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아파트, 아파트!" 콜드플레이X로제 컬래버에 30만 관중 하나 됐다

 세계적인 팝밴드 콜드플레이의 서울 공연에 그룹 블랙핑크 멤버 로제가 예고 없이 등장하며 수만 관중을 열광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특히 한국 가요 '아파트'를 함께 부르며 한국 팬들에게 잊지 못할 감동을 선사했다.

 

지난 22일 경기도 고양시 고양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을 가득 메운 관객들 앞에서 콜드플레이 보컬 크리스 마틴은 피아노 앞에 앉아 익숙한 멜로디를 연주하기 시작했다. 바로 한국 가요 '아파트'의 전주였다. 그는 서툰 한국어로 "아파트, 아파트"를 흥얼거리며 관객들에게 유쾌한 웃음을 안겼다.

 

하지만 이내 분위기는 반전됐다. 밴드의 본격적인 연주와 함께 금발의 로제가 무대 중앙으로 걸어 나오자, 장내는 폭발적인 함성으로 가득 찼다. 로제는 콜드플레이 멤버들과 함께 넓은 무대를 누비며 열정적인 퍼포먼스를 펼쳤다. 크리스 마틴과 완벽한 화음을 만들어내며 '아파트'를 열창했고, 객석에서는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 "아파트 아파트"를 외치는 대규모 떼창이 터져 나오며 장관을 이뤘다. 수만 명의 목소리가 하나 되어 울려 퍼지는 순간은 현장에 있던 모든 이들에게 전율을 선사했다.

 

뜨거운 열기에 크리스 마틴은 "너무 신난다. 한번 더 하자"며 로제에게 다시 한번 '아파트' 무대를 제안했다. 이에 관객들은 더욱 뜨거운 함성으로 화답하며 두 번째 떼창을 이어갔다. 로제와 콜드플레이는 모두 세계적인 음반사 워너뮤직 산하의 애틀랜틱 레코드 소속 아티스트로, 이전부터 음악적 교류를 이어왔다. 특히 로제가 콜드플레이의 명곡 'Viva La Vida'를 재해석한 커버 영상은 크리스 마틴의 극찬을 받았으며, 이 곡은 애플TV+ 오리지널 시리즈 '파친코' 시즌2의 엔딩곡으로 삽입되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번 로제의 깜짝 등장은 그녀의 남다른 '의리'를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불과 전날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세계적인 음악 축제 코첼라 페스티벌에서 블랙핑크 멤버 제니와 리사를 응원하는 모습이 포착되었던 로제가 하루 만에 태평양을 건너 한국으로 돌아와 콜드플레이 무대에 기꺼이 오른 것이다. 이날 공연장 객석에서는 로제의 YG 선배인 지드래곤(GD, 권지용)을 비롯해 코드 쿤스트, 배우 정해인 등 유명 인사들이 이 특별한 컬래버레이션 무대를 직접 관람하는 모습이 포착되어 눈길을 끌었다.

 

또한 공연 중 크리스 마틴이 빅뱅 태양의 유행어인 "여러분, 너무 보고 싶었어요"를 한국어로 외치며 객석의 폭소를 자아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태양 역시 이날 공연장에 직접 와 있었다는 점이다. 태양은 자신의 SNS에 공연 영상을 공유하며 "Hey Coldplay.. 나도 보고 싶었어"라고 재치 있게 화답해 팬들에게 즐거움을 안겼다.

 

한편 콜드플레이의 이번 두 번째 내한 공연 '라이브 네이션 프레젠트 콜드플레이 : 뮤직 오브 더 스피어스 딜리버드 바이 디에이치엘'은 지난 16일을 시작으로 18일, 19일, 22일에 이어 24일과 25일까지 총 6회에 걸쳐 고양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진행된다. 이는 해외 아티스트의 단일 공연장 단독 공연으로는 역대 최대, 최다 규모이며, 총 30만 명에 달하는 관객과 만나는 대기록을 세우고 있다. 로제의 깜짝 게스트 출연은 콜드플레이의 역사적인 내한 공연에 또 하나의 하이라이트를 장식하며, 음악으로 하나 되는 감동적인 순간을 선사했다.

 

SK그룹의 '자식 구하기' 혈투... 이번엔 SK에코플랜트에 4,800억 '수혈'

 SK그룹이 또 한 번의 대규모 사업 재편을 단행했다. 이번에는 SK에코플랜트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수혈 작전'이 핵심이다. SK㈜는 13일, 전날 이사회에서 SK머티리얼즈 산하 반도체 소재 자회사 4곳을 SK에코플랜트로 편입하는 사업구조개편안을 의결했다고 발표했다.이번 결정으로 SK트리켐(지분 65%), SK레조낙(51%),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51%)는 SK㈜의 현물 출자 방식으로,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100%)는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SK에코플랜트 산하로 들어가게 된다. 이를 통해 약 4,800억 원 규모의 자본이 SK에코플랜트에 투입되는 효과가 발생한다.편입되는 4개 회사는 모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과 밀접한 소재 기업들이다. SK트리켐은 반도체 제조용 전구체, SK레조낙은 식각 가스,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는 OLED 소재,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는 반도체 포토 소재를 생산하는 전문 기업들이다. SK㈜ 측은 "SK에코플랜트가 기존 반도체 EPC 사업과 리사이클링 사업에 소재 분야까지 더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는 성장 스토리를 구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재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SK에코플랜트의 IPO를 위한 '생존 전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SK에코플랜트는 2022년 프리 IPO로 1조 원의 자금을 유치하면서 2026년까지 상장을 약속했다. 만약 이 기한을 지키지 못할 경우, 수천억 원의 위약금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SK에코플랜트의 독자 상장이 어렵다고 판단한 SK그룹이 '고육지책'으로 우량 자회사들을 떼어내 SK에코플랜트에 붙이는 형태의 구조조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사실 이는 처음이 아니다. SK㈜는 지난해에도 반도체 가공·유통사 에센코어와 산업용 가스 제조업체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를 SK에코플랜트에 편입시켜 재무 건전성을 보강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이번에는 SK C&C가 보유한 30MW 규모의 판교 데이터센터를 SK브로드밴드에 약 5,000억 원에 매각하는 결정도 내렸다.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주도로 진행되는 이러한 일련의 리밸런싱은 지난해 SK이노베이션과 SK E&S 합병에 이은 두 번째 대규모 사업재편이다. 당시 합병은 전기차 배터리 사업 부진으로 고전하는 SK온을 살리기 위한 조치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SK온은 지난해 3분기에 11분기 만에 흑자를 기록했으나 곧바로 4분기와 올해 1분기에 다시 각각 3,594억 원, 2,993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다.SK그룹은 이처럼 그룹 내 주요 자회사들의 생존과 성장을 위해 과감한 구조조정을 이어가고 있다. SK㈜ 관계자는 "중복 사업은 과감하게 통합하고 시너지를 도출해 자회사 지분 가치를 끌어올림으로써 지주사의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자회사 성장을 주도하고 재무건전성을 강화하는 지주사 본연의 역할을 적극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