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난자 냉동' 고백 여배우, 동성 연인과 백년가약 맺었다!

 영화 '트와일라잇' 시리즈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할리우드 배우 크리스틴 스튜어트가 오랜 동성 연인인 시나리오 작가 딜런 메이어와 결혼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21일(현지시간) 미국 연예매체 TMZ는 스튜어트와 가까운 지인들을 인용해 그가 딜런 메이어와 20일 LA 자택에서 소규모 결혼식을 올렸다고 전했다.

 

스튜어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결혼식 현장 사진 여러 장을 공개하며 팬들에게 직접 결혼 소식을 알렸다. 사진에는 스튜어트와 메이어가 반지를 주고받거나 서로를 안고 행복해하는 모습 등이 담겼다.

 

TMZ에 따르면 이들은 결혼식에 앞서 지난 15일 LA 카운티에서 혼인 증명서를 발급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에서는 연방대법원이 2015년 6월 동성결혼 합헌 판결을 내린 이후 전국적으로 동성결혼이 합법화됐다.

 

스튜어트와 메이어는 2019년 공개적으로 교제를 시작했으며, 2021년 11월 약혼했다. 약 6년간 사랑을 키워온 끝에 부부가 됐다.

 


스튜어트는 지난해 롤링스톤지와의 인터뷰에서 메이어와 함께 아이를 갖는 것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우리 가족이 다른 사람들 눈엔 어떻게 보일지 모르지만, 아이를 갖는 게 내 꿈"이라며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으면 좋겠다"고 솔직한 심경을 드러냈다.

 

같은 해 출연한 한 팟캐스트에서는 난자 냉동 사실을 공개하며 "메이어와 나는 난자를 얼리는 등 정말 짜증 나는 일들을 해왔다"며 "우리가 원한다면 (임신을) 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스튜어트는 2008년 영화 '트와일라잇' 시리즈의 주인공으로 발탁되며 세계적인 스타덤에 올랐다. 당시 영화 속 상대역이었던 배우 로버트 패틴슨과 실제 연인 사이로 발전하며 큰 관심을 받기도 했으나 이후 결별했다.

 

그는 2017년 방송에서 양성애자임을 커밍아웃한 이후 성소수자(LGBTQ+) 권익 보호 활동에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왔다. 지난해 개봉한 동성애 로맨스 스릴러 영화 '러브 라이즈 블리딩'에서는 주연을 맡아 강렬한 연기를 선보였다.

 

오랜 연인과 가정을 꾸린 크리스틴 스튜어트에게 팬들의 축하가 이어지고 있다.

 

대선주조, 부산에서마저 왕좌 빼앗겨...하이트진로의 '소주 전국 석권' 완성

 지역 소주업계가 대기업의 강력한 마케팅 공세에 몰려 생존 위기에 직면했다. 올해 상반기, 지역 소주의 마지막 보루로 여겨졌던 부산마저 함락되면서 전국 어디에서도 지역 소주가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곳이 없어졌다.주류업계에 따르면 부산 지역 소주인 대선주조의 올해 1~6월 부산 시장 점유율은 30%에 그쳤다. 반면 전국구 소주 하이트진로는 38%를 기록하며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지난해만 해도 대선주조가 40%, 하이트진로가 35%로 지역 소주가 우위를 점했던 상황이 역전된 것이다.대선주조가 부산에서 1위 자리를 내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2000년대 후반 푸르밀이 대선주조를 인수한 후 외국계 사모펀드에 매각한 사실이 알려지며 지역 민심을 잃었고, 경남 기반의 무학 '좋은데이'에 시장을 내준 적이 있었다. 그러나 2017년 '대선' 소주를 재출시하며 돌풍을 일으킨 이후 줄곧 지역 1위를 지켜왔다.부산은 지난해까지만 해도 전국 각지의 지역 소주 중 유일하게 대기업에 점유율 1위를 내주지 않은 마지막 보루였다. 제주 한라산, 경남 좋은데이, 전남 보해양조, 대구·경북 금복주, 대전·충남 선양 등은 이미 하이트진로에 1위 자리를 내준 상태였다.현재 국내 소주시장은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 두 대기업이 시장 점유율 약 80%를 장악하고 있으며, 유흥 시장까지 포함하면 90%에 육박한다. 특히 하이트진로는 이제 전국 모든 지역에서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이들 대기업이 저도주와 고급 증류식 소주 등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는 추세여서 '1강 1중 다약' 체제가 고착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지역 소주의 위기는 젊은 층들이 지역 소주를 특별히 선호하지 않는 소비 트렌드 변화와 대기업들의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공격적 마케팅 때문이다. 지난해 하이트진로는 1840억 원, 롯데칠성음료는 1265억 원의 광고비를 집행했다. 이는 대선주조의 지난해 매출액 519억 원을 크게 웃도는 규모다.마케팅과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한 주류 시장에서 지역 소주업체들은 재정적 한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무학소주는 2023년 640억 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496억 원으로 100억 원 이상 감소했다. 제주 한라산은 지난해 11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으며, 대부분의 지역 소주들이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주류업계 관계자는 "소주 소비는 브랜드와 이미지가 중요해 마케팅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데, 지역 소주들의 경영이 어려워지면서 마케팅 비용 부담이 더욱 커졌다. 지역 소주의 위기는 장기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한편, 대선주조는 부산 지역 시장 점유율 1위 탈환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홍성 대표는 "최근 대표 제품인 대선, C1 소주를 리뉴얼하고 젊은 층 입맛 공략에 나서고 있다"며 "지역 사회와 호흡하며 대선주조의 가치를 시민들에게 널리 알려 다시 부산 지역 시장 점유율 1위를 되찾겠다"는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