의 지역 소주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주류업계 관계자는 "소주 소비는 브랜드와 이미지가 중요해 마케팅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 지역 소주들의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마케팅 비용 부담이 더욱 커졌다. 지역 소주의 위기는 장기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한편, 대선주조는 부산 지역 시장 점유율 1위 탈환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홍성 대표는 "최근 대표 제품인 대선, C1 소주를 리뉴얼하고 젊은 층 입맛 공략에 나서고 있다"며 "지역 사회와 호흡하며 대선주조의 가치를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 다시 부산 지역 시장 점유율 1위를 되찾겠다"는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