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모아

이재명 41% 독주..'홍·김·한·안' 누가 와도 밀린다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가 처음으로 40%를 넘는 지지율을 기록하며 선두를 굳혔다. 엠브레인퍼블릭, 케이스탯리서치, 코리아리서치, 한국리서치 등 4개 여론조사기관이 공동으로 실시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지난 4월 21일부터 2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5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조사에서 이 후보를 차기 대통령으로 적합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1%에 달했다. 이는 해당 조사가 차기 대통령 적합도 항목을 포함한 올해 1월 이후 처음으로 이 후보가 40%를 돌파한 수치다.

 

이재명 후보에 이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홍준표 후보가 각각 10%를 기록했고, 한동훈 후보는 8%, 안철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각각 3%였다. 특히 김문수와 홍준표 후보는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지지율을 보였으나 각각 2%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동훈 후보 역시 2%포인트 오른 지지율을 기록했다. 반면, 적합한 후보가 없다는 응답과 모름·무응답을 합한 비율은 18%로 집계됐다.

 

정당 지지도에서는 민주당이 38%, 국민의힘이 35%로 나타났으며, 이는 오차범위 내 접전이다. 민주당 지지도는 지난주보다 1%포인트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5%포인트 상승해 주목된다. 민주당 지지층(n=385) 중 이재명 후보가 적합하다는 응답은 87%로 절대적인 지지를 얻고 있으며, 국민의힘 지지층(n=347)에서는 김문수(28%), 홍준표(24%), 한동훈(21%) 후보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50%로, ‘정권 재창출’ 응답 39%보다 11%포인트 높았다. 하지만 전주에 비해 정권 교체 응답은 4%포인트 줄었고, 재창출 응답은 6%포인트 늘어 격차가 좁혀지는 흐름을 보였다. 또한 적극적으로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82%에 달했으며, 가능하면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12%, 투표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5%였다.

 

가상 3자 대결 구도에서도 이재명 후보는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했다. 이재명-김문수-이준석 구도에서는 각각 46%-25%-9%의 지지율이 나왔고, 이재명-홍준표-이준석(45%-26%-9%), 이재명-한동훈-이준석(45%-21%-8%), 이재명-안철수-이준석(45%-17%-8%) 구도 모두에서 이 후보는 상대를 큰 격차로 앞섰다. 이 같은 양상은 지난주 조사와 큰 차이 없이 유지되고 있으며, 민주당 경선에서 이 후보의 독주가 이어지고 있는 분위기를 반영한다.

 

 

 

한편, 국민의힘 경선 후보 간 경쟁은 여전히 혼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안철수 후보 중 누가 가장 적합한 후보인지 묻는 조사에서 홍준표 후보가 14%로 가장 높았고, 한동훈(13%), 김문수(11%), 안철수(8%) 순이었다. 다만, 응답자의 49%가 특정 후보를 선택하지 않아 여전히 태도 유보층이 절반에 달하고 있다. 특히 국민의힘 지지층 내에서는 김문수(28%), 홍준표(26%), 한동훈(22%), 안철수(3%)로 응답이 고르게 분산돼 있다.

 

이 같은 접전 양상 속에서 홍준표와 한동훈 후보는 기존 입장을 바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단일화 가능성을 언급해 주목을 끌었다. 홍 후보는 페이스북을 통해 “한 권한대행이 출마한다면 제가 후보가 되더라도 반이재명 단일화 협상에 열려 있다”고 밝혔고, 한동훈 후보도 “경선 압승 후 본선 승리를 위해 모든 사람과 함께할 것”이라며 단일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덕수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설이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가운데, 국민의힘 내 친윤석열 진영의 ‘한덕수 차출론’에 대해 일부 후보들이 유연한 입장을 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는 현재까지 뚜렷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야권의 복잡한 내부 구도를 반영한 행보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이용한 전화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20.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하 세계탁구 복식, 복식은 신나고 단식은 조마조마!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2025 세계탁구선수권대회에서 한국 국가대표팀이 희비가 엇갈리는 초반 성적을 보인다. 특히 복식 종목에서는 연일 승전고를 울리며 순항하지만, 단식에서는 아쉬운 탈락 소식도 들려온다.대회 이틀째인 18일에도 한국 복식조들의 활약이 눈부셨다. 전날 여자복식 이은혜-김나영 조의 쾌승에 이어, 이날 출전한 모든 복식조가 승리를 거두며 '복식 전승'의 위업을 달성했다.파리 올림픽 동메달 콤비인 임종훈-신유빈 조는 혼합복식 64강에서 홍콩 조를 상대로 게임스코어 3-1(11-7 4-11 11-5 11-7) 승리를 거두며 '복식 전승' 행진의 포문을 열었다. 3게임부터 상대를 맹공하며 승기를 잡았고, 4게임 초반 4연속 득점으로 일찌감치 승부를 결정지었다.남자 복식에서는 두 조 모두 쾌조의 출발을 보였다. 장우진-조대성 조는 영국 조를 3-0(11-8 11-7 11-6)으로 완파하며 가볍게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장우진과 조대성 모두 이전 세계선수권에서 복식 메달 경험이 있어 이번 대회에서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임종훈-안재현 조 역시 호주 조를 상대로 한 세트도 내주지 않고 3-0(11-7 11-9 11-9) 승리를 따내며 시상대를 향한 발걸음을 재촉했다.여자 복식에서도 신유빈-유한나 조가 알제리 조를 상대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3-0(11-3 11-2 11-5) 완승을 거뒀다. 전지희의 태극마크 반납 후 신유빈의 새 파트너로 나선 유한나는 첫 세계선수권 복식 경기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특히 이 경기는 단 11분 만에 끝나며 한국 여자 복식의 저력을 보여줬다.오준성-김나영 조도 혼합복식에서 뉴질랜드 조를 상대로 3-0(11-5 11-4 11-6) 승리를 추가하며 복식 전 종목에서 한국팀의 강세를 이어갔다.이로써 한국 탁구 대표팀은 대회 초반 복식 종목에서 전승을 기록하며 메달 전망을 밝혔다.반면, 단식에서는 명암이 갈렸다. 시작부터 이변이 속출하며 몇몇 선수가 일찍 짐을 쌌다.여자 단식 128강에서는 이은혜가 프랑스 선수에게 게임스코어 2-4(11-7 11-8 9-11 8-11 10-12 8-11)로 아쉽게 역전패하며 발걸음을 멈췄다.남자 단식에서는 임종훈이 128강에서 일본의 강호 하리모토 도모카즈와의 맞대결서 1-4(7-11 6-11 1-11 16-14 3-11)로 패해 다음 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세계선수권 개인전 첫 출전인 김나영 역시 대만 선수와 풀세트 접전 끝 게임스코어 3-4(7-11 11-4 10-12 11-9 11-9 7-11 7-11)로 분패하며 아쉬움을 삼켰다.다행히 막내 박가현은 여자 단식 128강에서 싱가포르 선수를 4-2(11-8 11-7 12-14 11-13 11-7 11-6)로 꺾고 128강을 통과하며 분위기를 반전시켰고, 장우진은 '라켓 교체'라는 변수 속에서도 칠레 선수와의 접전 끝에 4-3(11-4 11-8 11-13 6-11 10-12 11-3 11-8) 승리하며 험난한 첫 관문을 넘었다.복식에서의 압도적인 성적과 달리 단식에서는 초반부터 쉽지 않은 경기를 치르는 한국 대표팀이 남은 경기에서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