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모아

열애 인정 4년, 이제는 ‘가족’…크러쉬, 조이 여동생 결혼식 축가 화제

 가수 크러쉬가 공개 연인인 그룹 레드벨벳의 멤버 조이의 가족 행사에 직접 참석해 변함없는 애정을 과시했다. 지난 3일,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를 통해 크러쉬가 조이의 여동생 결혼식에서 축가를 부르는 모습이 담긴 사진과 영상이 빠르게 확산되며 화제를 모았다. 목격담에 따르면, 지난 10월 19일 열린 결혼식에서 크러쉬는 하객들 사이에 자연스럽게 자리하고 있다가, 마이크를 들고 일어나 감미로운 목소리로 축가를 불렀다. 화려한 무대 위가 아닌, 진심을 담아 연인의 가족을 축하하는 그의 모습은 많은 이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크러쉬와 조이는 지난 2021년 8월 열애를 공식 인정한 이후, 연예계의 대표적인 장수 커플로 조용하고 꾸준한 만남을 이어왔다. 요란한 과시 없이 서로의 활동을 묵묵히 응원하며 사랑을 키워온 두 사람이었기에, 이번 크러쉬의 축가 소식은 더욱 특별한 의미로 다가온다. 이는 단순한 연인 관계를 넘어, 서로가 서로의 삶과 가족에게 깊숙이 스며든 존재가 되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기 때문이다. 특히 조이의 여동생은 과거 MBC 예능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에 조이와 함께 출연하여 빼어난 미모로 대중에게 얼굴을 알린 바 있어, 이번 결혼 소식과 크러쉬의 등장은 더욱 큰 주목을 받았다.

 


이처럼 연인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기쁨을 함께 나누는 두 사람의 모습에 대중의 뜨거운 응원이 쏟아지고 있다. 온라인상에서는 "조용히 예쁘게 만나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다", "연인의 여동생 결혼식에서 축가를 불러주다니, 영화보다 더 로맨틱하다", "서로의 가족까지 살뜰히 챙기는 마음이 느껴져 훈훈하다" 등의 반응이 주를 이뤘다. 더 나아가 많은 팬들과 누리꾼들은 두 사람의 깊은 신뢰와 사랑이 결실을 맺어, 결혼이라는 좋은 소식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숨기지 않고 있다.

 

한편, 사랑과 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크러쉬는 본업인 가수로서도 팬들과의 만남을 준비하며 바쁜 연말을 보낼 예정이다. 그는 오는 12월 19일부터 21일까지 총 3일간, 서울 송파구에 위치한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연말 단독 콘서트 '2025 크러쉬 콘서트 [크러쉬 아워]'를 개최한다. 이번 콘서트를 통해 감미로운 목소리와 독보적인 음악 세계를 선보이며 한 해를 마무리하고, 팬들에게 잊지 못할 시간을 선물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온정마저 얼어붙었다…'텅 빈 연탄 창고', 작년보다 40% 급감한 기부에 쪽방촌 '절망'

 겨울의 문턱에서 우리 사회의 가장 따뜻한 온정의 불씨마저 꺼져가고 있다. 서민들의 겨울을 지켜주던 까만 연탄이 이제는 귀한 몸이 되면서, 에너지 빈곤층의 시름이 그 어느 때보다 깊어지고 있다.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는 10월은 연탄 기부가 늘어나는 시기지만, 올해 밥상공동체·연탄은행에 접수된 기부량은 전년 대비 36%나 급감한 13만여 장에 그쳤다. 연간 누적 기부량 역시 24%나 줄어들어, 연탄은행이 목표로 세운 '500만 장 나눔'은 시작부터 삐걱대는 모습이다. 해마다 오르는 연탄값에 더해 얼어붙은 경기 침체 여파가 소외된 이웃의 겨울을 더욱 춥고 혹독하게 만들고 있다.연탄 기부의 급감은 곧바로 취약계층의 생존 문제와 직결된다. 현재 전국의 연탄 사용 가구는 약 6만 가구로 추산되며, 이들 대부분은 도시가스나 중앙난방의 혜택이 닿지 않는 쪽방촌이나 가파른 달동네에 거주하는 어르신들이다. 연탄 사용 가구 수가 매년 조금씩 줄고는 있지만, 도움의 손길이 끊기는 속도는 이보다 훨씬 가파르다. 온정의 속도가 현실의 어려움을 따라가지 못하면서, 당장 오늘 밤의 추위를 걱정해야 하는 이들의 부담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난방의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가 가장 약한 고리를 어떻게 방치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서글픈 단면이다.이러한 '연탄 대란'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장기화된 경기 침체의 그늘이 꼽힌다. 해마다 온정을 보태던 기업들이 경영난을 이유로 후원 규모를 대폭 줄이거나 아예 지원을 미루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연탄은행 관계자는 "꾸준히 후원을 이어오는 대기업은 사실상 한 곳 정도에 불과하다"며 "기부 물량이 부족해 지방에는 배달하지 못하고 서울에만 겨우 전달하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개인 기부자들의 주머니 사정 역시 팍팍해지면서, 한때 줄을 이었던 연탄 나눔 봉사활동의 온기마저 예년 같지 않은 상황이다.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연탄 가격 상승과 공급망 붕괴는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뇌관이 되고 있다. 배달비를 포함한 연탄 한 장의 소비자 가격은 이미 1,000원을 훌쩍 넘어 지난해보다 최대 30% 이상 치솟았다. 여기에 수익성 악화로 전국의 연탄 공장들이 줄줄이 문을 닫는 현실은 구조적인 위기를 심화시킨다. 2000년대 중반 40곳이 넘던 공장은 이제 17곳만 남았다. 특히 지난해 서울의 마지막 연탄 공장이었던 이문동 공장이 56년 만에 폐업하면서, 이제 수도권 전체의 연탄 보급을 경기도 동두천 공장 한 곳이 떠맡는 기형적인 구조가 되었다. 공장이 멀어질수록 운송비와 인건비는 오르고, 그 부담은 고스란히 연탄값에 전가되어 가장 가난한 이들의 어깨를 짓누르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