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모아

약 없이 혈압 내리는 꿀팁 공개

 고혈압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해 감자, 고구마, 바나나와 같은 칼륨이 풍부한 식품을 식단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 연구진은 미국 생리학 저널 ‘신장 생리학(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Renal Physiology)’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칼륨이 풍부한 식단이 혈압을 유의미하게 낮출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 효과는 나트륨, 즉 소금 섭취량이 높은 상황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활용해 칼륨과 나트륨의 섭취량 변화에 따른 혈압 조절 반응을 분석했다. 그 결과, 칼륨 섭취량을 두 배로 늘렸을 때 남성의 혈압은 최대 14㎜Hg, 여성은 10㎜Hg까지 낮아지는 효과를 보였다. 이는 일반적인 고혈압 치료제들이 목표로 삼는 혈압 강하 효과와 비슷한 수준이다. 현재 고혈압의 정상 범주는 수축기 혈압이 120㎜Hg 미만, 이완기 혈압이 80㎜Hg 미만일 때이며, 140/90㎜Hg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된다.

 

이번 연구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짠 음식을 먹더라도 칼륨 섭취를 충분히 할 경우 소금의 부정적 영향을 상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짭짤한 피자나 감자 칩을 즐기더라도 감자, 고구마, 바나나처럼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함께 섭취하면 나트륨으로 인한 혈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셈이다. 연구진은 칼륨 섭취가 소변을 통해 나트륨의 배출을 증가시키는 데 관여하며, 결과적으로 혈관 내 체액량이 줄어들어 혈압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이 아닌 컴퓨터 기반 수학 모델을 활용해 진행됐다. 해당 모델은 신장, 심장, 신경계, 호르몬 시스템 등 인체 내 다양한 기관과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모사했다.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 전까지는 남성보다 혈압이 낮은 경향이 있는데, 연구진은 그 원인이 여성의 신장이 나트륨을 처리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칼륨은 단기적으로는 장에서 신호를 보내 신장을 자극함으로써 소변을 통한 나트륨과 칼륨 배출을 증가시킨다. 장기적으로는 신장이 나트륨을 재흡수하는 비율을 줄여 혈중 나트륨 농도를 낮추고, 이로 인해 체내 체액량이 줄면서 혈압이 감소한다. 이 과정은 칼륨이 고나트륨 식단의 부작용을 상쇄하는 생리학적 메커니즘을 설명해준다.

 

연구진은 단순히 나트륨 섭취량만을 줄이는 것보다 칼륨과 나트륨의 비율을 균형 있게 조절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인류의 초기 식단은 채소와 과일 위주의 고칼륨·저나트륨 식단이었고, 인체 역시 그런 식단에 적응해 진화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반면, 현대의 서구식 식단은 고나트륨·저칼륨 구조를 띠고 있어 고혈압 유병률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고혈압은 이미 주요한 건강 문제다. 대한고혈압학회에 따르면 국내 20세 이상 성인의 28%, 30세 이상 성인의 33%가 고혈압 환자로 추정된다. 이는 약 1230만 명에 달하는 수치다. 전 세계적으로는 12억 8000만 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식생활 변화와 고령화로 인해 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혈압은 뇌졸중, 심장병, 신장 질환, 망막 손상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침묵의 살인자’라 불린다.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어 방치되기 쉽고, 조기 진단과 예방이 특히 중요하다.

 

칼륨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감자, 고구마, 바나나 외에도 브로콜리, 방울토마토, 시금치, 아보카도, 오렌지, 서리태, 대두, 완두콩, 아몬드 등 다양한 채소와 콩류, 견과류가 있다. 특히 감자나 서리태 같은 한국 식탁에 자주 오르는 식품들은 바나나보다도 더 많은 칼륨을 함유하고 있어 실생활에서 적용하기에 용이하다. 참치, 고등어 같은 등푸른 생선도 칼륨 섭취에 도움이 된다.

 

결국 중요한 것은 꾸준한 식단 관리다. 가공식품과 패스트푸드 중심의 식단에서 벗어나, 자연식 위주의 식생활로 전환하는 것이 고혈압 예방과 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전략이라는 점을 이번 연구는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고 있다.

 

40세 호날두, 31세 연하 모델과 결혼 선언... 그녀가 키우는 '남의 아이' 셋의 정체는?

 세계적인 축구 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40)가 약 10년간 함께해온 연인 조지나 로드리게스(31)와 마침내 약혼 소식을 알렸다. 사우디아라비아 프로축구 구단 알 나스르에서 활약 중인 호날두는 오랜 파트너였던 로드리게스와 결혼을 약속하며 새로운 인생 챕터를 열게 됐다.로드리게스는 12일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을 통해 약혼 소식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그녀는 커다란 다이아몬드 반지를 낀 자신의 왼손을 호날두로 추정되는 남성의 손 위에 얹은 사진을 게시하며 "네, 그럴게요. 이번 생에서도, 앞으로의 모든 삶에서도(Yes, I do. In this life and in a hundred more)"라는 감동적인 메시지를 남겼다. 이 글은 호날두의 청혼에 대한 그녀의 승낙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두 사람의 러브스토리는 201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레알 마드리드에서 최전성기를 누리던 호날두는 스페인 마드리드의 한 명품 매장에서 직원으로 일하던 로드리게스와 운명적인 만남을 가졌다. 이 만남은 곧 연인 관계로 발전했으며, 이듬해인 2017년부터 두 사람은 동거를 시작하며 9년째 사실혼 관계를 이어오고 있었다.로드리게스는 호날두의 다섯 자녀를 함께 키우는 헌신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흥미로운 점은 호날두의 다섯 아이 중 로드리게스가 직접 출산한 아이는 넷째와 막내 두 명뿐이라는 사실이다. 호날두는 2010년 6월, 당시 러시아 모델 이리나 샤크와 교제 중이던 시기에 다른 여성과의 사이에서 첫째 아들 크리스티아누 주니어를 얻었다. 이후 2017년 6월에는 대리모를 통해 쌍둥이 남매 에바와 마테오를 가족에 맞이했다.로드리게스는 2017년 11월 호날두와의 첫 아이이자 호날두의 넷째 아이인 딸 알라나 마르티나를 출산했다. 그리고 2022년에는 쌍둥이를 임신했으나 안타깝게도 남자아이는 출산 과정에서 사망했고, 여자아이 벨라 에스메랄다만 건강하게 태어났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진 가족이지만, 로드리게스는 모든 아이들을 자신의 아이처럼 사랑으로 양육해왔다.호날두와 로드리게스는 그동안 공개적인 자리에서 종종 함께 모습을 드러내며 견고한 파트너십을 보여왔다. 특히 로드리게스는 호날두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거쳐 유벤투스, 그리고 현재 알 나스르까지 이어지는 축구 여정에서 변함없는 지지자 역할을 해왔다.이번 약혼 소식은 호날두의 팬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 스포츠 팬들에게도 큰 화제가 되고 있다. 40세의 나이에도 여전히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고 있는 호날두가 이제 가정에서도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결혼 시기나 구체적인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된 바 없지만, 두 사람의 화려한 웨딩 세레모니에 대한 기대가 전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