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내 동료들 최고다! 손흥민, 토트넘 유로파 4강 진출에 '엄지 척'

 손흥민이 부상으로 독일 원정에 동행하지 못했지만, 토트넘 홋스퍼는 그의 응원 속에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꺾고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4강 진출에 성공했다.

 

토트넘은 18일(한국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도이체 방크 파르크에서 열린 프랑크푸르트와의 대회 8강 2차전에서 도미닉 솔란키의 페널티킥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홈에서 치른 1차전을 1-1로 비겼던 토트넘은 원정에서 귀중한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 진출 티켓을 거머쥐었다.

 

경기 초반부터 양 팀은 치열하게 맞붙었다. 토트넘은 마티스 텔의 적극적인 슈팅으로 분위기를 끌어올리기 시작했고, 전반 25분 텔의 중거리 슈팅은 프랑크푸르트 골키퍼를 긴장하게 만들었다.

 

선제골은 전반 37분, 토트넘의 제임스 매디슨이 만들어냈다. 매디슨은 후방에서 길게 넘어온 볼에 맞춰 문전으로 쇄도했고, 프랑크푸르트 골키퍼 카우앙 산투스와 충돌했다. 주심은 비디오 판독(VAR) 결과 산투스 골키퍼의 파울을 확인하고 페널티킥을 선언했다. 키커로 나선 솔란키는 침착하게 골을 성공시키며 토트넘에 리드를 안겼다.

 

후반전, 토트넘은 프랑크푸르트의 거센 공세에 맞서 수비에 집중했다. 엔제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파페 사르와 케빈 단소를 투입하며 수비를 강화했고, 평소 공격적인 전술을 선호하던 그였지만 이날은 텔과 존슨, 두 명의 윙어를 모두 수비수로 교체하며 수비에 무게를 실었다.

 

프랑크푸르트는 라스무스 크리스텐센을 중심으로 공격을 퍼부었지만, 마무리가 아쉬웠다. 크리스텐센은 후반 막바지 세 차례의 결정적인 기회를 놓치며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결국 토트넘은 1-0 승리를 지켜내며 유로파리그 4강 진출이라는 값진 결과를 얻었다.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자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코칭스태프와 기쁨을 나누었고, 선수들은 원정팬들과 함께 승리의 기쁨을 만끽했다.

 

같은 시간, 손흥민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동료들의 승리 사진을 올리며 "너네가 너무 자랑스럽다. 잘했다. 계속 나아가자"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비록 부상으로 독일에 함께하지 못했지만, 실시간으로 경기를 확인하며 동료들을 응원했다.

 

손흥민은 프랑크푸르트 원정을 앞두고 팀 훈련에 복귀했지만, 실전을 소화하기에는 무리였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경기 전 "손흥민은 2차전에 출전하지 않는다. 몇 주 동안 발 문제로 고생했지만, 경기를 뛰기 위해 잘 견뎌냈다. 지난 며칠 동안 훈련했지만 잘되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그가 회복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회복 방법을 찾을 수 있게 집에 머물도록 했다"고 밝혔다.

 

손흥민의 정확한 부상 정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토트넘 구단은 "손흥민이 유로파리그 경기에 맞춰 돌아올 것이라는 희망도 있었지만, 그는 여전히 2차전을 뛰기에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라고 전했다.

 

손흥민 없는 토트넘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선수들은 그의 빈자리를 훌륭하게 채웠다. 4강에 진출하며 우승 가능성을 높인 토트넘은 이제 노르웨이의 보되글림트와 결승 진출을 놓고 격돌한다. 손흥민의 빠른 복귀와 함께 토트넘이 유로파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릴 수 있을지 팬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박지원 폭탄 발언 "北 김주애는 가짜, 진짜 후계자는 서방 유학 중인 아들"

 최근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에 모습을 드러내며 또다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딸 김주애. 국내외 언론이 앞다투어 그녀의 후계자 가능성을 비중 있게 다루는 가운데, 문재인 정부 시절 대한민국 정보기관의 수장이었던 박지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 모든 흐름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파격적인 주장을 내놓아 파문이 일고 있다.박 의원은 8일 YTN라디오 '김영수의 더 인터뷰'에 출연하여, 서방 세계와 국내에서 기정사실처럼 번지는 '김주애 후계자설'에 대해 "저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고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핵심 근거로 북한 사회의 뿌리 깊은 가부장적 체제를 지목했다. "사회주의 국가, 특히 봉건적 잔재가 강한 사회에서 딸이, 여성이 후계자나 국가 원수가 된 전례가 없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그렇다면 왜 김정은 위원장은 이토록 자주 김주애를 공개 석상에 대동하는 것일까? 박 의원은 여기서 더욱 충격적인 가설을 제시했다. 바로 김주애가 진짜 후계자를 숨기기 위한 '연막'이자 '위장술'이라는 것이다. 그는 "제가 볼 때는 (김정은의) 아들은 지금 서방 세계 어딘가에서 유학을 하고 있을 것"이라며, "이것을 은폐하기 위해 김주애를 내세우고 있다"고 주장했다. 과거 김정은 위원장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역시 김주애와 비슷한 나이에 스위스에서 비밀리에 유학했지만 그 누구도 알지 못했던 전례를 상기시키며, 북한 최고지도부의 후계자 양성 방식이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음을 강조했다.박 의원은 김주애가 이번 중국 방문에서 보여준 행보 역시 후계자가 아님을 방증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김주애가 중국까지 온 건 사실이지만, 열병식이나 만찬 등 공식 행사에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는 그녀에게 공식적인 직책이 없기 때문에 중국 측의 초청 대상 자체가 아니었음을 의미하며, 후계자 수업과는 거리가 멀다는 것이다. 물론 "우리 아빠들이 딸을 예뻐하지 않나"라며 김 위원장의 부성애 자체는 인정했지만, 그것이 정치적 후계 구도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명확히 구분했다.한편, 박 의원은 이번 방중 기간 동안 김정은 위원장과 조우했던 순간의 뒷이야기도 생생하게 전했다. 그는 인민대회당 행사에서 서너 발자국 떨어진 거리에서 "김정은 위원장님, 저 박지원입니다"라고 두 번이나 불렀지만, 김 위원장이 돌아보지 않았다고 밝혔다. 경호원들의 강한 제지에 더는 다가가지 못하고 돌아섰다는 것이다. 또한 최선희 외무상을 향해서도 "상동지! 오랜만입니다!"라고 외쳤지만 역시 외면당했다고 털어놓았다.그러나 박 의원은 이 '외면'이 결코 부정적인 신호가 아니라고 역설했다. 그는 자신이 무시당한 것과 별개로, 우원식 국회의장이 7년 만에 북측 최고위급 인사인 김정은 위원장과 "반갑습니다"라며 악수를 나눈 사실 자체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제가 불렀던 것, 최선희 외무상과 눈이 마주친 것, 그리고 우 의장의 악수 이 모든 것이 상당히 좋은 신호"라며, 경색된 남북 관계에 미세한 균열을 낸 "성공적인 조우였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