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산항 들썩! '일본 직구' 붐 일으킬 우체국 특급 작전 개시

 한국 우정사업본부는 일본과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11월 15일부터 한·일 해상특송 서비스를 도입했다. 

 

해당 서비스는 부산항과 하카타항을 잇는 주 6회 페리 노선을 활용해 소포를 선박으로 운송하며, 항공편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된다(10㎏ 이하 발송 가능). 

 

일본 내 유팩 및 유패킷 상품도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관련 정보는 우정사업본부 홈페이지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서비스는 일본과의 역직구 시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1~8월 일본발 직구액은 약 2억6900만 달러, 역직구액은 약 5억9700만 달러로 집계되었다. 역직구액이 직구액을 초과하는 국가는 일본이 유일하다.

 

해상특송은 중국과의 전자상거래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평택세관 기준 중국발 직구 물량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부산을 일본 대상 해상특송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며, 앞으로도 고객 요구에 맞춘 다양한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부산시, 동백전으로 '민생경제' 살린다! '캐시백 한도' 상향 조정

 부산시가 2024년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대규모 지원책을 발표했다. 총 4500억 원 규모의 '긴급 민생안정 5대 프로젝트'를 통해 장기 내수 부진과 고금리로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의 생활 안정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소상공인 지원이다. 부산시는 '부산형 착한결제 캠페인'을 새해 첫 시책으로 내세웠다. 이는 가게에서 미리 결제하고 재방문을 약속하는 방식으로, 소상공인의 당장의 현금 흐름을 개선하고 단골 고객을 확보하는 일석이조 효과를 노린다. 특히 4월 6일까지 13주 동안 시민들이 10만 원 이상 선결제 시 온누리상품권을 지급하는 인센티브도 마련했다.자금난에 시달리는 소상공인을 위해 '비타민 플러스' 자금도 투입된다. 중·저신용자의 대출한도를 8000만 원까지 확대하고 1% 이자 차액을 보전하는 한편, 2년간 1800억 원 규모의 특별자금도 지원한다. 설 명절을 앞두고는 긴급 정책자금 2000억 원을 신속 집행할 예정이다.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소상공인을 위한 '육아 응원패키지'다. 1인 자영업자가 70%를 차지하는 현실을 감안해, 올해 출생한 자녀가 있는 사업주에게 대체인력 인건비를 월 최대 100만 원씩 3개월간 지원한다. 8세 이하 자녀를 둔 무주택 소상공인에게는 100만 원의 육아 응원금도 지급한다.소비 진작을 위한 정책도 대폭 강화된다. 동백전의 캐시백 한도를 월 50만 원으로 상향하고, 최대 7%까지 캐시백 혜택을 확대한다. 관광업계 지원을 위해 비짓부산패스 빅3권을 50% 할인하고, 설 연휴 관광 프로모션도 조기에 시작한다.시민 복지 강화도 눈에 띈다. 신생아 가정에 최대 100만 원의 산후조리비를 지원하고, 2세 아동의 어린이집 현장학습비도 새로 지원한다. 경로당에는 1곳당 20만 원의 특별운영비를, 쉼터 퇴소 청소년의 자립수당은 월 50만 원으로 인상된다.물가 안정을 위한 대책도 마련됐다. 직거래 장터를 현재 3곳에서 8곳으로 확대하고, 착한가격업소도 750곳으로 늘린다. 공공요금 인상도 최소화하여 서민 생활 안정을 도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