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고 서희원 비극 이용해 '억대 수익'… 中, 전 시댁 SNS 계정 '무기한 차단'

 대만 배우 고 서희원의 안타까운 죽음이 전 남편 가족의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되면서 중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고인의 죽음을 이용해 상업적 이익을 취하고 허위 사실을 유포한 전 남편 왕샤오페이와 그의 어머니 장란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이 중국 당국에 의해 전격 차단되었다. 

 

중국 최대 SNS 플랫폼인 웨이보는 지난 8일 "서희원 사망 사건과 관련, 고인과 유가족을 존중하지 않고 대중의 감정을 상하게 했다"며 왕샤오페이와 장란의 계정을 무기한 차단한다고 밝혔다. 틱톡의 중국판인 더우인 역시 같은 이유로 이들의 계정을 무기한 정지시켰다.

 

웨이보와 더우인 측은 왕샤오페이 모자가 서희원의 유골 운반 전세기 비용을 자신들이 부담했다는 허위 사실을 퍼뜨리고, 이를 자신들의 사업 홍보 수단으로 악용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특히 장란은 서희원의 유해가 대만에 도착한 날 라이브 커머스 방송을 진행하며 해당 허위 주장을 반복적으로 언급해 "죽은 며느리를 돈벌이에 이용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장란의 이날 방송은 930만 명이 시청하고 28만 6천 명이 동시 접속하는 등 큰 인기를 끌었으며,1억 원이 넘는 수익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전 남편 가족이 슬픔에 잠긴 유족들을 외면한 채 돈벌이에만 몰두하는 모습에 중국 네티즌들은 싸늘한 시선을 보냈다.

 

논란이 커지자 장란은 "오해다. 서희원을 진심으로 아꼈다"며 해명에 나섰지만, 대중의 분노는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왕샤오페이와 친분을 과시하며 그의 사업체에서 일했던 '수양아들'까지 허위 사실 유포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번 사건은 중국 사회에 만연한 SNS 셀럽들의 도 넘은 수익 추구 행태와 '클릭 장사' 행태에 경종을 울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은  "앞으로도 유사 사례에 대해 엄중히 대처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원하게 재우려다 병 키운다?" 유아용 냉감 침구, 알고 보니 '피부 지뢰밭'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면서 아이들의 시원한 잠자리를 위한 유아용 냉감 침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소비자원의 시험 평가 결과,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과 산성도가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기초 체온이 높은 유아가 주로 사용하는 제품인 만큼, 이번 안전성 문제는 부모들의 큰 우려를 낳고 있다.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8개 브랜드의 유아용 냉감 패드·매트 11종을 대상으로 시험 평가를 진행했으며, 이 중 2개 제품이 안전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31일 밝혔다. 특히 '베베누보'의 하이퍼닉 쿨매트 제품에서는 바닥에 닿는 부위에서 내분비계 교란과 생식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노닐페놀과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 이상 검출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또한 '머미쿨쿨'의 매트 테두리 부분에서는 피부 자극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는 산성도(pH)가 기준치를 초과하여 사용 전 세탁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해당 업체들은 즉각적인 조치에 나섰다. 베베누보의 판매사인 위드앤 주식회사는 유해물질이 검출된 부적합 제품을 전량 폐기하고, 지난해 12월 20일부터 올해 4월 4일까지 판매된 제품에 대해 교환 및 환불을 진행하기로 했다. 머미쿨쿨 역시 지난해 10월 생산된 매트 중 산성도가 부적합한 제품에 대해 소비자가 이의를 제기할 경우 교환 또는 환불 계획을 밝혔다. 소비자들은 구매한 제품의 제조일자와 판매 기간을 확인하고, 해당될 경우 적극적으로 교환·환불 절차를 밟아야 한다.한편, 제품의 기능성 측면에서는 '접촉냉감'과 '쾌적성'에서 제품 간 차이가 뚜렷했다. 순간적으로 차가움을 느끼는 '접촉냉감'은 베베누보 하이퍼닉 쿨패드와 포몽드 에떼쿨매트 듀라론 냉감 등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으며, 열을 통과시키고 땀을 빠르게 흡수하는 '쾌적성'은 베베데코의 히말라야 퍼피 냉감패드와 알레르망 베이비의 리틀펫 냉감패드 등 2개 제품이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11종 모두 냉감 소재로 폴리에틸렌 100%, 충전재인 솜은 폴리에스터 100%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이번 조사 결과는 유아용품 구매 시 가격이나 디자인뿐만 아니라 안전성 및 기능성까지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일깨워준다. 특히 영유아 제품의 경우, 피부에 직접 닿고 장시간 사용되는 만큼 유해물질 검출 여부와 안전 인증 마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며, 새 제품은 반드시 세탁 후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할 것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앞으로도 유아용품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성 검증을 통해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