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모아

"우리 엄마도 이렇게는 안 믿어"…김경문, 17년 전 '이승엽 신화'에 팀을 태우다

 한화 이글스의 가을 야구가 벼랑 끝으로 내몰렸다. 시리즈 전적 1승 2패로 뒤지던 4차전, 9회초 3점의 리드를 안고 마운드에 오른 이는 '믿음의 아이콘' 김서현이었다. 2승 2패, 시리즈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는 희망이 가득했던 순간, 야구장의 공기는 그러나 곧 절망으로 바뀌었다. 김서현은 박동원에게 통한의 투런 홈런을 얻어맞으며 마운드 위에서 고개를 숙였고, 팀은 믿을 수 없는 역전패를 당하며 1승 3패의 절대적인 위기에 봉착했다. 가을의 기적을 꿈꾸던 팬들의 기대는 한순간에 산산조각 났고, 이제 남은 것은 실낱같은 희망과 더 커져 버린 불신뿐이다. 김경문 감독의 선택은 시리즈 전체의 향방을 결정짓는 가장 뼈아픈 순간으로 기록되었다.

 

경기 종료 후 팬심은 들끓다 못해 폭발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는 김경문 감독의 용병술을 향한 성토의 장으로 변했다. "우리 엄마도 나를 저렇게까지 믿지는 않는다", "김서현만 한화 선수인가"와 같은 조롱 섞인 비판은 물론, "이승엽 신화에 취해 팀을 망가뜨리고 있다"는 원색적인 비난까지 쏟아졌다. 특히 패배 후 "8회는 잘 막지 않았느냐"는 김 감독의 발언은 불타는 여론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다. 결과의 책임을 외면하고 과정의 일부만을 긍정하려는 듯한 태도는 팬들에게 더 큰 실망과 분노를 안겨주었다. 감독의 신뢰와 팬들의 인내심 사이의 괴리가 극명하게 드러난 순간이었다.

 


김경문 감독의 야구 인생을 관통하는 '믿음의 야구'라는 철학이 최대의 시험대에 올랐다. 그의 신념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영광스러운 기억에 뿌리를 두고 있다. 당시 극심한 부진에 시달리던 이승엽을 끝까지 기용해 결국 금메달을 목에 걸었던 성공 신화는 그의 지도자 인생에 가장 빛나는 훈장이자 가장 강력한 무기였다. 하지만 2025년의 포스트시즌은 17년 전의 올림픽 무대와는 다르다. 시즌 내내 제구 불안과 심리적 기복을 노출했던 젊은 투수 김서현은 해결사 이승엽이 아니며, 패배가 곧 탈락으로 이어지는 단기전 마운드는 믿음보다는 냉철한 결단이 요구되는 자리다. 한때 미덕으로 칭송받던 믿음은 이제 '고집'과 '집착'이라는 비판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이제 한화 이글스에게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 5차전, 단 한 번의 패배로 한 시즌의 노력이 모두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외나무다리 승부만이 남았다. 야구 팬들의 모든 시선은 이제 김경문 감독의 더그아웃을 향한다. 그는 과연 자신의 야구 철학을 끝까지 밀어붙일 것인가, 아니면 비판을 수용하고 변화를 선택할 것인가. 이 결정에 따라 한화의 운명은 물론, '명장' 김경문 감독의 '믿음의 야구' 역시 재평가받게 될 것이다. 팀의 가을 야구 운명이 그의 마지막 선택에 달려있다.

 

90% 승률의 위엄…안세영, 싸워보지도 않고 이겼다 '경쟁자 0명' 역대급 꿀대진!

 '셔틀콕 여제' 안세영의 시즌 10관왕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올 시즌 배드민턴 코트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는 안세영이 오는 18일 개막하는 호주오픈(수퍼 500)에서 또 한 번의 우승 트로피를 정조준하고 있다. 이번 대회는 다음 달 열리는 왕중왕전 성격의 월드투어 파이널 전 마지막 모의고사 격이지만, 안세영에게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바로 남녀 단복식을 통틀어 한 시즌 최다승 기록인 모모타 겐토의 11승 대기록 경신을 위한 발판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인 한 해를 보내고 있는 그녀에게 10번째 우승은 기록 달성을 위한 필수 관문이다.안세영의 10관왕 시나리오가 더욱 유력해진 것은 강력한 경쟁자들이 대거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특히 '만리장성'으로 불리는 중국의 강호들이 모두 빠진 것이 결정적이다. 세계 랭킹 2위 왕즈이, 3위 한웨, 5위 천위페이가 4년 만에 열리는 자국 전국체육대회 출전을 이유로 나란히 기권했다. 안세영의 가장 큰 대항마로 꼽히던 이들이 모두 빠지면서 사실상 '무혈입성'의 길이 열린 셈이다. 여기에 세계 4위 야마구치 아카네(일본)와 푸살라 신두(인도), 여지아민(싱가포르) 등 까다로운 상대들도 불참을 통보해 대회 열기는 다소 식었지만, 안세영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호재가 됐다.이로써 호주오픈 여자 단식은 '안세영의 독무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물론 푸트리 와르다니(7위), 그레고리아 마리스카 툰중(8위), 라차녹 인타논(9위) 등 톱10 랭커들이 출전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는 있지만, 객관적인 전력이나 현재의 기세 모든 면에서 안세영의 적수가 되지 못한다는 평가다. 실제로 안세영은 올 시즌 출전한 13개 대회에서 무려 9번이나 우승을 차지하며 63승 4패, 승률 90%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써 내려가고 있다. 경쟁자들이 스스로 물러난 상황에서, 이변이 없는 한 안세영의 우승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결국 이번 호주오픈은 안세영의 시즌 10관왕 대관식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최강의 실력에 경쟁자들의 부재라는 행운까지 겹치면서 사실상 우승 트로피의 주인은 정해졌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슈퍼 500 대회의 위상과는 별개로, 안세영은 이번 우승을 통해 최다승 기록 경신이라는 더 큰 목표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된다. 라이벌 없는 싱거운 대회가 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도, 안세영이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10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자신의 시대를 다시 한번 증명할 수 있을지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