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송혜교X공유, 1960년대 연예계 뒤흔든다

 넷플릭스가 한국 드라마 왕가의 만남으로 기대를 모으는 새 시리즈 '천천히 강렬하게'(가제) 제작을 확정하고 초호화 캐스팅 라인업을 공개했다.

 

'천천히 강렬하게'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격동의 한국 연예계를 배경으로 꿈을 향해 질주하는 청춘들의 사랑과 우정, 성공 스토리를 그린 작품이다. '우리들의 블루스', '디어 마이 프렌즈', '괜찮아 사랑이야' 등 사람들의 삶을 따뜻하고 진솔하게 그려낸 노희경 작가와 '커피프린스 1호점', '치즈인더트랩' 등 감각적인 연출로 사랑받는 이윤정 감독의 만남만으로도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번 작품은 송혜교와 공유의 만남으로 또 한번 폭발적인 시너지를 예고한다.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에서 강렬한 연기 변신을 선보인 송혜교는 극 중 험난한 세상 속에서도 성공을 위해 뜨겁게 살아가는 '민자' 역을 맡아 또 다른 인생 캐릭터 경신을 예고한다. '그들이 사는 세상', '그 겨울, 바람이 분다'에 이어 노희경 작가와 세 번째 호흡을 맞추는 만큼 더욱 깊어진 연기 시너지에 기대감이 증폭된다.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2와 '트렁크' 출연하며 글로벌 행보를 이어가는 공유는 민자의 오랜 친구이자 음악적 동반자인 '동구' 역을 맡아 특유의 매력을 발산할 예정이다. '커피프린스 1호점' 이후 이윤정 감독과 오랜만에 재회한 공유가 선보일 새로운 얼굴에 이목이 집중된다.

 


여기에 김설현, 차승원, 이하늬까지 합류해 극의 무게감을 더한다. 김설현은 민자와 복잡하게 얽힌 '민희' 역을 맡아 한층 성숙해진 연기를 선보일 예정이며, 차승원은 최고의 작곡가 '길여' 역으로 분해 특유의 카리스마를 발산할 예정이다. 이하늬는 꿈을 향한 열정을 놓지 않는 민희의 엄마 '양자' 역을 맡아 극에 활력을 불어넣을 예정이다.

 

'천천히 강렬하게'는 믿고 보는 제작진과 배우들의 만남으로 벌써부터 2023년 최고 기대작으로 꼽히고 있다. 격동의 시대를 살아가는 청춘들의 눈부신 성장 스토리와 함께, 송혜교, 공유, 김설현, 차승원, 이하늬가 만들어낼 환상적인 연기 호흡은 전 세계 시청자들을 사로잡을 것이다.

 

역대 최저 기록한 고용시장, 청년층은 '역대급 실직 쇼크'

 2025년 1분기 임금 근로자 일자리 증가세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급락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올해 1~3월 전체 임금 근로 일자리는 2053만6000개로 작년 동기 대비 단 1만5000개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은 증가폭이다.임금 근로 일자리 증가세는 지난해 4분기에 15만3000개로 처음 10만개대로 떨어진 후, 올해 1분기에는 1만개대로 급감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임금 근로 일자리는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일자리를 가질 경우 각각 따로 집계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고용 상황은 더욱 심각할 수 있다.산업별로 보면 건설업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건설업 일자리는 15만4000개 감소하며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2023년 4분기부터 6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총 169만개로 축소됐는데, 이는 2020년 1분기의 역대 최소 수준(165만5000개)과 비슷한 수준이다.제조업 일자리는 1만2000개 감소하며 2021년 1분기 이후 4년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도소매업 일자리도 8000개 줄어들며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부동산업은 5000개 감소했으나, 2023년 2분기 이후 지속되던 6000~9000개 수준의 감소세보다는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다.정보통신업 일자리도 1만2000개 감소했는데, 통계청은 지난해 하반기 우편 및 통신, 출판업계의 구조조정과 인력개편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반면, 일부 서비스업 분야에서는 일자리가 증가했다.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10만9000개로 가장 많이 늘었고, 협회·수리·개인(2만5000개), 전문과학·기술(2만4000개), 운수·창고(2만1000개), 교육(9000개) 업종에서도 증가세를 보였다. 숙박·음식업은 5000개 늘었지만, 코로나19 영향권이던 2021년 4분기 이후 가장 적은 증가폭을 기록했다.통계청 관계자는 "지속되는 건설경기 침체와 수출 부진이 건설업·제조업 일자리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도소매업 감소는 내수 부진에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연령별로는 60대 이상에서 일자리가 19만7000개 증가하며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30대(6만4000개)와 50대(2만1000개)도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20대 이하와 40대에서는 일자리가 역대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20대 이하는 16만8000개 감소했으며, 주로 도소매, 건설업, 정보통신업에서 일자리가 줄었다. 40대는 10만개 감소했으며, 건설업, 제조업,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감소했다.전체 일자리 중 1년 전과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 일자리'는 1507만개로 전체의 73.4%를 차지했다. 퇴직·이직으로 대체된 일자리는 325만4000개(15.8%), 새로 생긴 일자리는 221만2000개(10.8%)였다. 한편, 사업 축소 등으로 사라진 일자리는 219만7000개에 달했다.내수와 수출 부진이 동시에 발생하면서 제조업과 도소매업 일자리가 감소세로 돌아선 점, 그리고 청년층과 40대의 일자리가 대폭 감소한 점은 한국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는 우려스러운 신호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