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내 동료들 최고다! 손흥민, 토트넘 유로파 4강 진출에 '엄지 척'

 손흥민이 부상으로 독일 원정에 동행하지 못했지만, 토트넘 홋스퍼는 그의 응원 속에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를 꺾고 유럽축구연맹(UEFA) 유로파리그 4강 진출에 성공했다.

 

토트넘은 18일(한국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도이체 방크 파르크에서 열린 프랑크푸르트와의 대회 8강 2차전에서 도미닉 솔란키의 페널티킥 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홈에서 치른 1차전을 1-1로 비겼던 토트넘은 원정에서 귀중한 승리를 거두며 준결승 진출 티켓을 거머쥐었다.

 

경기 초반부터 양 팀은 치열하게 맞붙었다. 토트넘은 마티스 텔의 적극적인 슈팅으로 분위기를 끌어올리기 시작했고, 전반 25분 텔의 중거리 슈팅은 프랑크푸르트 골키퍼를 긴장하게 만들었다.

 

선제골은 전반 37분, 토트넘의 제임스 매디슨이 만들어냈다. 매디슨은 후방에서 길게 넘어온 볼에 맞춰 문전으로 쇄도했고, 프랑크푸르트 골키퍼 카우앙 산투스와 충돌했다. 주심은 비디오 판독(VAR) 결과 산투스 골키퍼의 파울을 확인하고 페널티킥을 선언했다. 키커로 나선 솔란키는 침착하게 골을 성공시키며 토트넘에 리드를 안겼다.

 

후반전, 토트넘은 프랑크푸르트의 거센 공세에 맞서 수비에 집중했다. 엔제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파페 사르와 케빈 단소를 투입하며 수비를 강화했고, 평소 공격적인 전술을 선호하던 그였지만 이날은 텔과 존슨, 두 명의 윙어를 모두 수비수로 교체하며 수비에 무게를 실었다.

 

프랑크푸르트는 라스무스 크리스텐센을 중심으로 공격을 퍼부었지만, 마무리가 아쉬웠다. 크리스텐센은 후반 막바지 세 차례의 결정적인 기회를 놓치며 팀의 패배를 막지 못했다. 결국 토트넘은 1-0 승리를 지켜내며 유로파리그 4강 진출이라는 값진 결과를 얻었다.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자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코칭스태프와 기쁨을 나누었고, 선수들은 원정팬들과 함께 승리의 기쁨을 만끽했다.

 

같은 시간, 손흥민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동료들의 승리 사진을 올리며 "너네가 너무 자랑스럽다. 잘했다. 계속 나아가자"라는 메시지를 남겼다. 비록 부상으로 독일에 함께하지 못했지만, 실시간으로 경기를 확인하며 동료들을 응원했다.

 

손흥민은 프랑크푸르트 원정을 앞두고 팀 훈련에 복귀했지만, 실전을 소화하기에는 무리였다. 포스테코글루 감독은 경기 전 "손흥민은 2차전에 출전하지 않는다. 몇 주 동안 발 문제로 고생했지만, 경기를 뛰기 위해 잘 견뎌냈다. 지난 며칠 동안 훈련했지만 잘되지 않았다. 그래서 우리는 그가 회복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회복 방법을 찾을 수 있게 집에 머물도록 했다"고 밝혔다.

 

손흥민의 정확한 부상 정도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토트넘 구단은 "손흥민이 유로파리그 경기에 맞춰 돌아올 것이라는 희망도 있었지만, 그는 여전히 2차전을 뛰기에는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라고 전했다.

 

손흥민 없는 토트넘에 대한 우려도 있었지만, 선수들은 그의 빈자리를 훌륭하게 채웠다. 4강에 진출하며 우승 가능성을 높인 토트넘은 이제 노르웨이의 보되글림트와 결승 진출을 놓고 격돌한다. 손흥민의 빠른 복귀와 함께 토트넘이 유로파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릴 수 있을지 팬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아시안컵 영웅→리모주 10분 교체…'차세대 최고 공격수' 김정민 아들, 이대로 토사구팽?

 일본 17세 이하(U-17) 대표팀이 유럽의 강호 포르투갈을 꺾고 국제대회 첫 승을 신고하며 환호했지만, 팀의 '차세대 에이스'로 불리는 한 선수는 웃지 못했다. 가수 김정민의 아들로 잘 알려진 다니 다이치(한국명 김도윤)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아시안컵의 영웅으로 떠올랐던 그에게 돌아온 것은 승리의 기쁨을 만끽하기엔 너무나도 짧고 굴욕적인 10분의 출전 시간이었다.일본 U-17 대표팀은 지난 3일, 프랑스 리모주에서 열린 리모주 국제대회 1차전에서 포르투갈을 1-0으로 제압하는 쾌거를 이뤘다. 강력한 우승 후보를 상대로 거둔 승리였기에 팀 전체의 사기는 하늘을 찔렀다. 그러나 일본 축구계와 팬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던 공격수 다니 다이치에게 이날 경기는 씁쓸함만을 남겼다.그는 팀이 1-0으로 앞서던 후반 35분, 결승골의 주인공 세오 료타와 교체되어 그라운드를 밟았다. 남은 시간은 단 10분. 경기 막판 굳히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공격수로서 무언가를 보여주기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었다. 결국 그는 별다른 활약 없이 경기가 끝나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불과 몇 달 전만 해도 분위기는 완전히 달랐다. 다니는 2025 AFC U-17 아시안컵에서 일본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호주와의 조별리그 3차전에서 교체 투입되어 쐐기골을 터뜨렸고, 사우디아라비아와의 8강전에서는 선발로 나서 도움을 기록하며 팀의 4강행을 이끌었다. 당시 일본 매체 '게키사카'는 "한국에서 태어나 자란 다니에게 일본 유니폼은 특별한 의미"라며 "'죽을 각오'라는 말을 반복할 정도로 투지가 넘쳤고, 결과로 증명했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팬들의 반응은 더욱 뜨거웠다. 야후 재팬 등에서는 "다니 다이치는 강심장의 소유자", "이 세대 최고의 공격수는 단연 다니 다이치다", "왜 그를 선발로 쓰지 않는지 감독의 설명을 듣고 싶다"며 그의 잠재력에 열광적인 지지를 보냈다. 준수한 신체조건과 넓은 시야, 탁월한 공간 이해도를 갖춘 그가 일본 축구의 미래를 이끌 재목이라는 데 이견이 없었다.하지만 영광은 과거의 일이 되어버린 듯하다. 유럽 강팀들과의 경쟁을 통해 한 단계 더 성장해야 할 중요한 시기에, 정작 다니는 가장 중요한 무대에서 철저히 외면받고 있다. 이번 대회는 이틀 간격으로 경기가 치러져 로테이션이 불가피하다. 그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체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2차전에는 선발 출전이 예상되지만, 진짜 실력을 검증받아야 할 프랑스와의 최종전에서는 다시 벤치를 지킬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이는 단순히 한 경기의 문제가 아니다. 아시아 무대를 평정한 유망주가 더 큰 무대인 유럽 강팀을 상대로는 기회조차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반복된다면, 선수 개인의 성장과 팀의 미래 모두에 결코 긍정적일 수 없다. 일본은 이겼지만, 그들의 '미래'는 벤치에 앉아 있었다. 다니 다이치의 시련은 이제 막 시작된 것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