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초대장부터 손으로 직접 그려…'세기의 결혼식' 치른 지방시 상속자, 대체 얼마 썼나?

 프랑스 패션계의 살아있는 역사로 불리는 명품 브랜드 ‘지방시’ 가문이 한국인 며느리를 맞이하며 전 세계적인 화제의 중심에 섰다. 지방시 창립자 위베르 드 지방시의 후손인 션 태핀 드 지방시가 7년간 사랑을 키워온 한국계 연인 정다혜 씨와 지난 8월 파리에서 세기의 결혼식을 올린 것이다. 프랑스 언론이 ‘올해 사교계 최고의 결혼식’이라 극찬할 만큼 호화롭고 성대하게 치러진 이번 행사는 단순한 명문가의 혼사를 넘어, 프랑스 전통 귀족 가문과 글로벌 인재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더욱 깊은 의미를 남겼다. 두 사람의 결혼은 패션과 사교계를 넘어 대중에게도 한 편의 영화 같은 이야기로 회자되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두 사람의 인연은 2018년 캐나다 몬트리올의 맥길대학교 교정에서 시작됐다. 20대 후반 동갑내기인 이들은 자원봉사 활동 중 처음 만났고, 션이 정다혜 씨에게 첫눈에 반하며 7년간의 열애가 시작됐다. 션은 현재 세계적인 경매 회사 크리스티에서 상업금융 선임 애널리스트로 재직 중이며, 과거 LVMH 그룹 인턴십을 통해 패션계에 대한 이해를 넓힌 재원이다. 신부 정다혜 씨 역시 서울에서 태어나 미국과 캐나다를 오가며 성장한 글로벌 인재로, 뉴욕 컬럼비아대에서 MBA를 마친 뒤 션의 삼촌이 운영하는 하이엔드 보석 브랜드 ‘태핀’에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이처럼 각자의 분야에서 탄탄한 커리어를 쌓아온 두 사람의 만남은 단순한 상속자와의 결합이 아닌, 서로의 지성과 배경을 존중하는 파트너십의 결실이라는 점에서 더욱 빛을 발했다.

 


이번 결혼식은 그 시작부터 남달랐다. 하객들에게는 아티스트 레아 사반이 직접 손으로 그린 맞춤 청첩장이 전달되며, 예술 작품과도 같은 예식의 서막을 알렸다. 3일간 파리 전역을 무대로 펼쳐진 축하 행사는 그야말로 화려함의 극치였다. 파리의 미슐랭 스타 레스토랑 ‘라 퐁텐 가용’에서의 우아한 리허설 디너로 시작해, 파리 중심부에 위치한 유서 깊은 생트클로틸드 대성당에서 본식이 성대하게 거행됐다. 결혼식의 대미는 최고급 연회장인 ‘르 파빌리옹 도핀’에서 열린 피로연으로, 파리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으며 마무리됐다. 신부 정다혜 씨는 패션지 ‘보그 프랑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시간을 초월한 클래식과 파리지앵의 세련미가 공존하는 꿈의 결혼식을 실현했다”고 벅찬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지방시는 1952년 위베르 드 지방시에 의해 설립된 이후, 배우 오드리 헵번의 스타일을 완성하며 20세기 패션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다. 1988년 거대 럭셔리 그룹 LVMH에 인수되었지만, 지방시 가문은 여전히 프랑스 패션계의 상징적인 존재로 막강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 결혼은 이러한 유서 깊은 가문에 새로운 시대의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귀족의 전통과 한국계 글로벌 엘리트의 만남은 지방시 가문의 역사가 21세기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며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장인화 회장의 승부수…'리튬 세계 1위' 목표에 1.1조원 쏟아부었다

 포스코홀딩스가 미래 성장 동력의 핵심인 2차전지 소재 시장의 패권을 잡기 위해 1조 원이 넘는 대규모 실탄을 장전하고 글로벌 리튬 자원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불안정한 국제 정세와 공급망 위기 속에서 안정적인 원료 수급이 기업의 생존과 직결된다는 판단 아래, 호주와 아르헨티나의 우량 리튬 광산 및 염호 자원을 동시에 공략하며 원가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는 단순한 원료 확보를 넘어 글로벌 리튬 공급망의 핵심 플레이어로 도약하려는 포스코그룹의 장기적인 비전이 반영된 공격적인 투자 행보로 풀이된다.이번 투자의 핵심은 호주 광산기업 미네랄 리소스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에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약 1조 원(7억 6500만 달러)을 투자해 미네랄 리소스가 신규 설립하는 중간 지주사의 지분 30%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지분 투자를 통해 포스코홀딩스는 미네랄 리소스가 운영 중인 서호주의 '워지나'와 '마운트마리온' 광산에서 연간 27만 톤에 달하는 리튬 정광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게 되었다. 이는 2차전지 소재인 수산화리튬 3만 7천 톤을 생산할 수 있는 양으로, 전기차 약 86만 대의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 막대한 물량이다. 특히 이번 투자는 단순한 원료 구매 계약을 넘어 광산 경영에 직접 참여하고 배당 수익까지 확보할 수 있는 구조여서,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리튬 정광을 직접 제련하는 사업으로까지 확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포스코홀딩스의 리튬 영토 확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호주의 암석형 리튬 광산(하드락)과 더불어 아르헨티나의 염수 리튬 확보에도 속도를 내며 원료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지난 5일, 포스코홀딩스는 약 950억 원(6500만 달러)을 투입해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내 광권을 보유한 캐나다 자원 개발 회사 LIS의 아르헨티나 현지 법인 지분 10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지역별, 형태별 리스크를 분산하고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리튬 자원을 모두 확보함으로써 어떠한 시장 환경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포석이다.이러한 과감한 투자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장 회장은 "글로벌 1위의 리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원료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적극적인 투자를 통한 글로벌 리튬 공급망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천명했다. 이는 지난해 장 회장 취임 이후 그룹의 미래를 위해 '투 코어(철강·2차전지 소재)'와 '뉴 엔진(신사업)'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한 그룹의 방향성과도 일치한다. 철강 사업의 견고한 기반 위에 2차전지 소재라는 확실한 성장 엔진을 장착하기 위한 포스코그룹의 야심 찬 계획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