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뇌섹남녀 다 모였다! 지드래곤, 카이스트에서 '힙'하게 AI 논하다

 가수 지드래곤(본명 권지용)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 강단에 올라 인공지능(AI)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한다.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은 지드래곤이 9일 오후 대전 카이스트에서 열리는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 스페셜 토크쇼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AI엔터테크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서 지드래곤은 AI 기술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가져올 혁신적인 변화와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칠 예정이다. 이승섭 카이스트 교수와 최용호 갤럭시코퍼레이션 대표가 함께 패널로 참여하여 더욱 풍성한 이야기를 나눌 것으로 기대된다.

 

지드래곤의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초빙교수 임명(지난해 6월)은 단순한 유명인 영입을 넘어선 전략적 선택이다. 이는 카이스트가 AI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선두주자인 지드래곤의 참여는 K-팝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AI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인 콘텐츠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소속사 갤럭시코퍼레이션과 카이스트 간의 K-팝 글로벌 확산 MOU 체결은 이러한 비전을 더욱 구체화한다. 양측의 협력은 AI 엔터테크 산업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지드래곤의 초빙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닌, 카이스트의 미래 지향적인 비전을 담은 중요한 전략적 결정인 것이다.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는 AI, 테크, 과학,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를 융합한 대규모 포럼으로, 지드래곤의 토크쇼 외에도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 특히, 바둑기사 이세돌이 참여하는 웨어러블 로봇 시연은 최첨단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배우 이정재의 토크쇼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를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이처럼 풍성한 구성은 참가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함께 깊이 있는 통찰력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지드래곤의 참여는 AI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융합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고, 젊은 세대에게 과학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주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카이스트와 갤럭시코퍼레이션의 협력을 통해 AI엔터테크 분야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적인 기술이 개발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지드래곤은 단순한 가수를 넘어,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작에 참여하고, 젊은 과학 인재 양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의 이번 카이스트 강연은 AI엔터테크 산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5'는 AI 기술이 우리 삶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드래곤의 참여는 이번 행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더욱 높이고, AI엔터테크 산업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이어도 소유권 부정하며 해양 영토 도발 재개

 우리 정부가 최근 중국의 서해 잠정조치수역(PMZ) 내 무단 구조물 설치에 대해 강력히 항의하자, 중국은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분쟁화하려는 의도를 드러내며 양국 간 해양 주권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3일 서울에서 열린 제3차 한중 해양협력대화에서 중국이 PMZ 내에 설치한 구조물 3기를 밖으로 이전할 것을 요구했지만, 중국은 이를 단호히 거부했다. 중국은 이어도 기지 설치도 허용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치며, 이어도가 중국의 배타적경제수역(EEZ)에 포함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어도는 한국의 마라도에서 149㎞ 떨어져 있으며, 중국 퉁다오섬보다 한국에 더 가깝다. 하지만 중국은 이어도가 양국의 EEZ가 겹치는 곳에 위치해 있으므로 EEZ 경계선을 획정할 때까지는 한국의 소유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중국은 EEZ 중간선을 단순히 그어서는 안 되고, 영토 크기를 고려해 획정해야 한다는 '형평의 원칙'을 주장하며 이어도의 소유권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정부 관계자는 "경계선 획정은 일반적으로 '등가성의 원칙'이 적용된다"며, 이어도가 한국의 EEZ 내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도는 한국의 해양과학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설로, 정부는 이를 국제법에 따라 합리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PMZ 내 구조물 설치가 이어도에 대한 향후 협상에서 전략적 카드로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며, 중국의 의도가 단순한 해양 자원 관리 이상의 정치적 목적을 포함하고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양식시설을 포함한 구조물 설치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번 추가경정예산에 맞대응 구조물 설치 예산 605억원을 신규로 편성했다. 이는 중국의 구조물 설치에 대한 비례적 대응으로, 한국의 해양 주권을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방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은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심해 어업 양식 시설인 선란 1호와 2호를 설치했고, 2022년에는 석유시추 설비 형태의 관리시설도 설치하는 등 서해 잠정조치수역에 대형 철골 구조물 총 12기를 설치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된다.이러한 상황은 한국과 중국 간 해양 경계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으며, 양국의 EEZ 경계선 획정에 대한 논의는 계속될 전망이다. 정부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제법에 따른 합리적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이는 양국 간 해양 자원 관리와 주권 문제에 대한 깊은 이해와 협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제 사회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외교적 갈등은 해양 자원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