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휴전 열흘 만에 45명 사망…'피의 보복'에 백악관 최고위급 총출동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위태로운 휴전이 대규모 유혈 사태로 또다시 벼랑 끝에 내몰렸다. 지난 19일,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수십 차례에 걸친 대대적인 공습을 단행해 팔레스타인인 45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하면서, 불과 열흘 남짓 유지되던 평화의 불씨가 꺼질 최대 위기를 맞았다. 이스라엘군은 이번 공습이 가자지구 남부 라파에서 자행된 대전차 미사일 공격으로 군인 2명이 사망한 데 대한 보복 조치라고 주장했지만, 하마스는 자신들과 무관한 일이라며 선을 그었다.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 속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J D 밴스 부통령과 중동 특사, 사위까지 급파하며 휴전 붕괴를 막기 위한 외교적 총력전에 돌입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긴급 외교전은 사실상 동맹국인 이스라엘의 군사 행동을 제지하려는 이례적인 압박 조치에 가깝다. 스티브 위트코프 특사와 재러드 쿠슈너가 20일 이스라엘에 도착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회담을 가진 데 이어, 밴스 부통령까지 직접 이스라엘로 향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네타냐후 총리가 이번 사태를 빌미로 휴전 합의를 완전히 파기하고 하마스에 대한 전면 공격을 재개할 수 있다는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 역시 이번 최고위급 인사들의 방문 목적이 휴전의 완전한 파국을 막고 이스라엘을 진정시키는 데 있음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깨진 휴전을 봉합하려는 미국의 노력 앞에는 '하마스 무장해제'라는 거대한 난관이 버티고 있다. 미국이 구상하는 2단계 휴전의 핵심은 가자지구 내 국제안정화군(ISF) 배치와 하마스의 완전한 무장해제지만, 하마스는 "확답할 수 없다"며 사실상 거부 의사를 밝혔다. 심지어 하마스는 휴전 기간을 틈타 경쟁 무장세력을 숙청하고 공개 처형까지 자행하며 가자지구 내 지배력을 오히려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노골적으로 보이고 있다. 타미르 하이만 전 이스라엘 군사정보국장은 "하마스가 지배력을 회복하면 더 강해질 것이고, 이들을 비무장시키는 것은 훨씬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현재 상황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결국 이번 사태는 하마스가 가자지구 내 모든 무장단체를 완벽히 통제하지 못한다는 휴전의 구조적 취약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밴스 부통령 역시 하마스가 약 40개의 세포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중 다수가 휴전을 지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인정했다. 전문가들은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사례처럼 전면전은 피하더라도 소규모 공습과 보복 공격이 반복되는 폭력의 악순환이 가자지구에서 일상화될 수 있다고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평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을 안고 가는 불안한 국지전의 그림자가 가자지구 위에 짙게 드리워지고 있다.

 

90% 승률의 위엄…안세영, 싸워보지도 않고 이겼다 '경쟁자 0명' 역대급 꿀대진!

 '셔틀콕 여제' 안세영의 시즌 10관왕 달성에 청신호가 켜졌다. 올 시즌 배드민턴 코트를 완벽하게 지배하고 있는 안세영이 오는 18일 개막하는 호주오픈(수퍼 500)에서 또 한 번의 우승 트로피를 정조준하고 있다. 이번 대회는 다음 달 열리는 왕중왕전 성격의 월드투어 파이널 전 마지막 모의고사 격이지만, 안세영에게는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바로 남녀 단복식을 통틀어 한 시즌 최다승 기록인 모모타 겐토의 11승 대기록 경신을 위한 발판이기 때문이다. 역사적인 한 해를 보내고 있는 그녀에게 10번째 우승은 기록 달성을 위한 필수 관문이다.안세영의 10관왕 시나리오가 더욱 유력해진 것은 강력한 경쟁자들이 대거 불참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특히 '만리장성'으로 불리는 중국의 강호들이 모두 빠진 것이 결정적이다. 세계 랭킹 2위 왕즈이, 3위 한웨, 5위 천위페이가 4년 만에 열리는 자국 전국체육대회 출전을 이유로 나란히 기권했다. 안세영의 가장 큰 대항마로 꼽히던 이들이 모두 빠지면서 사실상 '무혈입성'의 길이 열린 셈이다. 여기에 세계 4위 야마구치 아카네(일본)와 푸살라 신두(인도), 여지아민(싱가포르) 등 까다로운 상대들도 불참을 통보해 대회 열기는 다소 식었지만, 안세영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호재가 됐다.이로써 호주오픈 여자 단식은 '안세영의 독무대'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물론 푸트리 와르다니(7위), 그레고리아 마리스카 툰중(8위), 라차녹 인타논(9위) 등 톱10 랭커들이 출전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는 있지만, 객관적인 전력이나 현재의 기세 모든 면에서 안세영의 적수가 되지 못한다는 평가다. 실제로 안세영은 올 시즌 출전한 13개 대회에서 무려 9번이나 우승을 차지하며 63승 4패, 승률 90%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써 내려가고 있다. 경쟁자들이 스스로 물러난 상황에서, 이변이 없는 한 안세영의 우승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결국 이번 호주오픈은 안세영의 시즌 10관왕 대관식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최강의 실력에 경쟁자들의 부재라는 행운까지 겹치면서 사실상 우승 트로피의 주인은 정해졌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슈퍼 500 대회의 위상과는 별개로, 안세영은 이번 우승을 통해 최다승 기록 경신이라는 더 큰 목표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된다. 라이벌 없는 싱거운 대회가 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도, 안세영이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10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리며 자신의 시대를 다시 한번 증명할 수 있을지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